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 아달월 십삼일에 그 일을 행하였고 십사일에 쉬며 그 날에 잔치를 베풀어 즐겼고
18 수산에 사는 유다인들은 십삼일과 십사일에 모였고 십오일에 쉬며 이 날에 잔치를 베풀어 즐긴지라
19 그러므로 시골의 유다인 곧 성이 없는 고을고을에 사는 자들이 아달월 십사일을 명절로 삼아 잔치를 베풀고 즐기며 서로 예물을 주더라
20 모르드개가 이 일을 기록하고 아하수에로 왕의 각 지방에 있는 모든 유다인에게 원근을 막론하고 글을 보내어 이르기를
21 한 규례를 세워 해마다 아달월 십사일과 십오일을 지키라
22 이 달 이 날에 유다인들이 대적에게서 벗어나서 평안함을 얻어 슬픔이 변하여 기쁨이 되고 애통이 변하여 길한 날이 되었으니 이 두 날을 지켜 잔치를 베풀고 즐기며 서로 예물을 주며 가난한 자를 구제하라 하매
23 유다인이 자기들이 이미 시작한 대로 또한 모르드개가 보낸 글대로 계속하여 행하였으니
24 곧 아각 사람 함므다다의 아들 모든 유다인의 대적 하만이 유다인을 진멸하기를 꾀하고 부르 곧 제비를 뽑아 그들을 죽이고 멸하려 하였으나
25 에스더가 왕 앞에 나아감으로 말미암아 왕이 조서를 내려 하만이 유다인을 해하려던 악한 꾀를 그의 머리에 돌려보내어 하만과 그의 여러 아들을 나무에 달게 하였으므로
26 무리가 부르의 이름을 따라 이 두 날을 부림이라 하고 유다인이 이 글의 모든 말과 이 일에 보고 당한 것으로 말미암아
27 뜻을 정하고 자기들과 자손과 자기들과 화합한 자들이 해마다 그 기록하고 정해 놓은 때 이 두 날을 이어서 지켜 폐하지 아니하기로 작정하고
28 각 지방, 각 읍, 각 집에서 대대로 이 두 날을 기념하여 지키되 이 부림일을 유다인 중에서 폐하지 않게 하고 그들의 후손들이 계속해서 기념하게 하였더라
하만과 대적들이 유다인들을 학살하려 했던 날이 오히려 그들이 유다인들에게 죽임당하는 날로 변화된 사건은 유다인들이 후손들에게도 가르쳐야 할 역사적 사건이 되었습니다. 본문은 율법에 없는 부림절이 어떻게 유다인들의 명절이 되었는가를 설명하며, 에스더서를 읽는 후손들에게 하나님의 보호하심을 기념할 것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부림절은 언제인가(17〜23절)
본문은 왜 부림절이 아달월, 즉 12월 14일과 15일, 이틀로 정해졌는지를 설명합니다. 하만이 유다인들을 학살하기로 한 12월 13일에 오히려 대적들이 죽임을 당했는데, 각 지방에서는 유다인들이 그다음 날인 14일에 잔치를 베풀고 서로 선물을 주고받았습니다(17, 19절). 그러나 수산 성에서는 14일에도 대적들에 대한 보복이 이어졌고, 15일에 잔치를 베풀면서 즐거워했습니다(18절). 그래서 14일과 15일 이틀간 원수들에 대한 승리를 기념하게 된 것입니다. 모르드개는 이 사건이 후대에까지 전해져 하나님이 당신의 백성을 어떻게 지키셨는가를 대대로 기억해야 한다고 판단했습니다. 그래서 그 해에만 잔치를 벌이고 끝낼 것이 아니라 매년 12월 14일과 15일을 명절로 정하고 지키도록 제국의 모든 유다인에게 서신을 보냈습니다(20〜21절). 모르드개는 이 명절이 위협이 평안으로, 슬픔이 기쁨으로, 애통이 길함으로 변한 날이라는 의미를 밝히며, 이날에 잔치를 베풀고 선물을 주고받으며, 가난한 자를 구제하는 전통을 세우게 합니다(22〜23절). 율법의 3대 절기가 1월의 유월절, 3월의 오순절, 7월의 장막절인데, 12월의 부림절이 정해짐으로써 9월의 수전절(하누카)과 함께 5대 절기로 정착되었습니다. 이처럼 하나님이 베푸신 은혜를 자기들만 누리며 즐거워하는 것으로 끝내지 않고 후대에까지 알리고 기억하게 하는 것은 하나님의 역사하심을 믿는 성도의 마땅한 태도입니다.
왜 부림절인가(24~28절)
이어서 이 절기가 왜 ‘부림절’로 불리게 되었는지, 그 유래가 설명되고 있습니다. 부림은 ‘제비’를 뜻하는 히브리어 ‘부르’의 복수형입니다. 하만이 유다인을 죽이려 제비를 뽑았던 날이 오히려 하만의 아들과 유다인의 대적들이 죽임당하는 날이 되었음을 기념하기 위해 절기를 제정했는데, 그 절기가 이틀이므로 복수형을 사용해 부림절이라고 부르게 된 것입니다(24〜26a절). 유다인들은 이 일을 대대로 알리기 위해 이 두 날을 명절로 삼아 지킴으로 하나님이 자신들을 보호하신다는 증거로 삼았습니다(26b〜28절). 현대 유대인들은 부림절을 하루만 지키는데,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12월 14일에 지키지만 예루살렘, 헤브론, 여리고 등에서는 15일에 지킨다고 합니다. 바사 제국의 대부분 지역에서는 유다인들이 13일에 대적들을 제거했지만, 수산 성에서는 에스더의 요청에 의해 14일까지 하루 더 대적들에 대한 심판이 진행되었기 때문입니다. 유대인들은 지금까지 그 절기를 지키면서 하나님이 자신들을 구원하신 그 역사를 기념하고 있습니다. 자신의 인생을 돌아보면, 하나님이 우리 인생의 중요한 순간마다 은혜를 베푸셨음을 알 수 있습니다. 한순간의 일로 생각하고 잊어버리는 것이 아니라 받은 은혜를 계속 기억하고 감사하며 살아간다면 감사가 끊이지 않는 인생을 살아갈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매 순간 하나님의 은혜가 필요함을 잊지 않고 은혜를 구하게 될 것이고, 날마다 새로운 은혜, 더 큰 은혜를 경험하며 살아가게 될 것입니다.
우리 인생에서 하나님의 특별한 은혜를 경험했던 순간들을 기억해 보십시오. 하루하루 살아가느라 바빠서 그 순간들을 까마득하게 잊고 있지는 않습니까? 물론 이미 지난 과거지만 그 은혜들을 기억하고 되새긴다면 이후의 삶에도 하나님의 은혜를 더 간절히 고대하고 사모하게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