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절망 가운데서도 하나님을 찾기_시편 22:1-18

1.내 하나님이여 내 하나님이여 어찌 나를 버리셨나이까 어찌 나를 멀리 하여 돕지 아니하시오며 내 신음 소리를 듣지 아니하시나이까

2.내 하나님이여 내가 낮에도 부르짖고 밤에도 잠잠하지 아니하오나 응답하지 아니하시나이다

3.이스라엘의 찬송 중에 계시는 주여 주는 거룩하시니이다

4,우리 조상들이 주께 의뢰하고 의뢰하였으므로 그들을 건지셨나이다

5.그들이 주께 부르짖어 구원을 얻고 주께 의뢰하여 수치를 당하지 아니하였나이다

6.나는 벌레요 사람이 아니라 사람의 비방 거리요 백성의 조롱 거리니이다

7.나를 보는 자는 다 나를 비웃으며 입술을 비쭉거리고 머리를 흔들며 말하되

8.그가 여호와께 의탁하니 구원하실 걸, 그를 기뻐하시니 건지실 걸 하나이다

9.오직 주께서 나를 모태에서 나오게 하시고 내 어머니의 젖을 먹을 때에 의지하게 하셨나이다

10.내가 날 때부터 주께 맡긴 바 되었고 모태에서 나올 때부터 주는 나의 하나님이 되셨나이다

11.나를 멀리 하지 마옵소서 환난이 가까우나 도울 자 없나이다

12.많은 황소가 나를 에워싸며 바산의 힘센 소들이 나를 둘러쌌으며

13.내게 그 입을 벌림이 찢으며 부르짖는 사자 같으니이다

14.나는 물 같이 쏟아졌으며 내 모든 뼈는 어그러졌으며 내 마음은 밀랍 같아서 내 속에서 녹았으며

15.내 힘이 말라 질그릇 조각 같고 내 혀가 입천장에 붙었나이다 주께서 또 나를 죽음의 진토 속에 두셨나이다

16.개들이 나를 에워쌌으며 악한 무리가 나를 둘러 내 수족을 찔렀나이다

17.내가 내 모든 뼈를 셀 수 있나이다 그들이 나를 주목하여 보고

18.내 겉옷을 나누며 속옷을 제비 뽑나이다

예수님이 십자가에서 외치신 “엘리 엘리 라마 사박다니”로 시작하는 시편 22편은 신약 성도들의 마음을 크게 울리는 노래입니다. 오늘 우리는 그 전반부를 다루면서 고통 가운데 있을 때 성도가 어떻게 해야 할지 깨닫기를 바랍니다.

조상들이 의뢰했던 하나님(1~5절)

시인 다윗은 지금 자신이 버림을 당했는데, 하나님은 멀리 계셔서 돕지 않으신다고 느끼고 있습니다. ‘신음’으로 번역된 단어는 ‘비명’, ‘울부짖음’으로 더 자주 번역되는 단어이기에, 시인의 신음은 결코 낮고 작은 소리가 아니라 고통으로 을부 짖는 소리에 가까웠다고 보아야 합니다. 이처럼 시인은 밤낮으로 고통 가운데 울부짖고 있지만 하나님은 응답하시지 않습니다(1〜2절). 하지만 이런 상황에서도 시인은 자신의 울부짖음을 ‘찬송’으로 바꾸며 주님이 그 가운데 임재해 주시기를 간구합니다(3절). 조상들이 하나님께 부르짖고 의뢰할 때 그들을 구원해 주셨음을 기억하고 소망을 품습니다(4〜5 절). 하나님을 섬기고 믿는 사람이라 하더라도 세상에서 고통 없이 살 수 없습니다. 그때마다 우리는 믿음의 선진들에게 은혜를 베푸셨던 하나님, 과거에 나를 붙드시고 위로하셨던 주님을 기억해야 합니다. 그것이야말로 영원한 절망 가운데 머물지 않는 힘이 됩니다.

내가 누구인지 잊지 않는다(6〜11절).

