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지도자의 문제에 대처하기_디모데전서 5:17-25

17 잘 다스리는 장로들은 배나 존경할 자로 알되 말씀과 가르침에 수고하는 이들에게는 더욱 그리할 것이니라

18 성경에 일렀으되 곡식을 밟아 떠는 소의 입에 망을 씌우지 말라 하였고 또 일꾼이 그 삯을 받는 것은 마땅하다 하였느니라

19 장로에 대한 고발은 두세 증인이 없으면 받지 말 것이요

20 범죄한 자들을 모든 사람 앞에서 꾸짖어 나머지 사람들로 두려워하게 하라

21 하나님과 그리스도 예수와 택하심을 받은 천사들 앞에서 내가 엄히 명하노니 너는 편견이 없이 이것들을 지켜 아무 일도 불공평하게 하지 말며

22 아무에게나 경솔히 안수하지 말고 다른 사람의 죄에 간섭하지 말며 네 자신을 지켜 정결하게 하라

23 이제부터는 물만 마시지 말고 네 위장과 자주 나는 병을 위하여는 포도주를 조금씩 쓰라

24 어떤 사람들의 죄는 밝히 드러나 먼저 심판에 나아가고 어떤 사람들의 죄는 그 뒤를 따르나니

25 이와 같이 선행도 밝히 드러나고 그렇지 아니한 것도 숨길 수 없느니라

바울은 이제 교회의 혼란을 수습하고 재정비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면서도 매우 민감한 문제를 언급하기 시작합니다. 바로 장로들에 관한 문제입니다. 바울은 감독과 집사, 과부들에 관련된 가르침에 비해 장로들에 대해서는 매우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습니다.

존경하는 마음으로(17-20절)

‘장로’로 번역된 ‘프레스뷔테로스’는 원래 ‘노인’이라는 뜻인데, 공동체의 ‘지도자’라는 의미로 확장된 것입니다. 초대교회에서 장로가 정확히 어떤 위치였는지를 파악하기는 어렵습니다. 다만 본문에 의하면 교회에서 존경의 대상이자 재정적으로 지원해야 하는 대상으로 여겨집니다(17-18절). 여기서 바울은 ‘장로에 대한 고소’문제에 대해 언급합니다(19절). 이는 아마도 거짓 교사들에 의해 촉발된 교회의 혼란과 관련해서 장로들의 책임에 대한 논란을 염두에 둔 것 같습니다. 바울은 교회의 문제를 이유로 장로들에게 함부로 책임추궁을 해서는 안 된다고 가르칩니다. 그러나 장로들의 범죄에 대해서는 분명히 대처하라는 가르침도 함께 제시하고 있습니다(20절). 장로들을 존경하고 함부로 의심하지 않도록 하되 범죄 사실이 분명하다면 모든 사람 앞에서 공적인 징계가 이뤄져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는 중요한 직분을 맡았으면 그 책임도 크다는 사실을 명확히 보여 줍니다.

신중하고 공정하게(21-23절)

장로들의 죄에 대해 다루는 일은 상당히 민감한 문제였던 모양입니다. 그래서 바울은 “하나님과 그리스도 예수와 택하심을 받은 천사들 앞에서 엄히 명하노니”라는 표현까지 써 가며 디모데에게 편견이나 불공평함 없이 그 문제를 다루어야 하며(21절) 무엇보다 함부로 두둔하거나(안수함), 함부로 비난하는(죄에 간섭함)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고 가르칩니다(22절). 디모데는 목회자로서 철저히 중립적인 입장을 취해야 하고, 무엇보다 다른 사람의 죄에 얽히지 않도록 자신을 정결하게 지켜야 했습니다(22b절). 특히 장로들의 잘잘못을 가리기 위해서는 그들의 문제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을 만한 도덕적 정결함을 교회로부터 인정받아야 했습니다. 바울이 편지에 이렇게 쓴 것은 에베소 교인들에게도 장로들의 잘못에 대해 함부로 이러쿵저러쿵 비난하고 비판하지 말라고 가르치기 위함이기도 합니다.

하나님 앞에서 모든 것은 드러난다(24-25절)

사실 교회의 문제는 마치 수학 문제처럼 답이 정확하게 나오는 일이 아닙니다. 어떻게든 자기 힘으로 잘잘못을 가리려다 보면 오히려 더 큰 문제가 생기거나 억울한 사람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바울은 디모데가 에베소교회의 문제를 해결하려다 보면 범죄 행위, 인간적 관계, 현실적 상황 등이 얽혀서 옳고 그름을 밝히기 어려운 상황에 맞닥뜨릴 것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결국에는 하나님이 죄와 선행을 드러나게 하신다고 디모데를 격려합니다. 어떤 죄는 먼저 밝히 드러나 심판을 받고, 어떤 죄는 잘 드러나지 않지만 앞서 드러난 죄에 의해 결국 드러나게 됩니다(24절). 마찬가지로 아무도 모르게 한 선행이라 해도 드러나지 않을 것은 없습니다(25절). 아무리 복잡한 문제라 하더라도 하나님을 의뢰하며 충성되게 대처하면 반드시 좋은 결과가 나타납니다.

교회가 바르게 서기 위해서는 지도자에 대한 ‘확실한 인정과 분명한 단죄’가 이뤄져야 합니다. 잘못이 분명하지 않은 상태에서 함부로 비난해서도 안 되고, 잘못이 분명하게 드러난 상태에서 무조건 감싸서도 안 됩니다. 지도자는 모든 성도에게 본이 되기 위해 힘쓰고, 성도는 지도자를 존중하며 동역할 때 교회를 바르게 세워갈 수 있습니다.

0 views

Recent Posts

See All

13 이에 다윗이 건너편으로 가서 멀리 산 꼭대기에 서니 거리가 멀더라 14 다윗이 백성과 넬의 아들 아브넬을 대하여 외쳐 이르되 아브넬아 너는 대답하지 아니하느냐 하니 아브넬이 대답하여 이르되 왕을 부르는 너는 누구냐 하더라 15 다윗이 아브넬에게 이르되 네가 용사가 아니냐 이스라엘 가운데에 너 같은 자가 누구냐 그러한데 네가 어찌하여 네 주 왕을 보호하

1 십 사람이 기브아에 와서 사울에게 말하여 이르되 다윗이 광야 앞 하길라 산에 숨지 아니하였나이까 하매 2 사울이 일어나 십 광야에서 다윗을 찾으려고 이스라엘에서 택한 사람 삼천 명과 함께 십 광야로 내려가서 3 사울이 광야 앞 하길라 산 길 가에 진 치니라 다윗이 광야에 있더니 사울이 자기를 따라 광야로 들어옴을 알고 4 이에 다윗이 정탐꾼을 보내어 사

36 아비가일이 나발에게로 돌아오니 그가 왕의 잔치와 같은 잔치를 그의 집에 배설하고 크게 취하여 마음에 기뻐하므로 아비가일이 밝는 아침까지는 아무 말도 하지 아니하다가 37 아침에 나발이 포도주에서 깬 후에 그의 아내가 그에게 이 일을 말하매 그가 낙담하여 몸이 돌과 같이 되었더니 38 한 열흘 후에 여호와께서 나발을 치시매 그가 죽으니라 39 나발이 죽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