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제사를 독점하던 시대는 끝났다_말라기 1:6-14

6 내 이름을 멸시하는 제사장들아 나 만군의 여호와가 너희에게 이르기를 아들은 그 아버지를, 종은 그 주인을 공경하나니 내가 아버지일진대 나를 공경함이 어디 있느냐 내가 주인일진대 나를 두려워함이 어디 있느냐 하나 너희는 이르기를 우리가 어떻게 주의 이름을 멸시하였나이까 하는도다

7 너희가 더러운 떡을 나의 제단에 드리고도 말하기를 우리가 어떻게 주를 더럽게 하였나이까 하는도다 이는 너희가 여호와의 식탁은 경멸히 여길 것이라 말하기 때문이라

8 만군의 여호와가 이르노라 너희가 눈 먼 희생제물을 바치는 것이 어찌 악하지 아니하며 저는 것, 병든 것을 드리는 것이 어찌 악하지 아니하냐 이제 그것을 너희 총독에게 드려 보라 그가 너를 기뻐하겠으며 너를 받아 주겠느냐

9 만군의 여호와가 이르노라 너희는 나 하나님께 은혜를 구하면서 우리를 불쌍히 여기소서 하여 보라 너희가 이같이 행하였으니 내가 너희 중 하나인들 받겠느냐

10 만군의 여호와가 이르노라 너희가 내 제단 위에 헛되이 불사르지 못하게 하기 위하여 너희 중에 성전 문을 닫을 자가 있었으면 좋겠도다 내가 너희를 기뻐하지 아니하며 너희가 손으로 드리는 것을 받지도 아니하리라

11 만군의 여호와가 이르노라 해 뜨는 곳에서부터 해 지는 곳까지의 이방 민족 중에서 내 이름이 크게 될 것이라 각처에서 내 이름을 위하여 분향하며 깨끗한 제물을 드리리니 이는 내 이름이 이방 민족 중에서 크게 될 것임이니라

12 그러나 너희는 말하기를 여호와의 식탁은 더러워졌고 그 위에 있는 과일 곧 먹을 것은 경멸히 여길 것이라 하여 내 이름을 더럽히는도다

13 만군의 여호와가 이르노라 너희가 또 말하기를 이 일이 얼마나 번거로운고 하며 코웃음치고 훔친 물건과 저는 것, 병든 것을 가져왔느니라 너희가 이같이 봉헌물을 가져오니 내가 그것을 너희 손에서 받겠느냐 이는 여호와의 말이니라

14 짐승 떼 가운데에 수컷이 있거늘 그 서원하는 일에 흠 있는 것으로 속여 내게 드리는 자는 저주를 받으리니 나는 큰 임금이요 내 이름은 이방 민족 중에서 두려워하는 것이 됨이니라 만군의 여호와의 말이니라

유다의 이웃 나라 에돔의 멸망은 당시 지중해 동쪽 지역의 격변하는 정세 가운데 일부였을 뿐입니다. 유다도 여러 위험한 상황을 경험했지만 나름 잘 벗어날 수 있었는데, 이는 하나님의 사랑 때문이었습니다. 하지만 유다 백성은 하나님의 보호는 인정하지 않고 계속 어려운 상황을 경험해야 하는 현실에 대해 불평을 늘어놓을 뿐이었습니다. 하지만 그들은 사실상 그런 불평을 할 자격이 없었습니다.

하나님의 이름을 멸시함(6~10절)

하나님은 말라기를 통해 유다 백성 중에서도 특히 제사장들에게 “너희가 그런 불평을 할 권리가 있느냐”고 묻고 계십니다(6절). 제사장들이 하나님의 이름을 멸시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그들은 정작 자신들의 잘못이 무엇인지 모를 정도로, 습관적으로 하나님의 이름을 멸시하고 있었습니다(7절). 성전의 제단에 더러운 떡을 올리고, 눈먼 희생제물을 바치는 일들이 벌어집니다. 제사장들이 백성이 끌고 온 흠 없는 양이나 염소를 자기가 가지고 있던 흠 있는 양이나 염소로 바꿔 제사를 드리곤 했습니다. “결국 태워 버릴 것인데 굳이 좋은 가축을 사용할 필요가 있느냐?”는 생각이었을 것입니다. 이는 하나님을 총독만큼도 인정하지 않는 불신앙이었습니다(8절). 제사장들이 하나님의 존재를 믿지 않았기 때문에 일어난 일이었습니다. 이처럼 하나님의 존재를 믿지도 않으면서 하나님의 은혜를 구하고 자기들을 불쌍히 여겨 달라는 그들의 기도가 응답을 받을 리 만무합니다(9절). 사람에게 하는 선물이었다면 그렇게 하지 않았을 자들이 하나님께는 흠이 있는 제물을 드리고 있었습니다. 사실 이런 제사를 드리느니 제사를 드리지 않는 것이 차라리 더 낫습니다(10절). 제사장들은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기 위해서가 아니라 백성이 가져온 제물을 얻기 위해 제사를 진행했기에 당연히 하나님의 은혜를 받을 수 없었습니다.

