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종의 능력_디모데후서 2:20-26

20 큰 집에는 금 그릇과 은 그릇뿐 아니라 나무 그릇과 질그릇도 있어 귀하게 쓰는 것도 있고 천하게 쓰는 것도 있나니

21 그러므로 누구든지 이런 것에서 자기를 깨끗하게 하면 귀히 쓰는 그릇이 되어 거룩하고 주인의 쓰심에 합당하며 모든 선한 일에 준비함이 되리라

22 또한 너는 청년의 정욕을 피하고 주를 깨끗한 마음으로 부르는 자들과 함께 의와 믿음과 사랑과 화평을 따르라

23 어리석고 무식한 변론을 버리라 이에서 다툼이 나는 줄 앎이라

24 주의 종은 마땅히 다투지 아니하고 모든 사람에 대하여 온유하며 가르치기를 잘하며 참으며

25 거역하는 자를 온유함으로 훈계할지니 혹 하나님이 그들에게 회개함을 주사 진리를 알게 하실까 하며

26 그들로 깨어 마귀의 올무에서 벗어나 하나님께 사로잡힌 바 되어 그 뜻을 따르게 하실까 함이라

디모데는 에베소교회 안에서 일어나는 많은 어려움을 눈앞에 두고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이런 그를 향해 바울은 하나님이 교회를 세우셨다는 사실을 선포합니다. 그리고 디모데가 어떤 신앙 자세를 가져야 하는지 권면을 이어갑니다.

귀히 쓰는 그릇(20〜22절)

바울은 집에서 사용하는 그릇들을 예로 들어, 디모데가 관심을 두어야 하는 덕목이 무엇인지 강조하고 있습니다. 큰 집에는 매우 다양한 그릇이 있습니다. 그릇의 질료가 무엇이든지, 주인이 쓰기에 합당한 그릇의 조건은 ‘깨끗함’입니다. 따라서 디모데가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것은 어떤 재질의 그릇이 될 것인가가 아니라, 깨끗한 그릇이 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바울은 구체적으로 깨끗한 삶의 모습을 제시합니다. 첫째, 청년의 정욕을 피하는 것입니다. 이는 젊은이들이 보편적으로 추구하는 욕구를 말하는 듯합니다. 성적 욕구, 쾌락, 권력, 소유에 대한 열망 등이 이에 포함됩니다. 둘째, 주님을 깨끗한 마음으로 부르는 자들, 곧 신앙과 삶이 일치하는 진실한 자들과 함께 의와 믿음과 사랑과 화평을 따라야 합니다. 하나님은 다양한 사람을 부르셨습니다. 각자의 재능이 다르며, 생각과 형편이 다릅니다. 그런데 우리는 그 조건에 관심을 둘 때가 많습니다. 남들보다 더 많이 인정받고 싶어 합니다. 하지만 바울은 우리의 관심이 청년의 정욕이 아닌 깨끗하게 준비되는 일에 있어야 한다고 가르칩니다. 만약 깨끗한 삶이 지속된다면 우리가 가진 재능이나 처한 환경에 상관없이, 우리는 하나님이 귀히 쓰시는 그릇이 될 것입니다. 우리가 하나님께 쓰임 받는지를 확인하는 기준은 우리의 관심이 깨끗한 삶에 있는지의 여부입니다. 물론 이것이 완전한 의로움을 말하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우리 안에 계시는 성령님이 이루어 가시는 성화의 모습이 보여야 한다는 것입니다.

주의 종의 능력(23~26절)

바울은 앞서 디모데 개인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권면했습니다. 이제는 타인에 대해 어떠한 태도를 취해야 하는지 가르칩니다. 먼저 바울은 디모데가 어리석고 무식한 변론을 버리기를 바랐습니다. 아무리 디모데 자신이 말씀에 대한 바른 지식을 가지고 있다고 할지라도, 어리석고 무식한 자들과 맞서 싸우다 보면 그 역시 어리석고 무식한 변론을 하게 되며, 그러한 변론은 다툼으로 끝날 수밖에 없었습니다. 특별히 여기서의 ‘변론’은 이단적 주장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래서 바울은 이단적 변론을 버리라고 강조합니다. 아예 그들과 대화하는 자리를 피하라는 것입니다. 그러면 소모적이고 불필요한 다툼을 피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특별히 하나님의 일을 감당하는 사람은 다투지 말아야 하며, 모든 사람을 온유함으로 대하고, 잘 가르치며 참을성이 있어야 합니다. 특별히 자기를 반대하는 사람에게도 온유한 태도로 대하며 잘 가르쳐야 합니다. 끝까지 그 사람을 하나님이 구원하시리라는 가능성을 붙잡고, 기대하는 마음을 가지고 그들을 대해야 하는 것입니다. 그리스도의 종 된 성도는 강한 자가 아니라 부드럽고 온유한 자가 되어야 합니다. 말로 싸우기를 즐기는 자가 되어서는 안 됩니다. 모든 사람을 온유함으로 대하는 태도야말로 주의 종이 가져야 할 덕목 중에 가장 우선시되는 덕목입니다.

믿음 안에서 세움 받은 하나님 나라의 일꾼은 스스로 성화의 길을 걸어야 합니다. 자신에 대한 깨끗함과 거룩함을 끝까지 포기해서는 안 됩니다. 또한 타인을 한없이 온유하고 인내함으로 대해야 합니다. 자신에게는 온유하고 관대하면서 타인에게는 냉철하고 인색한 것은 결코 진실한 그리스도인의 모습이 아닙니다. 거룩함과 온유함, 이것이 성도의 능력입니다.

17 views

Recent Posts

See All

1 다윗이 그 마음에 생각하기를 내가 후일에는 사울의 손에 붙잡히리니 블레셋 사람들의 땅으로 피하여 들어가는 것이 좋으리로다 사울이 이스라엘 온 영토 내에서 다시 나를 찾다가 단념하리니 내가 그의 손에서 벗어나리라 하고 2 다윗이 일어나 함께 있는 사람 육백 명과 더불어 가드 왕 마옥의 아들 아기스에게로 건너가니라 3 다윗과 그의 사람들이 저마다 가족을 거

13 이에 다윗이 건너편으로 가서 멀리 산 꼭대기에 서니 거리가 멀더라 14 다윗이 백성과 넬의 아들 아브넬을 대하여 외쳐 이르되 아브넬아 너는 대답하지 아니하느냐 하니 아브넬이 대답하여 이르되 왕을 부르는 너는 누구냐 하더라 15 다윗이 아브넬에게 이르되 네가 용사가 아니냐 이스라엘 가운데에 너 같은 자가 누구냐 그러한데 네가 어찌하여 네 주 왕을 보호하

1 십 사람이 기브아에 와서 사울에게 말하여 이르되 다윗이 광야 앞 하길라 산에 숨지 아니하였나이까 하매 2 사울이 일어나 십 광야에서 다윗을 찾으려고 이스라엘에서 택한 사람 삼천 명과 함께 십 광야로 내려가서 3 사울이 광야 앞 하길라 산 길 가에 진 치니라 다윗이 광야에 있더니 사울이 자기를 따라 광야로 들어옴을 알고 4 이에 다윗이 정탐꾼을 보내어 사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