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내가 모든 사람에게서 자유로우나 스스로 모든 사람에게 종이 된 것은 더 많은 사람을 얻고자 함이라
20 유대인들에게 내가 유대인과 같이 된 것은 유대인들을 얻고자 함이요 율법 아래에 있는 자들에게는 내가 율법 아래에 있지 아니하나 율법 아래에 있는 자 같이 된 것은 율법 아래에 있는 자들을 얻고자 함이요
21 율법 없는 자에게는 내가 하나님께는 율법 없는 자가 아니요 도리어 그리스도의 율법 아래에 있는 자이나 율법 없는 자와 같이 된 것은 율법 없는 자들을 얻고자 함이라
22 약한 자들에게 내가 약한 자와 같이 된 것은 약한 자들을 얻고자 함이요 내가 여러 사람에게 여러 모습이 된 것은 아무쪼록 몇 사람이라도 구원하고자 함이니
23 내가 복음을 위하여 모든 것을 행함은 복음에 참여하고자 함이라
24 운동장에서 달음질하는 자들이 다 달릴지라도 오직 상을 받는 사람은 한 사람인 줄을 너희가 알지 못하느냐 너희도 상을 받도록 이와 같이 달음질하라
25 이기기를 다투는 자마다 모든 일에 절제하나니 그들은 썩을 승리자의 관을 얻고자 하되 우리는 썩지 아니할 것을 얻고자 하노라
26 그러므로 나는 달음질하기를 향방 없는 것 같이 아니하고 싸우기를 허공을 치는 것 같이 아니하며
27 내가 내 몸을 쳐 복종하게 함은 내가 남에게 전파한 후에 자신이 도리어 버림을 당할까 두려워함이로다
바울은 그리스도인들은 율법으로부터 자유롭다고 천명했습니다. 그러나 이는 결코 방종을 의미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그리스도인의 자유는 율법이 가르치는 사랑보다 더 큰 사랑을 실천하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바울은 자신의 삶을 통해 이 사실을 명확히 드러냈습니다.
종이 되기를 선택하는 자유(19〜23절)
바울이 가진 삶의 원칙은 ‘예수님 닮기’라는 말로 요약됩니다. 그가 자유를 가르치면서도 모든 사람에게 종처럼 행동한 이유는 바로 세상 사람들을 구속하시는 그리스도의 역사가 자신을 통해 일어나기를 소망했기 때문입니다(19, 23절). 예수님이 십자가를 지심으로 많은 사람을 구원하셨으니, 자신은 모든 사람에게 종이 됨으로써 예수님처럼 많은 사람을 구원할 수 있으리라 여겼다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바울은 자기의 모든 것, 태어나면서부터 가지고 있었던 민족적 정체성까지도 포기할 준비가 되어 있었습니다. 그는 단지 생활비만 포기한 것이 아니라 필요하다면 자신의 모든 것을 얼마든지 포기했습니다. 그는 유대인들 앞에서는 철저하게 율법을 지키는 유대인으로서, 이방인들 앞에서는 이방인들의 문화를 수용하는 삶을 살았습니다(20〜21절). 또한 약한 자들, 즉 유대인으로서 예수님을 영접하여 그리스도인이 되었지만 유대인이 지켜야 할 금기나 문화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자들도 책망하기보다는 인정하고 수용하는 태도를 보였습니다(22절). 바울에게 최고의 가치는 예수님 닮기였고 예수님이 사랑하신 영혼들이었기에 예수님처럼 그들을 구원하기 위해 포기해야 할 것이 있다면 무엇이든 포기했습니다. 무엇인가를 가득 붙들고 있으면 진정한 자유를 누릴 수 없습니다. 밭에서 발견한 보화를 얻기 위해 모든 소유를 팔아버린 사람처럼(마 13:44), 영원한 것을 얻기 위해 일시적인 것들을 포기하는 지혜를 가져야 합니다.
최선을 다해 노력하는 자유(24~27절)
바울은 자기 삶을 달리기 선수와 격투기 선수에 빗대어 설명합니다(24〜25절). 이들은 자유와는 전혀 상관이 없어 보이는 두 종류의 사람입니다. 운동선수들은 유한한 보상을 얻을 뿐임에도 최선을 다하며 모든 일에 절제하며 살아가는데, 영원한 상을 얻으려 하는 그리스도인들이 그들만큼도 노력하지 않을 수는 없습니다. 바울은 자신이 달리기 선수처럼 방향과 목적을 정확히 잡아서 달리고, 격투기 선수처럼 자기 몸을 쳐서 복종시키고 있다고 고백합니다(26〜27절). 무엇을 위해 사역할 것인지 목표를 명확하게 하고, 내가 싸울 대적은 바로 나 자신이라는 사실을 명확히 한다는 뜻입니다. 특히 바울은 복음 사역이 자신과의 싸움이라는 사실을 잘 알았습니다. 또 복음을 전파하여 교회를 세우는 사역을 감당한 후에라도 그것을 통해 자기 영광을 얻게 되고, 결국 주님께 영광을 돌리지 않을 수도 있음을 이미 알고 있었습니다. 그렇기에 바울은 자기 자신을 믿지 않았고 자신을 쳐서 복종시키지 않으면 하나님으로부터 버림받을 수도 있다는 경각심을 숨기지 않았습니다. 자신의 것을 포기하고 다른 사람을 배려하는 삶이 쉽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예수님의 십자가를 생각하고, 내 것을 내어놓고 다른 이들을 배려하며 사는 삶의 끝에는 영원한 영광이 있음을 믿는다면 놀라운 영광과 자유를 누릴 수 있을 것입니다.
이 세상에 하나님의 영광이 드러나게 하겠다는 일념만이 우리를 바울처럼 결의에 찬 삶으로 인도할 수 있습니다. 진정한 자유는 예수님을 따르는 데서 옵니다. 주님의 종이 되어 땀 흘려 섬기고 내 몫의 십자가를 지며 살아가는 삶이야말로 어느 누구도 경험해 보지 못한 참된 자유이며 기쁨이 됩니다. 오늘 하루, 주님을 위해 내 것을 내려놓고 최선을 다하여 주님을 섬기기를 소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