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들에 있는 모든 지휘관과 그 부하들이 바벨론의 왕이 아히감의 아들 그다랴에게 그 땅을 맡기고 남녀와 유아와 바벨론으로 잡혀가지 아니한 빈민을 그에게 위임하였다 함을 듣고
8.그들 곧 느다냐의 아들 이스마엘과 가레아의 두 아들 요하난과 요나단과 단후멧의 아들 스라야와 느도바 사람 에배의 아들들과 마아가 사람의 아들 여사냐와 그들의 사람들이 미스바로 가서 그다랴에게 이르니
9.사반의 손자 아히감의 아들 그다랴가 그들과 그들의 사람들에게 맹세하며 이르되 너희는 갈대아 사람을 섬기기를 두려워하지 말고 이 땅에 살면서 바벨론의 왕을 섬기라 그리하면 너희에게 유익하리라
10.보라 나는 미스바에 살면서 우리에게로 오는 갈대아 사람을 섬기리니 너희는 포도주와 여름 과일과 기름을 모아 그릇에 저장하고 너희가 얻은 성읍들에 살라 하니라
11.모압과 암몬 자손 중과 에돔과 모든 지방에 있는 유다 사람도 바벨론의 왕이 유다에 사람을 남겨 둔 것과 사반의 손자 아히감의 아들 그다랴를 그들을 위하여 세웠다 함을 듣고
12.그 모든 유다 사람이 쫓겨났던 각처에서 돌아와 유다 땅 미스바에 사는 그다랴에게 이르러 포도주와 여름 과일을 심히 많이 모으니라
13.가레아의 아들 요하난과 들에 있던 모든 군 지휘관들이 미스바에 사는 그다랴에게 이르러
14.그에게 이르되 암몬 자손의 왕 바알리스가 네 생명을 빼앗으려 하여 느다냐의 아들 이스마엘을 보낸 줄 네가 아느냐 하되 아히감의 아들 그다랴가 믿지 아니한지라
15.가레아의 아들 요하난이 미스바에서 그다랴에게 비밀히 말하여 이르되 청하노니 내가 가서 사람이 모르게 느다냐의 아들 이스마엘을 죽이게 하라 어찌하여 그가 네 생명을 빼앗게 하여 네게 모인 모든 유다 사람을 흩어지게 하며 유다의 남은 자로 멸망을 당하게 하랴 하니라
16.그러나 아히감의 아들 그다랴가 가레아의 아들 요하난에게 이르되 네가 이 일을 행하지 말 것이니라 네가 이스마엘에 대하여 한 말은 진정이 아니니라 하니라
바벨론 왕은 황폐해진 유다를 그다랴에게 위임했습니다. 그의 아버지는 정치적으로 영향력이 있던 아히감이었습니다. 그는 예레미야의 예언에 청종하는 자세를 보인 열린 마음의 소유자였습니다. 그다랴의 유다 통치 역시 예레미야의 예언을 반영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렇다면 통치의 특징과 우리가 배울 교훈은 무엇일까요?
1. 바벨론의 지배를 인정함
그다랴는 바벨론의 통치를 받아들였습니다. 그는 바벨론으로 잡혀가지 않은 유다 백성에게 갈대아 사람들을 섬기기를 두려워하지 말라고 말합니다. 이것은 그가 예레미야의 예언을 하나님의 말씀으로 받아들였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습니다. 그다랴는 유다 백성이 하나님의 말씀에 불순종할 뿐 아니라 우상을 섬김으로 하나님의 심판을 받게 되었다는 사실을 인정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하나님의 심판 도구인 바벨론의 지배를 받아들여야 한다고 생각했던 것입니다. 그다랴의 이러한 태도는 철저히 심판의 정당성을 수용한 것입니다. 그런데 하나님의 의로우심을 아는 성도들에게도 그다랴와 같은 태도를 갖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오히려 자신에게 일어나는 하나님의 징계를 인간적으로 판단하고 부당함을 항변하고 싶어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태도로는 하나님이 원하시는 거룩함에 이를 수 없습니다. 하나님이 죄라고 말씀하시는 것을 그대로 수용하고 죄로부터 돌이키는 것이야말로 죄의 문제를 해결하는 유일한 길입니다. 만약 죄로 인해 어려움에 처해 있는 성도가 있다면, 변명하거나 죄를 합리화하려는 태도를 버리기 바랍니다. 하나님을 향한 원망도 거두어야 합니다. 대신 징계의 고난을 통해 새롭게 하시고 정결하게 하시는 하나님의 뜻을 믿고 무릎을 꿇고 기도해야 합니다. 그럴 때 하나님이 죄인을 용서해 주시고 하나님 나라에 합당한 자녀이자 거룩한 성도로 빚어 주실 것입니다.
2. 인간적 한계
미스바에는 바벨론에 포로로 잡혀가지 않고 뿔뿔이 흩어졌던 사람들이 모이기 시작했습니다. 그들 중에는 그다랴의 통치를 인정하고 그의 정책을 따르려는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반면 바벨론에 대한 그의 우호적 태도에 적개심을 갖고 그의 정책에 반대하는 사람들도 있었습니다. 특히 이스마엘은 바벨론과 적대적 관계에 있던 암몬 족속과 연합해 그다랴를 암살하려 했습니다. 그다랴는 이러한 소문을 들었지만 어떠한 조치도 취하지 않았습니다. 소문을 믿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자신을 반대하는 사람들까지 수용하려는 마음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아미도 그는 그러한 태도를 유다 백성에게 보여 줌으로써 황폐한 유다 땅 안에서 백성이 서로를 향한 적대심과 원망의 마음을 극복하고 연합하기를 원했을 것입니다. 유다 백성은 바벨론의 지배에 대해서도 엇갈린 의견 차이로 분열되어 있었습니다. 이렇게 분열된 상황을 타개하여 사람들의 마음을 하나로 모으고 다시 예루살렘이 회복되기를 기대한 것입니다. 이처럼 그다랴의 통치의 특징은 모든 사람을 포용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유다의 회복은 그다랴를 통해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하나님이 약속하신 대로 70년간의 포로 생활 후에 이루어졌습니다. 포용력과 지도력을 갖춘 리더는 위기를 맞은 공동체에게 매우 중요한 존재입니다. 하지만 그것이 전부는 아닙니다. 가장 중요하고 높은 통치자는 하나님이십니다. 우리는 인간 통치의 한계를 겸손히 인정하고, 역사의 배후에서 주권적으로 일하시는 하나님을 바라보아야 합니다.
죄로 인해 무너진 공동체를 다시 세우기 위해서는 구성원들이 죄를 인정하는 겸손한 태도를 보여야 합니다. 회복시키시는 분은 오직 하나님뿐임을 믿고, 징계와 회복의 과정을 겸손히 따라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