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욥이 대답하여 이르되
2 너희만 참으로 백성이로구나 너희가 죽으면 지혜도 죽겠구나
3 나도 너희 같이 생각이 있어 너희만 못하지 아니하니 그같은 일을 누가 알지 못하겠느냐
4 하나님께 불러 아뢰어 들으심을 입은 내가 이웃에게 웃음거리가 되었으니 의롭고 온전한 자가 조롱거리가 되었구나
5 평안한 자의 마음은 재앙을 멸시하나 재앙이 실족하는 자를 기다리는구나
6 강도의 장막은 형통하고 하나님을 진노하게 하는 자는 평안하니 하나님이 그의 손에 후히 주심이니라
7 이제 모든 짐승에게 물어 보라 그것들이 네게 가르치리라 공중의 새에게 물어 보라 그것들이 또한 네게 말하리라
8 땅에게 말하라 네게 가르치리라 바다의 고기도 네게 설명하리라
9 이것들 중에 어느 것이 여호와의 손이 이를 행하신 줄을 알지 못하랴
10 모든 생물의 생명과 모든 사람의 육신의 목숨이 다 그의 손에 있느니라
11 입이 음식의 맛을 구별함 같이 귀가 말을 분간하지 아니하느냐
12 늙은 자에게는 지혜가 있고 장수하는 자에게는 명철이 있느니라
욥기를 읽는 사람이 많이 하는 질문은 “세 친구의 말이 뭐가 잘못된 것인가요?”입니다. 부분적으로 읽으면 그들은 옳은 말만 하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그 말이 현실을 잘 반영하고 있는가를 생각해보면 지혜를 갖기가 얼마나 어려운지를 느낄 수 있습니다.
별다른 지식이 없는 자들(1-3절)
욥은 이제 세 친구의 말들을 한꺼번에 비난하고 있습니다. 사실 그들의 말은 특별할 것 없는 일반론이었으며, 의인이 재앙을 당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그들은 모든 사람이 다 가지고 있는 진부한 지식을 마치 특별한 지혜인 양 말했던 것입니다(2-3절). 이는 세 친구들이 지금까지 한 말들에 대한 종합평가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가 지금까지 읽어 온 내용을 되새겨 보면, 세 친구의 말은 당연한 것처럼 여겨지고, 적어도 터무니없는 이야기라는 느낌이 들지는 않았습니다. 그러나 사람들이 대부분 알고 있는 교훈을 마치 욥을 위한 특별한 가르침인 양 강조했던 세 친구들의 태도는 교만이라고 평가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런 태도로는 고통당하는 자에게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고 오히려 그를 더 낙담시킬 뿐입니다. 교만한 언어는 아무리 맞는 말이어도 어리석음을 드러낼 뿐입니다.
부조리한 세상(4-6절)
세 친구들의 말에 대해 일갈한 후에 욥은 자기가 당한 일에 근거해 인간이 맞닥뜨리는 현실을 탄식하고 있습니다. 욥이 보기에 세상은 세 친구가 말하는 것처럼 질서와 정의가 작동하는 곳이 아닙니다. 의롭고 지혜로운 자라고 해서 언제나 평안을 누리고 존경받는 것이 아닙니다. 사실 욥은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는 지혜자, 의로운 자, 온전한 자로서 세 친구보다 더 크게 인정과 존경을 받던 사람이었지만 재앙을 당하자 그만 조롱거리가 되고 말았습니다(4절). 지금 평안한 사람은 자기에게 재앙이 임하지 않을 것처럼 생각하지만 언제 그런 일을 당할지 알 수 없고(5절), 하나님께 벌을 받아야 할 자들은 오히려 상을 받아서 떵떵거리는 것처럼 보입니다(6절). 사람들은 권선징악, 사필귀정의 원리가 현실에 반드시 실현된다고 믿고 싶어 하지만 현실은 그렇게 단순하지 않습니다. 지혜는 세상이 기계처럼 원리원칙대로 움직이지 않음을 인정하는 데서부터 시작합니다.
인간 지혜의 한계(7-12절)
욥은 세 친구들의 말이 얼마나 진부한지를 말합니다. 앞에서 빌닷은 “옛 시대 사람에게 물으라 그들이 네게 가르치리라”(참조, 8:8,10)고 말했는데, 욥은 짐승, 새, 땅, 바다의 고기들에게 물어봐도 가르쳐 줄 것이라고 말합니다(7-8절). 모든 것이 하나님의 손에 있다는 사실은 짐승도 아는 사실이라는 것입니다(9-10절). 또 소발이 하나님의 진리가 오묘해 사람의 능력으로 파악할 수 없다고 했지만(참조, 11:6-8), 욥은 입이 맛을 구별하고 귀가 말을 분간하는데, 어찌 그것을 파악할 수 없는지 질문하고(11절) 오랜 세월을 살아온 사람은 지혜와 명철이 있어서 알 수 있다고 말합니다(12절). 욥의 세 친구들처럼 사람은 대단한 지혜를 가진 듯하지만 인생의 본질적 문제에 제대로 된 답을 내지 못하고 우왕좌왕합니다. 인간의 지혜로 모든 것을 다 아는 듯 여기는 태도는 오히려 어리석다는 증거입니다.
다른 사람이 처한 현실을 함부로 해석하고 조언하고 가르치려 드는 것은 어리석은 자의 전형적 태도입니다. 조언하고 가르치려 들기보다 슬픔을 당한 사람과는 함께 울고, 기뻐하는 사람과는 함께 기뻐하는 것이 지혜입니다. 훈계하고 가르치는 자가 아니라 공감하고 위로하는 사람이 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