시인은 자기를 ‘벌레’에 비유하면서 자신이 비방과 조롱 가운데 있음을 탄식하고 있습니다(6절). 사람들은 심지어 시인이 하나님을 의뢰한다고 조롱하고 있습니다(7〜8절). 눈에 보이지도 않는 하나님을 의지해 고통에서 벗어나려고 하는 시도가 악인들의 눈에는 헛된 꿈에 불과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시인은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잊지 않습니다. 자신이 태어날 때부터, 젖먹이 시절부터 하나님의 보호하심을 경험했고, 자신은 어려서부터 하나님을 섬겨왔음을 잊지 않습니다(9〜10절). 어려운 일을 겪고 시험에 들어 신앙을 버리는 사람이 종종 있는데, 참된 신앙인은 아무리 큰 어려움을 겪어도 자신이 하나님께 속했음을 부인하지 않으며, 간구하기를 멈추지 않습니다(11절). 참된 신앙은 세상에서 잘되고 번영하는 모습이 아니라 상황이 어떠하든지 주님을 의지하고 간구하기를 멈추지 않는 모습으로 드러납니다.

속히 나를 도우소서(12~21절)

시인은 자신의 어려움을 다양하게 묘사하고 있습니다. ‘황소와 바산의 힘센 소들’이 사자처럼 부르짖는다는 것은 부유한 자와 권세자의 압제를 표현하고(12〜13절), 개들이 에워쌌다는 표현은 저열한 자들의 공격을 나타냅니다(16절). 시인은 그러한 압제와 공격 앞에서 형체를 유지하지 못하고 녹고 부서지는, 죽음과도 같은 고통을 겪으며 모든 것을 빼앗기는 상황에 놓여 있습니다(14〜15, 17〜18절). 그러나 시인은 이런 상황에도 체념하지 않고 하나님의 도우심을 구하기를 멈추지 않습니다. 시인은 앞에서 언급한 개와 사자와 소(들소)의 공격을 다시 언급하며 그 가운데 자신을 구원하실 분은 하나님이심을 의심하지 않고 있습니다. 아무리 현실이 어려워도 하나님의 도우심에 대한 시인의 확신은 전혀 흔들리지 않습니다.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기도하는 자는 반드시 응답을 받습니다.

시인 다윗은 자기가 당한 어려움에 믿음으로 맞서고 있으며, 하나님이 응답하지 않으시는 듯한 상황에서도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의심하지 않고, 아무리 조롱을 당한다 해도 하나님을 의뢰하기를 멈추지 않습니다. 문제가 눈앞에 놓여 있다면 우왕좌왕하지 말고 그 자리에서 기도해야 합니다. 주님이 가장 적절한 때에 가장 효과적인 방식으로 도우실 것입니다

0 views

Recent Posts

See All

1 다윗이 그 마음에 생각하기를 내가 후일에는 사울의 손에 붙잡히리니 블레셋 사람들의 땅으로 피하여 들어가는 것이 좋으리로다 사울이 이스라엘 온 영토 내에서 다시 나를 찾다가 단념하리니 내가 그의 손에서 벗어나리라 하고 2 다윗이 일어나 함께 있는 사람 육백 명과 더불어 가드 왕 마옥의 아들 아기스에게로 건너가니라 3 다윗과 그의 사람들이 저마다 가족을 거

13 이에 다윗이 건너편으로 가서 멀리 산 꼭대기에 서니 거리가 멀더라 14 다윗이 백성과 넬의 아들 아브넬을 대하여 외쳐 이르되 아브넬아 너는 대답하지 아니하느냐 하니 아브넬이 대답하여 이르되 왕을 부르는 너는 누구냐 하더라 15 다윗이 아브넬에게 이르되 네가 용사가 아니냐 이스라엘 가운데에 너 같은 자가 누구냐 그러한데 네가 어찌하여 네 주 왕을 보호하

1 십 사람이 기브아에 와서 사울에게 말하여 이르되 다윗이 광야 앞 하길라 산에 숨지 아니하였나이까 하매 2 사울이 일어나 십 광야에서 다윗을 찾으려고 이스라엘에서 택한 사람 삼천 명과 함께 십 광야로 내려가서 3 사울이 광야 앞 하길라 산 길 가에 진 치니라 다윗이 광야에 있더니 사울이 자기를 따라 광야로 들어옴을 알고 4 이에 다윗이 정탐꾼을 보내어 사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