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모르드개가 이 모든 일을 알고 자기의 옷을 찢고 굵은 베 옷을 입고 재를 뒤집어쓰고 성중에 나가서 대성 통곡하며
2 대궐 문 앞까지 이르렀으니 굵은 베 옷을 입은 자는 대궐 문에 들어가지 못함이라
3 왕의 명령과 조서가 각 지방에 이르매 유다인이 크게 애통하여 금식하며 울며 부르짖고 굵은 베 옷을 입고 재에 누운 자가 무수하더라
4 에스더의 시녀와 내시가 나아와 전하니 왕후가 매우 근심하여 입을 의복을 모르드개에게 보내어 그 굵은 베 옷을 벗기고자 하나 모르드개가 받지 아니하는지라
5 에스더가 왕의 어명으로 자기에게 가까이 있는 내시 하닥을 불러 명령하여 모르드개에게 가서 이것이 무슨 일이며 무엇 때문인가 알아보라 하매
6 하닥이 대궐 문 앞 성 중 광장에 있는 모르드개에게 이르니
7 모르드개가 자기가 당한 모든 일과 하만이 유다인을 멸하려고 왕의 금고에 바치기로 한 은의 정확한 액수를 하닥에게 말하고
8 또 유다인을 진멸하라고 수산 궁에서 내린 조서 초본을 하닥에게 주어 에스더에게 보여 알게 하고 또 그에게 부탁하여 왕에게 나아가서 그 앞에서 자기 민족을 위하여 간절히 구하라 하니
9 하닥이 돌아와 모르드개의 말을 에스더에게 알리매
10 에스더가 하닥에게 이르되 너는 모르드개에게 전하기를
11 왕의 신하들과 왕의 각 지방 백성이 다 알거니와 남녀를 막론하고 부름을 받지 아니하고 안뜰에 들어가서 왕에게 나가면 오직 죽이는 법이요 왕이 그 자에게 금 규를 내밀어야 살 것이라 이제 내가 부름을 입어 왕에게 나가지 못한 지가 이미 삼십 일이라 하라 하니라
12 그가 에스더의 말을 모르드개에게 전하매
13 모르드개가 그를 시켜 에스더에게 회답하되 너는 왕궁에 있으니 모든 유다인 중에 홀로 목숨을 건지리라 생각하지 말라
14 이 때에 네가 만일 잠잠하여 말이 없으면 유다인은 다른 데로 말미암아 놓임과 구원을 얻으려니와 너와 네 아버지 집은 멸망하리라 네가 왕후의 자리를 얻은 것이 이 때를 위함이 아닌지 누가 알겠느냐 하니
15 에스더가 모르드개에게 회답하여 이르되
16 당신은 가서 수산에 있는 유다인을 다 모으고 나를 위하여 금식하되 밤낮 삼 일을 먹지도 말고 마시지도 마소서 나도 나의 시녀와 더불어 이렇게 금식한 후에 규례를 어기고 왕에게 나아가리니 죽으면 죽으리이다 하니라
17 모르드개가 가서 에스더가 명령한 대로 다 행하니라
어제 본문에서 우리는 수산 성에 큰 소동이 일어났는데 정작 그 소동을 일으킨 왕과 대신은 궁궐 안에서 아무 일 없었다는 듯 먹고 마시는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이는 그들이 통치자로서 자격이 없음을 드러내는 확실한 증거입니다. 이에 비해 모르드개와 에스더는 유다인의 지도자가 될 충분한 자격을 갖추었음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고통을 공유하는 지도자(1~4절)
아무리 인권의식이 없던 시절이지만, 왕이 자기가 통치하는 민족들 중 한 민족을 멸한다는 조서를 반포하는 어이없는 상황이 벌어졌습니다. 이에 모르드개는 격정적인 슬픔을 표현하며 굵은 베를 입고 대궐 문 앞까지 나아갑니다(1〜2절). 모르드개는 이처럼 유다인들의 대표로서 행동하고 있었습니다(3절). 에스더는 모르드개가 궁궐에 들어올 수 있도록 갈아입을 옷을 보내지만(4a절), 모르드개는 이를 거절합니다. 이를 통해 궁궐 바깥에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알기 어려웠던 에스더는 현재 상황이 얼마나 엄중한가를 깨달았을 것입니다(4b절). 참된 지도자는 이처럼 자기 백성이 위기에 처했을 때 함께 고통을 공유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자신을 던질 줄 아는 사람입니다.
바른길을 택하는 지도자(5~12절)
모르드개는 궁궐로 들어가지 않고 내시 하닥을 통해 에스더와 대화를 진행합니다(5〜6, 9〜10, 12절). 이 일이 에스더와 모르드개 사이의 밀실 대화가 아니라 공적 정치 행위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모르드개는 에스더를 자기 조카가 아닌 왕후로 대하며 공식적으로 요청했습니다. 모르드개는 에스더에게 하만이 유다인을 멸하기 위해 얼마의 돈을 바쳤으며, 유다인을 진멸하라는 조서가 어떻게 내려왔는지 정확하게 알립니다(7〜8절). 이는 밀실에서 왕에게 돈을 바쳐 어이없는 조서를 작성하게 한 하만의 모습과는 확실히 다릅니다. 안타깝게도 바사의 궁중 법도는 모르드개와 에스더에게 불리했습니다. 왕이 부르지 않은 상황에서 먼저 나아갔다가 죽임을 당할 수도 있었습니다(11절). 그러나 모르드개와 에스더는 이렇게 왜곡되고 불합리한 법도가 적용되는 왕궁에서도 주저 없이 올바른 길을 선택했습니다. 하나님은 이렇게 바른길을 걷는 자들을 도우십니다.
사명을 위해 목숨을 거는 지도자(13~17절)
유다인들의 유일한 희망은 바로 왕후 에스더였습니다. 모르드개는 에스더가 동족을 외면할지 모른다는 우려를 갖고 있었습니다(13절). 이에 모르드개는 ‘하나님’이란 단어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그 구원과 섭리에 대한 믿음을 표현하며, 에스더가 왕후가 된 것도 동족을 구원하라는 사명일 수 있음을 강조합니다(14절). 모르드개의 우려와는 달리, 에스더는 동족의 위험을 외면하는 이기적인 겁쟁이가 아니었습니다. 에스더는 동족이 모두 죽을 위기 앞에 자기 혼자 살기를 선택하지 않았으며, 자기에게 맡겨진 하나님의 사명을 인식하고, 동족에게 금식하며 간절히 자신을 위해 기도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16절). 이처럼 위기 상황에 자신의 위치를 알고 그 사명이 무엇인지를 알며 그것을 완수하기 위해 모든 것을 거는 사람이야말로 참된 지도자입니다.
“나는 지도자가 아니니 상관없다”고 생각해서는 안 됩니다. 우리는 모두 하나님 나라의 통치자로 부름을 받았고, 크든 작든 삶의 영역에서 지도력을 발휘하도록 부르심을 입었습니다. 형제와 이웃의 고통에 동참하고, 올바른 길을 선택하여 따르고, 자기에게 맡겨진 사명을 다하기 위해서는 어떤 대가라도 치를 준비가 되어 있는 사람이야말로 하나님 나라에서 쓰임 받기에 합당한 그리스도의 제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