너희 하나님이 아니다(11~14절)

말라기 선지자를 통해 제사장들을 질타하신 하나님은 이어서 이방 민족들 중에 당신의 이름을 알리시고 그들로부터 제사를 받으시겠다고 말씀하십니다(11절). 이스라엘보다 이방인들이 오히려 하나님의 이름을 높이며 깨끗한 제물을 드릴 것이라는 말씀입니다. 유다의 제사장들이 얼마나 하나님의 이름을 더럽혔으면 이런 말씀까지 하셨을까요(12절). 어처구니없게도 유다의 제사장들은 제사 예식을 번거롭게 여기고 있었습니다(13절). 아무거나 태워 드리면 되지, 정결한 예물인지를 일일이 따질 필요가 있겠냐며, 큰 임금이신 만군의 여호와를 믿지 않았습니다(14절). 제사를 드리려면 다른 선택지가 없기 때문에 백성은 예루살렘 성전의 제사장들이 부패했음을 알면서도 찾아와 제사를 드릴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에 하나님은 예루살렘 성전의 독점권을 파하겠다고 선언하십니다. 열방 곳곳에서 하나님의 이름을 높이는 예배가 드려지고, 더 이상 예루살렘에서 제사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자들이 일어날 것이며, 하나님은 오히려 그 이방 민족들 가운데서 드리는 제사와 예배를 받으시겠다고 선지자를 통해 선언하고 계십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부활로 인해 실제로 이 말씀이 성취되었습니다. 결국 부패한 예루살렘은 버려지고, 온 세상 곳곳에서 하나님의 이름을 높이는 새 시대가 시작된 것입니다.

말라기의 예언에도 불구하고, 약 450년이 흘러 예수님이 오실 때까지 유대인들, 특히 제사장들은 돌이키지 않아 결국 망하고 말았습니다. 하나님의 이름을 멸시하며 아무렇게나 드리는 예배를 주님이 받으실 리가 없습니다. 우리가 예배하기 위해 모일 때, 하나님이 우리 가운데 계심을 기억해야 합니다. 그리고 사람이 만족스러운 예배가 아니라 하나님의 영광을 선포하고 높이는 온전한 예배를 드려야 합니다.

0 views

Recent Posts

See All

13 이에 다윗이 건너편으로 가서 멀리 산 꼭대기에 서니 거리가 멀더라 14 다윗이 백성과 넬의 아들 아브넬을 대하여 외쳐 이르되 아브넬아 너는 대답하지 아니하느냐 하니 아브넬이 대답하여 이르되 왕을 부르는 너는 누구냐 하더라 15 다윗이 아브넬에게 이르되 네가 용사가 아니냐 이스라엘 가운데에 너 같은 자가 누구냐 그러한데 네가 어찌하여 네 주 왕을 보호하

1 십 사람이 기브아에 와서 사울에게 말하여 이르되 다윗이 광야 앞 하길라 산에 숨지 아니하였나이까 하매 2 사울이 일어나 십 광야에서 다윗을 찾으려고 이스라엘에서 택한 사람 삼천 명과 함께 십 광야로 내려가서 3 사울이 광야 앞 하길라 산 길 가에 진 치니라 다윗이 광야에 있더니 사울이 자기를 따라 광야로 들어옴을 알고 4 이에 다윗이 정탐꾼을 보내어 사

36 아비가일이 나발에게로 돌아오니 그가 왕의 잔치와 같은 잔치를 그의 집에 배설하고 크게 취하여 마음에 기뻐하므로 아비가일이 밝는 아침까지는 아무 말도 하지 아니하다가 37 아침에 나발이 포도주에서 깬 후에 그의 아내가 그에게 이 일을 말하매 그가 낙담하여 몸이 돌과 같이 되었더니 38 한 열흘 후에 여호와께서 나발을 치시매 그가 죽으니라 39 나발이 죽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