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요셉이 그의 아버지 얼굴에 구푸려 울며 입맞추고
2 그 수종 드는 의원에게 명하여 아버지의 몸을 향으로 처리하게 하매 의원이 이스라엘에게 그대로 하되
3 사십 일이 걸렸으니 향으로 처리하는 데는 이 날수가 걸림이며 애굽 사람들은 칠십 일 동안 그를 위하여 곡하였더라
4 곡하는 기한이 지나매 요셉이 바로의 궁에 말하여 이르되 내가 너희에게 은혜를 입었으면 원하건대 바로의 귀에 아뢰기를
5 우리 아버지가 나로 맹세하게 하여 이르되 내가 죽거든 가나안 땅에 내가 파 놓은 묘실에 나를 장사하라 하였나니 나로 올라가서 아버지를 장사하게 하소서 내가 다시 오리이다 하라 하였더니
6 바로가 이르되 그가 네게 시킨 맹세대로 올라가서 네 아버지를 장사하라
7 요셉이 자기 아버지를 장사하러 올라가니 바로의 모든 신하와 바로 궁의 원로들과 애굽 땅의 모든 원로와
8 요셉의 온 집과 그의 형제들과 그의 아버지의 집이 그와 함께 올라가고 그들의 어린 아이들과 양 떼와 소 떼만 고센 땅에 남겼으며
9 병거와 기병이 요셉을 따라 올라가니 그 떼가 심히 컸더라
10 그들이 요단 강 건너편 아닷 타작 마당에 이르러 거기서 크게 울고 애통하며 요셉이 아버지를 위하여 칠 일 동안 애곡하였더니
11 그 땅 거민 가나안 백성들이 아닷 마당의 애통을 보고 이르되 이는 애굽 사람의 큰 애통이라 하였으므로 그 땅 이름을 아벨미스라임이라 하였으니 곧 요단 강 건너편이더라
12 야곱의 아들들이 아버지가 그들에게 명령한 대로 그를 위해 따라 행하여
13 그를 가나안 땅으로 메어다가 마므레 앞 막벨라 밭 굴에 장사하였으니 이는 아브라함이 헷 족속 에브론에게 밭과 함께 사서 매장지를 삼은 곳이더라
14 요셉이 아버지를 장사한 후에 자기 형제와 호상꾼과 함께 애굽으로 돌아왔더라
‘깨달음이 없는 결혼식은 있을 수 있어도 깨달음이 없는 장례식은 없다’는 말이 있습니다. 장례식에서는 누구라도 겸허해지고, 삶의 의미를 돌아보게 됩니다. 야곱은 아들들에게 축복의 메시지를 전하고, 147세의 일기로 마지막 숨을 내쉬었습니다. 그의 장례식 모습을 통해 인생에 관해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요?
요셉은 몸을 굽혀 울며 아버지의 얼굴에 입을 맞추고 애굽의 의원에게 아버지의 몸을 향으로 처리하게 했습니다(1〜2절). 시신을 향으로 처리하는 것은 높은 신분의 사람들에게 해당되는 특권이었습니다. 또한 야곱을 애도하는 날이 70일이었는데(3절), 이는 애굽 왕의 애도 기간과 같은 것입니다. 광야에서 돌베개를 베고 자던 도망자가 존귀한 자가 되어 많은 사람의 애도를 받으며 생을 마감하는 복을 누린 것입니다. 우리가 이 땅을 떠나는 날 야곱처럼 성대한 장례식이 진행되지는 않겠지만, 하나님 나라에 임하는 날에 천군 천사의 환대를 받게 될 것입니다(살전 4:16). 그날을 소망하며 이 땅에서 믿음으로 살아가야 합니다.
애도 기간이 끝나고 요셉은 가나안 땅에 가서 아버지를 장사하도록 허락해 달라고 바로에게 요청합니다(4〜5절). 요셉은 총리라는 중요한 직책을 맡고 있었기에 자리를 비우는 것이 큰 부담이었을 것이고, 바로의 허락을 구해야 하는 어려움도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요셉은 아버지와의 약속을 성실하게 이행하고자 합니다. 아버지의 유언이 하나님의 약속을 담고 있기에 요셉은 만사를 제쳐 놓고 아버지에게 한 맹세를 지키려 합니다. 하나님의 백성은 하나님의 말씀을 지키는데 이런 자세를 취해야 합니다.
바로는 요셉이 가나안 땅으로 올라가서 아버지를 장사하도록 허락합니다(6절). 바로가 요셉의 요청을 흔쾌히 들어준 것은 요셉이 평소에 신실하게 행함으로 바로의 절대적 신임을 얻었기에 가능했던 것입니다. 우리는 하나님을 믿는 자로서 세상에서 맡은 일에 탁월하고,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진실해야 합니다. 하나님은 그런 자들을 통해 당신의 영광과 능력을 나타내실 것입니다.
요셉은 바로의 모든 신하, 궁의 원로들, 병거와 기병을 이끌고 아버지를 장사하기 위해 가나안으로 향했습니다(7〜9절). 하나님이 이처럼 야곱을 존귀한 모습으로 가나안 땅에 이르게 하신 것은 그가 언약 백성 이스라엘의 조상이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혹 이 땅에서 다른 사람들에 비해 초라한 모습으로 살아간다 할지라도 하나님은 당신의 나라가 임하는 그 날에 우리를 존귀하게 대하실 것입니다. 그날을 기대하며 오늘을 소망 가운데 살아가십시오.
야곱의 아들들 ‘모두’가 마므레 앞 막벨라 굴에 이르러 아버지를 장사합니다(12〜13절). 이제껏 그들은 모두 함께한 일이 없었습니다. 하지만 아버지의 당부로 인해 그들은 한뜻과 한마음으로 함께 아버지의 장례를 치릅니다. 하나님 안에서 하나 된 마음은 모든 일을 가능하게 하고 함께 성장하게 합니다. 우리 가족과 공동체가 하나 됨을 이루어 하나님 말씀에 순종하기를 바랍니다.
죽음을 다른 말로 정의하면 ‘돌아가는 것’입니다. 창세기 저자도 야곱의 죽음을 ‘그의 백성(열조)에게로 돌아갔다’(49:33)고 표현합니다. 우리는 이 땅에서 살아가지만 언젠가 본향으로 돌아갈 사람들입니다. 열조와 함께 가나안 땅에 묻히기를 소망했던 야곱처럼, 장차 완성될 하나님 나라를 소망하며 준비하는 인생이 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