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의와 탐욕의 대결_사사기 11:12-28

12.입다가 암몬 자손의 왕에게 사자들을 보내 이르되 네가 나와 무슨 상관이 있기에 내 땅을 치러 내게 왔느냐 하니

13.암몬 자손의 왕이 입다의 사자들에게 대답하되 이스라엘이 애굽에서 올라올 때에 아르논에서부터 얍복과 요단까지 내 땅을 점령했기 때문이니 이제 그것을 평화롭게 돌려 달라 하니라

14.입다가 암몬 자손의 왕에게 다시 사자들을 보내

15.그에게 이르되 입다가 이같이 말하노라 이스라엘이 모압 땅과 암몬 자손의 땅을 점령하지 아니하였느니라

16.이스라엘이 애굽에서 올라올 때에 광야로 행하여 홍해에 이르고 가데스에 이르러서는

17.이스라엘이 사자들을 에돔 왕에게 보내어 이르기를 청하건대 나를 네 땅 가운데로 지나게 하라 하였으나 에돔 왕이 이를 듣지 아니하였고 또 그와 같이 사람을 모압 왕에게도 보냈으나 그도 허락하지 아니하므로 이스라엘이 가데스에 머물렀더니

18.그 후에 광야를 지나 에돔 땅과 모압 땅을 돌아서 모압 땅의 해 뜨는 쪽으로 들어가 아르논 저쪽에 진 쳤고 아르논은 모압의 경계이므로 모압 지역 안에는 들어가지 아니하였으며

19.이스라엘이 헤스본 왕 곧 아모리 족속의 왕 시혼에게 사자들을 보내어 그에게 이르되 청하건대 우리를 당신의 땅으로 지나 우리의 곳에 이르게 하라 하였으나

20.시혼이 이스라엘을 믿지 아니하여 그의 지역으로 지나지 못하게 할 뿐 아니라 그의 모든 백성을 모아 야하스에 진 치고 이스라엘을 치므로

21.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시혼과 그의 모든 백성을 이스라엘의 손에 넘겨 주시매 이스라엘이 그들을 쳐서 그 땅 주민 아모리 족속의 온 땅을 점령하되

22.아르논에서부터 얍복까지와 광야에서부터 요단까지 아모리 족속의 온 지역을 점령하였느니라

23.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이같이 아모리 족속을 자기 백성 이스라엘 앞에서 쫓아내셨거늘 네가 그 땅을 얻고자 하는 것이 옳으냐

24.네 신 그모스가 네게 주어 차지하게 한 것을 네가 차지하지 아니하겠느냐 우리 하나님 여호와께서 우리 앞에서 어떤 사람이든지 쫓아내시면 그것을 우리가 차지하리라

25.이제 네가 모압 왕 십볼의 아들 발락보다 더 나은 것이 있느냐 그가 이스라엘과 더불어 다툰 일이 있었느냐 싸운 일이 있었느냐

26.이스라엘이 헤스본과 그 마을들과 아로엘과 그 마을들과 아르논 강 가에 있는 모든 성읍에 거주한 지 삼백 년이거늘 그 동안에 너희가 어찌하여 도로 찾지 아니하였느냐

27.내가 네게 죄를 짓지 아니하였거늘 네가 나를 쳐서 내게 악을 행하고자 하는도다 원하건대 심판하시는 여호와께서 오늘 이스라엘 자손과 암몬 자손 사이에 판결하시옵소서 하였으나

28.암몬 자손의 왕이 입다가 사람을 보내어 말한 것을 듣지 아니하였더라

입다와 암몬 왕의 대립이 시작되었습니다. 이 다툼은 서로 다른 가치를 가졌음을 확인시켜 줍니다. 입다는 분망한 사실과 하나님의 의를 가지고 말하고 있고, 암몬 왕은 힘의 논리로 자기 탐욕을 중족시키고자 거짓 주장을 펼쳤습니다. 이 논쟁을 살펴보면서 우리가 어떻게 현재를 살아가야 할지 함께 고민하기를 바랍니다.

국가들이 분쟁 전에 외교를 통해 갈등 해결을 시도하는 것은 당연한 과정입니다. 흥미로운 점은 입다가 이스라엘을 자신의 땅이라 부르고 있다는 것입니다(12절). 그는 분명 사사보다 왕에 가깝게 행동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사사직책에 대한 이러한 인식의 변화(왕처럼 행동하는 사사)는 기드온-아비멜렉-야일-입다 그리고 삼손으로 이어지면서 계속 강화되어 갑니다. 입다는 분명 하나님의 사사였지만 왕 같은 행동은 뒤에 나오는 여러 비극의 원인이 됩니다.

