18 내가 스스로 말하기를 나는 내 보금자리에서 숨을 거두며 나의 날은 모래알 같이 많으리라 하였느니라
19 내 뿌리는 물로 뻗어나가고 이슬이 내 가지에서 밤을 지내고 갈 것이며
20 내 영광은 내게 새로워지고 내 손에서 내 화살이 끊이지 않았노라
21 무리는 내 말을 듣고 희망을 걸었으며 내가 가르칠 때에 잠잠하였노라
22 내가 말한 후에는 그들이 말을 거듭하지 못하였나니 나의 말이 그들에게 스며들었음이라
23 그들은 비를 기다리듯 나를 기다렸으며 봄비를 맞이하듯 입을 벌렸느니라
24 그들이 의지 없을 때에 내가 미소하면 그들이 나의 얼굴 빛을 무색하게 아니하였느니라
25 내가 그들의 길을 택하여 주고 으뜸되는 자리에 앉았나니 왕이 군대 중에 있는 것과도 같았고 애곡하는 자를 위로하는 사람과도 같았느니라
욥은 재앙을 당하기 전에 자신이 누리던 복에 대해 계속 이야기합니다. 29장에 기록된 과거의 기억은 현재 자신이 재앙으로 인해 비참해진 상태를 보여 주기 위한 것이기에 욥이 누렸던 복과 영광을 묵상하는 것은 좀 처량한 느낌이 들기도 합니다. 하지만 욥이 하나님의 영광을 누리는 사람으로서 어떤 은혜를 받았는지를 보면서 구원받은 우리가 세상에서 어떤 역할을 해야 할지를 생각해 보겠습니다.
늘 새롭고 도전하는 삶(18~20절)
재앙을 당하기 전에 욥은 자신이 장수를 누리고 또 죽을 때 자기 집에서 평안히 숨을 거둘 것을 기대했습니다(18절). 그리고 죽음을 맞이하기 전까지 자기의 뿌리와 가지에 물과 이슬이 계속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이는 늘 흡족한 삶을 살 것이라고 예상했다는 뜻입니다(19절). 욥은 또 자기의 ‘영광’이 새로워질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이는 명예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입니다(20a절). 즉 욥은 과거에 베푼 선행만 계속 붙들고서 곱씹고 있는 것이 아니라 계속 좋은 일을 했기 때문에 사람들이 새로운 이유로 계속 그를 칭송했다는 의미입니다. 또한 그 화살이 끊이지 않는다는 표현은 살아가면서 경험하게 되는 여러 갈등이나 경쟁 가운데서도 늘 승리할 수 있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20b절). 이렇게 욥은 자신이 죽을 때까지 계속 새로워지고, 또 계속 도전하며 살아가리라고 생각했고, 또 그렇게 할 수 있으리라고 기대했던 것입니다.
우리의 인생이 어떤 모습이었으면 좋겠냐고 한다면, 저는 재앙이 임하기 전 욥이 꿈꾸었던 인생의 모습이야말로 인간에게 가장 이상적인 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마지막 죽음의 자리를 바라보면서 그날이 오기 전까지 하나님의 공급하심에서 벗어나지 않는 삶, 그리고 끊임없이 변화하고 도전하는 삶을 우리 모두가 꿈꾸고, 실천했으면 합니다.
영향력 있는 삶(21~25절)
재앙이 닥치기 전 욥의 모습은 성도의 이상적인 삶이라고 할 수 있는데, 바로 다른 사람들에게 선한 영향력을 끼치는 삶입니다. 욥은 재앙이 임하기 전까지만 해도 다른 사람들에게 희망을 주는 사람이었고, 무리가 잠잠히 그의 가르침을 듣고 그 가르침이 그들의 영혼에 스며들었다고 할 정도로 잘 가르치는 선생이었습니다(21~22절). 욥의 권면과 가르침이 얼마나 좋았으면, 사람들은 비를 기다리듯 욥의 가르침을 기다릴 정도였으며, 욥의 표정만 보아도 위로와 힘을 얻었다고 합니다(23〜24절). 욥은 지혜가 뛰어나 사람들 사이에서 으뜸으로 여겨졌고, 마치 군대가 왕의 명령을 따르듯이 사람들이 욥의 말을 따랐습니다. 그의 위로는 애곡하는 사람들을 위로하는 것과 같이 사람들의 마음을 녹였습니다(25절). 이는 성도의 이상적인 모습이라 할 수 있습니다. 성도는 자신과 가족뿐만 아니라 자신이 속한 교회와 지역사회, 그리고 사회와 국가에도 관심을 가지고 선한 영향력을 끼치는 사람이 되어야 합니다. 우리가 말씀과 기도로 신앙생활을 하고 영적 훈련을 계속하는 이유는 욥이 묘사한 것과 같은 영향력 있는 사람이 되기 위한 것입니다. 성도는 하나님의 복을 누리는 사람이 아니라 그 복을 나누고 전하는 사람입니다. 땅의 모든 족속이 우리로 말미암아 복을 얻게 해야 합니다(참조, 창 12:3).
과거의 욥처럼 살아가는 사람이 있다면 우리는 그 사람을 어떤 마음으로 바라볼 것 같습니까? 사실 근래에는 이런 신앙인이 사라지고 있다는 생각을 지울 수가 없습니다. 시간이 지나고 나이가 들수록, 다른 사람들에게 존경받고 선한 영향력을 끼치는 사람이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우리 모두 먼저는 자녀들에게 존경받는 신앙의 선배가 되고, 주위 사람들에게 위로와 격려가 되는 성도가 되기를 축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