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우상의 제물에 대하여는 우리가 다 지식이 있는 줄을 아나 지식은 교만하게 하며 사랑은 덕을 세우나니
2 만일 누구든지 무엇을 아는 줄로 생각하면 아직도 마땅히 알 것을 알지 못하는 것이요
3 또 누구든지 하나님을 사랑하면 그 사람은 하나님도 알아 주시느니라
4 그러므로 우상의 제물을 먹는 일에 대하여는 우리가 우상은 세상에 아무 것도 아니며 또한 하나님은 한 분밖에 없는 줄 아노라
5 비록 하늘에나 땅에나 신이라 불리는 자가 있어 많은 신과 많은 주가 있으나
6 그러나 우리에게는 한 하나님 곧 아버지가 계시니 만물이 그에게서 났고 우리도 그를 위하여 있고 또한 한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계시니 만물이 그로 말미암고 우리도 그로 말미암아 있느니라
7 그러나 이 지식은 모든 사람에게 있는 것은 아니므로 어떤 이들은 지금까지 우상에 대한 습관이 있어 우상의 제물로 알고 먹는 고로 그들의 양심이 약하여지고 더러워지느니라
8 음식은 우리를 하나님 앞에 내세우지 못하나니 우리가 먹지 않는다고 해서 더 못사는 것도 아니고 먹는다고 해서 더 잘사는 것도 아니니라
9 그런즉 너희의 자유가 믿음이 약한 자들에게 걸려 넘어지게 하는 것이 되지 않도록 조심하라
10 지식 있는 네가 우상의 집에 앉아 먹는 것을 누구든지 보면 그 믿음이 약한 자들의 양심이 담력을 얻어 우상의 제물을 먹게 되지 않겠느냐
11 그러면 네 지식으로 그 믿음이 약한 자가 멸망하나니 그는 그리스도께서 위하여 죽으신 형제라
12 이같이 너희가 형제에게 죄를 지어 그 약한 양심을 상하게 하는 것이 곧 그리스도에게 죄를 짓는 것이니라
13 그러므로 만일 음식이 내 형제를 실족하게 한다면 나는 영원히 고기를 먹지 아니하여 내 형제를 실족하지 않게 하리라
이제 바울은 우상에게 바쳐진 고기를 먹는 문제를 세 장에 걸쳐 다루고 있습니다(8:1〜11:1). 앞에서 남녀관계에 대한 문제에서는 그리스도인이 자유를 누리는 열쇠로서 ‘하나님을 기쁘시게 함’을 제시했다면, 우상 제물의 문제에서는 ‘지식보다는 사랑’이라는 가치관이 제시됩니다.
바른 지식은 좋은 것이다(1~6절)
우상 신전에 바쳐졌던 제물은 아무래도 좋은 가축을 쓰기에 고기의 질도 좋고 가격도 비싸지 않았을 테니 성도들도 그 고기를 사 먹고 싶었을 것입니다. 이 문제 앞에서 바울은‘지식은 교만, 사랑은 덕’이라는 8〜10장의 주제 문구를 제시합니다(1절). 그리고 지식의 한계를 지적하며 지식보다는 사랑이 하나님께 인정받는다고 가르칩니다(2〜3절). 그렇다고 올바른 지식의 중요성을 폄하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올바른 지식부터 제시했습니다. 우상은 아무것도 아니며 다른 신은 없고 오직 주님은 예수 그리스도뿐이라는 사실입니다(4〜6절). 즉 우상 제물에 어떤 사악한 영적 기운이 스며들어 있지 않다는 것입니다. 다른 종교의 건물이나 기물 또는 제사 음식 등에 영적 영향력이 있다는 식으로 가르치는 사람들이 있는데, 사실 이 가르침은 옳지 않습니다. 무엇인가를 금지할 때에도 바른 지식은 존중되어야 합니다.
바른 지식도 위험할 수 있다(7~11절)
문제는 교회 가운데 우상에게 바쳐졌던 고기를 꺼림칙하게 여기는 형제들이 있었다는 사실입니다(7절). 바울은 이 문제가 하나님 앞에서 지켜야 할 경건과는 아무 관련이 없다고 강조합니다(8절). 하지만 신앙이 연약한 자들의 잘못된 지식을 고쳐야 한다는 식의 처방을 내리지 않습니다. 오히려 바울은 바른 지식을 가진 자들이 신앙이 어린 자들을 배려해야 한다고 가르칩니다(9절). 신앙의 선배들이 우상 제물을 꺼리지 않고 먹는 것을 초신자들이 본다면 오해할 수 있습니다(10절). 이렇게 되면 바른 지식이 형제를 멸망시키는
결과로 나타납니다(11절). 바울은 유대교처럼 ‘부정한 고기를 먹어서는 안 된다’는 율법을 제시하지 않았습니다. 먹는 것 때문에 사랑하는 형제를 잃어서는 안 된다고 가르쳤습니다. 결국 성도의 행동 기준은 사랑입니다.
행동 기준을 바르게 정립하라(12~13절)
우상에게 바쳐졌던 고기를 먹는 것이 죄가 아니라, 그로 인해 형제의 약한 양심을 상하게 하는 것이 죄입니다(12절). 이처럼 그리스도인들은 언제나 공동체 안에서 관계성을 인식해야 합니다. 또 지식을 삶의 기준으로 삼아서는 안 되고, 사랑하는 지체들을 위해 어떤 선택을 해야 하는지를 늘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바울은 이것을 가르치며 만약 자기가 고기를 먹는 것이 다른 형제를 실족하게 한다면 영원히 고기를 먹지 않겠다고 말합니다(13절). 좋아하는 음식을 먹는 즐거움보다 형제를 세우는 것이 먼저라는 말입니다. 그리스도인은 율법으로부터 자유를 얻었지만, 서로 사랑하라는 새 계명의 종이 되었기에, 자신의 행위가 사랑에 근거해 있는지 점검하고 선택해야 합니다. 근본적으로 성도들은 자유롭지만, 예수님이 우리를 사랑하시기에 그 자유를 포기하셨듯이, 우리도 사랑을 위해 내 자유를 포기할 줄 알아야 합니다.
현대 교회에도 제사 음식, 술, 담배 등 신앙 자체와 큰 연관성은 없지만 꽤 심각한 문제들이 있습니다. 우리는 그것이 형제를 넘어뜨리고 방탕한 생활을 합리화하는 요인이 되지 않을지 점검해야 합니다. 우리는 예수님이 모든 사람을 위해 당신의 자유를 포기하셨음을 기억해야 합니다. 내가 누릴 권리가 있으나 형제를 위해, 교회의 덕을 위해 포기하는 것이야말로 예수님의 뒤를 따르는 제자의 삶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