암몬 왕은 출애굽 때부터 이스라엘이 자기 땅을 불법으로 점유하고 있으니 돌려줘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입다는 이스라엘이 모압과 암몬의 땅은 진입하지도 않았다고 대답했습니다(13-15절). 암몬 왕은 불분명한 근거를 가지고 힘으로 이스라엘의 영토를 뺏으려 했던 것입니다. 암몬에게 필요한 것은 구실이지 정당한 근거가 아니었습니다. 세상은 힘의 논리가 지배하는 곳입니다. 악한 힘은 우리가 생각지 못하는 이유로 우리를 위협하고 공격합니다.

암몬 왕의 억지 주장에 대한 입다의 반격은 명확한 역사적 사실입니다(16-22절). 첫째, 이스라엘은 에돔과 모압 땅에 들어가지 않았다. 둘째, 먼저 전쟁을 시작한 시혼의 군대를 격파하고 아모리 족속의 땅을 차지했다. 셋째, 이스라엘이 요단 동편에서 차지한 땅은 아모리 족속의 땅이 전부다. 우리가 악한세력의 공격에 무엇으로 맞서야 할까요? 사실과 공의입니다. 사실은 그 자체로 힘이 있습니다. 공의는 하나님이 세우신 세상을 지탱하는 원리입니다. 우리는 이 둘을 가지고 악한세력에 맞서야 합니다.

입다는 이제 신학적인 관점으로 옮겨 주장을 이어갔습니다. 자신들이 소유하고 있는 땅은 하나님이 주신 것이기에 취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선언했습니다(21-24절). 우리의 소유가 다 그렇지는 않지만, 우리 삶에서 절대 타협할 수 없고 포기할 수 없는 부분이 있습니다. 신앙, 예배, 경건, 거룩한 삶 같은 것입니다. 이런 것들이 무너진다면, 땅을 빼앗겨 지배당하는 이스라엘처럼 하나님 백성의 정체성을 상실해 하나님의 백성이 아닌 노예로 살아가게 됩니다.

입다와 암몬 왕이 가지는 가치의 차이는 명확했습니다. 입다는 사실과 하나님의 의의 입장에서 판단했고, 암몬 왕은 탐욕과 힘의 논리로 결정했습니다(25-28절). 사실 이런 입장의 차이는 결코 좁혀질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서로 타협할 수 있는 여지 자체가 없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의 의로 살아가는 사람이 악인의 탐욕 때문에 하나님의 의를 포기할 수는 없으며, 악한 자가 하나님의 의 때문에 자신의 이익을 결코 내려놓지 않기 때문입니다.

어쩔 수 없습니다. 결국 우리가 세상에서 부딪치며 살아갈 때, 의지해야 하는 것은 하나님의 의와 진실입니다. 세상의 힘이 때론 버거운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하나님을 바라며 의와 진실로 살아갈 때 하나님은 우리의 삶을 통해 세상에 의와 진실이 무엇인지 나타내실 것이며, 결국 우리를 보호하시고 이기게 하실 것입니다.

24 views

Recent Posts

See All

1 블레셋 사람들이 이스라엘을 치매 이스라엘 사람들이 블레셋 사람들 앞에서 도망하여 길보아 산에서 엎드러져 죽으니라 2 블레셋 사람들이 사울과 그의 아들들을 추격하여 사울의 아들 요나단과 아비나답과 말기수아를 죽이니라 3 사울이 패전하매 활 쏘는 자가 따라잡으니 사울이 그 활 쏘는 자에게 중상을 입은지라 4 그가 무기를 든 자에게 이르되 네 칼을 빼어 그것

16 그가 다윗을 인도하여 내려가니 그들이 온 땅에 편만하여 블레셋 사람들의 땅과 유다 땅에서 크게 약탈하였음으로 말미암아 먹고 마시며 춤추는지라 17 다윗이 새벽부터 이튿날 저물 때까지 그들을 치매 낙타를 타고 도망한 소년 사백 명 외에는 피한 사람이 없었더라 18 다윗이 아말렉 사람들이 빼앗아 갔던 모든 것을 도로 찾고 그의 두 아내를 구원하였고 19

1 다윗과 그의 사람들이 사흘 만에 시글락에 이른 때에 아말렉 사람들이 이미 네겝과 시글락을 침노하였는데 그들이 시글락을 쳐서 불사르고 2 거기에 있는 젊거나 늙은 여인들은 한 사람도 죽이지 아니하고 다 사로잡아 끌고 자기 길을 갔더라 3 다윗과 그의 사람들이 성읍에 이르러 본즉 성읍이 불탔고 자기들의 아내와 자녀들이 사로잡혔는지라 4 다윗과 그와 함께 한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