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내가 생각하건대 하나님이 사도인 우리를 죽이기로 작정된 자 같이 끄트머리에 두셨으매 우리는 세계 곧 천사와 사람에게 구경거리가 되었노라
10 우리는 그리스도 때문에 어리석으나 너희는 그리스도 안에서 지혜롭고 우리는 약하나 너희는 강하고 너희는 존귀하나 우리는 비천하여
11 바로 이 시각까지 우리가 주리고 목마르며 헐벗고 매맞으며 정처가 없고
12 또 수고하여 친히 손으로 일을 하며 모욕을 당한즉 축복하고 박해를 받은즉 참고
13 비방을 받은즉 권면하니 우리가 지금까지 세상의 더러운 것과 만물의 찌꺼기 같이 되었도다
14 내가 너희를 부끄럽게 하려고 이것을 쓰는 것이 아니라 오직 너희를 내 사랑하는 자녀 같이 권하려 하는 것이라
15 그리스도 안에서 일만 스승이 있으되 아버지는 많지 아니하니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내가 복음으로써 너희를 낳았음이라
16 그러므로 내가 너희에게 권하노니 너희는 나를 본받는 자가 되라
17 이로 말미암아 내가 주 안에서 내 사랑하고 신실한 아들 디모데를 너희에게 보내었으니 그가 너희로 하여금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나의 행사 곧 내가 각처 각 교회에서 가르치는 것을 생각나게 하리라
18 어떤 이들은 내가 너희에게 나아가지 아니할 것 같이 스스로 교만하여졌으나
19 주께서 허락하시면 내가 너희에게 속히 나아가서 교만한 자들의 말이 아니라 오직 그 능력을 알아보겠으니
20 하나님의 나라는 말에 있지 아니하고 오직 능력에 있음이라
21 너희가 무엇을 원하느냐 내가 매를 가지고 너희에게 나아가랴 사랑과 온유한 마음으로 나아가랴
고린도 교회의 성도들은 영적으로 아직 미성숙한 상태였음에도 불구하고 세상의 모든 지혜를 다 가진 것처럼 착각하여 왕 노릇 하려 했습니다. 이에 바울은 그와 대조되는 사역자들의 모습을 강조하며, 그리스도 안에서 자신과 그들의 관계가 어떠한지 자세히 설명해 주었습니다.
가장 약한 자 된 우리(9~13절)
바울은 고린도 성도들이 갖고 있던 태도와 바울 자신의 모습을 대조했습니다. 바울은 자신이 사람들의 구경거리(9절), 세상의 더러운 것, 만물의 찌꺼기같이 되었다(13절)고 말합니다. 고린도 교회 성도들은 스스로 지혜롭다고 여기고, 강하다고 생각하며, 존귀한 자처럼 여겨지길 원했습니다(10절). 그 모든 것을 자기들의 노력으로 얻은 것처럼 자랑했습니다. 바울은 복음을 위해 굶주림과 박해에 시달렸고, 모욕과 비방을 당하며 주님을 섬겼습니다. 그러나 고린도 교회 성도들은 자신을 쳐서 그리스도께 복종시키지 않았기 때문에 서로 분쟁하고 시기하고 질투한 것입니다. 지혜, 강함, 존귀함이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에게 주어져 있음은 분명하지만, 우리는 아직 주님이 보여 주시는 삶의 목적지를 향해 한참 가야 하는 자들입니다.
나를 본받는 자가 되라(14~17절)
바울 사도는 마치 아버지가 자녀들을 훈계하듯이 고린도 교회 성도들에게 권면했습니다(14절). 아버지와 스승은 자녀 혹은 제자를 잘 키우려는 목적에 있어서는 동일하지만, 그 태도는 상당히 다릅니다. 스승에 비해 아버지는 자녀의 총체적인 면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돌봅니다. 그리고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책임지려 합니다. 이처럼 고린도 교회 성도들의 상태가 어떠하든지 바울은 포기하지 않고 권면하여 성숙한 그리스도인으로 세우려는 마음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바울은 그들의 영적 아버지로서 그들이 복음으로 인해 생명을 갖게끔 일했습니다(15절). 즉 산고의 고통을 겪듯 한 영혼, 한 영혼에게 복음을 전하여 거듭나게 했고, 거듭난 자가 잘 성장하도록 온갖 돌봄을 제공했습니다. 바울은 고린도 교회 성도들이 자신을 본받는 자들이 되기를 바랐습니다(16절). 우리는 어린아이가 부모를 보면서 닮아 가고 배워 가듯이 믿음의 스승을 보고 따라가는 자들이 되어야 합니다.
말이 아니라 능력으로(18~21절)
영적 지도자에게 양육 받을 때 반드시 버려야 할 것은 교만입니다. 바울은 고린도 교회 성도들에게 있는 교만을 지적합니다(18절). 마치 자신이 이미 성숙한 것처럼 착각하는 자들이 있는데, 실은 아직도 그들은 부족한 자들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교만한 자들은 자신이 이미 다 이룬 것처럼 여깁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나라는 말에 있지 않고 오직 능력에 있습니다. 이는 삶에서 영적인 능력이 나타나는지를 보고 그 영적 성숙도를 판단해야 한다는 뜻입니다(19〜20절). 각자 자기의 견해와 생각을 주장하며 서로 분쟁하고 갈등할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능력이 삶에서 나타나는 성숙한 신앙인의 삶을 살아가야 합니다. 여기서 하나님의 능력이란 온유하고 겸손하며 고난과 박해 속에서도 능히 이기는 신앙입니다. 우리가 따라야 할 본은 세상에서 소위 잘나간다는 사람들이 아니라, 비록 사람들에게 멸시받더라도 그 삶에서 하나님의 능력을 드러내는 성숙한 신앙인들입니다.
이미 모든 것을 갖춘 것처럼 교만할 것이 아니라, 아직 다 갖추지 못한 것을 인정하며 겸손해야 합니다. 푯대를 향해 달음질하는 자로서 하나님 앞에서 항상 겸허하십시오. 우리가 스스로 낮추어야 오히려 삶에서 하나님의 능력이 드러납니다. 이것이 그리스도인이 추구해야 할 복된 삶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