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여호와께서 사무엘에게 이르시되 내가 이미 사울을 버려 이스라엘 왕이 되지 못하게 하였거늘 네가 그를 위하여 언제까지 슬퍼하겠느냐 너는 뿔에 기름을 채워 가지고 가라 내가 너를 베들레헴 사람 이새에게로 보내리니 이는 내가 그의 아들 중에서 한 왕을 보았느니라 하시는지라
2 사무엘이 이르되 내가 어찌 갈 수 있으리이까 사울이 들으면 나를 죽이리이다 하니 여호와께서 이르시되 너는 암송아지를 끌고 가서 말하기를 내가 여호와께 제사를 드리러 왔다 하고
3 이새를 제사에 청하라 내가 네게 행할 일을 가르치리니 내가 네게 알게 하는 자에게 나를 위하여 기름을 부을지니라
4 사무엘이 여호와의 말씀대로 행하여 베들레헴에 이르매 성읍 장로들이 떨며 그를 영접하여 이르되 평강을 위하여 오시나이까
5 이르되 평강을 위함이니라 내가 여호와께 제사하러 왔으니 스스로 성결하게 하고 와서 나와 함께 제사하자 하고 이새와 그의 아들들을 성결하게 하고 제사에 청하니라
6 그들이 오매 사무엘이 엘리압을 보고 마음에 이르기를 여호와의 기름 부으실 자가 과연 주님 앞에 있도다 하였더니
7 여호와께서 사무엘에게 이르시되 그의 용모와 키를 보지 말라 내가 이미 그를 버렸노라 내가 보는 것은 사람과 같지 아니하니 사람은 외모를 보거니와 나 여호와는 중심을 보느니라 하시더라
8 이새가 아비나답을 불러 사무엘 앞을 지나가게 하매 사무엘이 이르되 이도 여호와께서 택하지 아니하셨느니라 하니
9 이새가 삼마로 지나게 하매 사무엘이 이르되 이도 여호와께서 택하지 아니하셨느니라 하니라
10 이새가 그의 아들 일곱을 다 사무엘 앞으로 지나가게 하나 사무엘이 이새에게 이르되 여호와께서 이들을 택하지 아니하셨느니라 하고
11 또 사무엘이 이새에게 이르되 네 아들들이 다 여기 있느냐 이새가 이르되 아직 막내가 남았는데 그는 양을 지키나이다 사무엘이 이새에게 이르되 사람을 보내어 그를 데려오라 그가 여기 오기까지는 우리가 식사 자리에 앉지 아니하겠노라
12 이에 사람을 보내어 그를 데려오매 그의 빛이 붉고 눈이 빼어나고 얼굴이 아름답더라 여호와께서 이르시되 이가 그니 일어나 기름을 부으라 하시는지라
13 사무엘이 기름 뿔병을 가져다가 그의 형제 중에서 그에게 부었더니 이 날 이후로 다윗이 여호와의 영에게 크게 감동되니라 사무엘이 떠나서 라마로 가니라
우리는 사람들을 볼 때 외모나 조건을 보고 판단합니다. 하지만 하나님은 우리의 중심, 속사람을 보시는 분입니다. 외모가 참으로 출중했던 사울을 왕으로 삼으신 것을 후회하신 하나님은 새로운 왕을 세우십니다. 새로운 왕이 세워지는 과정을 통해 우리는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요?
하나님은 사무엘에게 이미 사울을 버렸으니 더 이상 슬퍼하지 말라고 하시고, 새로운 왕을 세우기 위해 베들레헴 사람 이새에게 가라고 명령하십니다(1절). 하나님은 사울을 왕으로 세우신 것을 후회하셨지만, 새로운 역사를 준비하십니다. 이처럼 하나님은 쉬지 않고 역사를 이루어 가십니다. 우리도 이 시대의 악함과 교회의 쇠락으로 인해 안타까워만 하는 것이 아니라 이 땅에 부흥의 역사가 일어나기를 소망하며 멈추지 말고 사명을 감당해야 합니다.
사무엘이 사울 때문에 망설이자 하나님은 암송아지 하나를 끌고 가서 ‘여호와께 제사를 드리러 왔다’고 하라고 알려주십니다(2〜3절). 하나님은 이처럼 당신의 뜻에 순종하려는 사람들에게 사명만을 맡기시는 무관심한 분이 아니라 나아갈 길을 열어 주시고 지혜를 주시는 분입니다. 그러니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는 길을 걷고 있다면 결코 두려워하지 마십시오. 두려워하는 사무엘에게 길을 열어 주신 하나님이 우리의 앞길도 열어 주실 것입니다.
사무엘은 불안해하는 베들레헴 성읍 장로들에게 평강을 위해 하나님께 제사 드리러 왔다고 안심시키고, 이새와 그 아들들을 제사에 초청합니다(4〜5절). 하나님은 사울이 의심하지 못하도록 자연스럽게 이새의 아들들을 성읍 장로들이 있는 자리에서 만나게 하신 것입니다. 이처럼 하나님은 사명을 맡은 자를 세심하게 인도하시고 보호하십니다.
사무엘은 이새의 장자 엘리압을 보고 왕으로 적합한 인물이라고 확신했지만, 하나님은 겉모습을 보지 말라고 하십니다(6〜7절). 엘리압의 ‘용모와 키’는 신체적 요소뿐 아니라 기질이나 능력을 의미합니다. 그런데 하나님이 보시는 ‘사람의 중심’은 영적 태도와 신실한 마음을 의미합니다. 바로 여기에 우리의 소망이 있습니다. 마음 중심을 항상 하나님께 고정하십시오.
이새의 아들들이 모두 사무엘 앞을 지나갔는데, 하나님이 선택하신 자는 없었습니다. 사무엘이 또 다른 아들이 없는지 묻자 이새는 막내가 있다고 말합니다(8~11절). ‘막내’는 말째를 의미하기도 하지만, ‘가장 작은 자’를 암시하기도 합니다. 이 표현은 ‘큰 자’라는 뜻의 사울과 대조를 이루며, 다윗이 장차 하나님 마음에 합한 겸손한 자로 쓰임 받게 될 것을 암시합니다. 대부분 큰 자가 되어야 하나님께 쓰임 받는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하나님은 자신의 약함을 알고 하나님의 능력을 구하는 겸손한 자를 사용하십니다.
다윗은 그 빛이 붉고 눈이 빼어나고 얼굴이 아름다웠다고 묘사되었습니다(12절). 그러나 외모가 아름다워서 다윗이 하나님께 선택받은 것이 아닙니다. 이 표현은 용모의 아름다움이 아니라 하나님이 보신 그의 내적 자질이 외모로 투영된 모습을 묘사한 것입니다. 다윗처럼 내면의 아름다움을 소유한다면 겉으로 드러나는 신앙과 성품으로 외적인 모습마저 아름답게 보일 것입니다.
다윗이 새 왕으로 선택된 것은 하나님이 보시는 ‘중심’이 아름다웠기 때문입니다. 인간적인 판단과 기준으로 외면을 포장하기보다 다윗처럼 내면의 아름다움을 가꾸어 이 시대를 변화시키는 새 일꾼으로 쓰임 받기를 간절히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