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그 때에 세례 요한이 이르러 유대 광야에서 전파하여 말하되
2.회개하라 천국이 가까이 왔느니라 하였으니
3.그는 선지자 이사야를 통하여 말씀하신 자라 일렀으되 광야에 외치는 자의 소리가 있어 이르되 너희는 주의 길을 준비하라 그가 오실 길을 곧게 하라 하였느니라
4.이 요한은 낙타털 옷을 입고 허리에 가죽 띠를 띠고 음식은 메뚜기와 석청이었더라
5.이 때에 예루살렘과 온 유대와 요단 강 사방에서 다 그에게 나아와
6.자기들의 죄를 자복하고 요단 강에서 그에게 세례를 받더니
7.요한이 많은 바리새인들과 사두개인들이 세례 베푸는 데로 오는 것을 보고 이르되 독사의 자식들아 누가 너희를 가르쳐 임박한 진노를 피하라 하더냐
8.그러므로 회개에 합당한 열매를 맺고
9.속으로 아브라함이 우리 조상이라고 생각하지 말라 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하나님이 능히 이 돌들로도 아브라함의 자손이 되게 하시리라
10.이미 도끼가 나무 뿌리에 놓였으니 좋은 열매를 맺지 아니하는 나무마다 찍혀 불에 던져지리라
회개는 자동차가 길을 잘못 들었을 때 유턴하여 다시 원래의 자리로 돌아와 바른길로 가는 것과 같습니다. 잘못을 그냥 인정하는 차원이 아니라 삶 전체의 방향을 바꾸는 것입니다. 세례 요한의 외침 속에서 회개의 의미를 깨닫고 진정한 회개의 삶을 살아갈 수 있기를 원합니다.
1. 죄를 자복함
세례 요한이 광야에서 “회개하라, 천국이 가까이 왔느니라”라고 외치자 많은 사람이 그 앞에 나와서 죄를 자복했습니다. 자신의 죄를 고백함으로 하나님과 사람들 앞에 자신의 정체를 있는 그대로 드러낸 것입니다. 세상에는 자신은 죄인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그들은 다른 사람들과 자신을 비교하면서 자신은 비교적 윤리적으로 살았다고 판단합니다. 그러나 회개는 거룩하신 하나님 앞에서 자신이 죄인임을 깨닫고 입술로 자복하는 것으로 시작됩니다. 하나님은 자신의 죄를 자백하는 자에게 은혜를 베푸사 그 죄를 사하시며 그를 모든 불의에서 깨끗하게 하십니다(요일 1:9). 반면에 자신이 범죄하지 않았다고 주장하는 자들은 하나님을 거짓말하는 이로 만드는 자들로, 죄 사함의 은총을 입을 수 없습니다(요일 1:10). 그러므로 성도는 날마다 하나님의 말씀 앞에서 자신의 부족함과 결핍을 인식하고 고백해야 합니다. 이러한 성도의 자복은 기도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그러므로 성도는 쉬지 말고 기도하는 생활 속에서 날마다 죄 사함의 은혜를 체험해야 합니다(살전 5:17).
2. 자기를 부인함
바리새인과 사두개인이 요한이 세례를 베푸는 곳에 찾아오자, 요한은 그들을 향해 ‘독사의 자식들’이라고 독설을 합니다. 그리고 스스로 아브라함의 자손이라고 생각하지 말라고 외칩니다. 혈통적 아브라함의 자손이라는 선민의식으로 자신들을 스스로 의인이라고 생각하는 그들을 책망한 것입니다(갈 3:7). 그들의 영적 교만이 메시아이신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았습니다. 그들은 마음속에 있는 더럽고 타락한 욕망을 종교 행위로 포장하여 스스로를 거룩하다고 속였습니다. 세례 요한은 그러한 외식을 벗어 버림으로 자신을 부인하고 하나님의 은혜가 필요한 죄인의 모습으로 나아오기를 촉구했습니다. 진정한 회개는 자기를 부인하고 오직 주님만이 삶의 주인이심을 시인하는 것입니다(눅 9:23).
3. 성령의 열매를 맺음
세례 요한은 유대 종교 지도자들을 향해 독설을 하면서도 그들에게 ‘회개의 합당한 열매’를 맺으라고 촉구합니다. 이는 겉치레가 아닌 중심으로부터 온전히 회개하라는 의미입니다. 사람이 회개하기 전에는 정욕을 따라 육체의 열매를 맺으며 살아갑니다. 그러나 회개하여 성령을 받으면 그 후로는 성령의 열매를 맺게 됩니다. 죄의 영향으로부터 벗어나 하나님의 영의 인도를 받아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삶의 열매를 맺는 것입니다. 회개하기 전의 음행, 우상숭배, 분쟁, 투기 등의 죄의 열매가 사랑, 희락, 화평, 오래 참음, 자비, 양선, 충성, 온유, 절제의 성령의 열매로 바뀝니다(갈 5:22-23). 우리는 자신의 삶을 돌아보며 회개에 합당한 열매를 맺고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성도는 끊임없는 말씀과 기도 생활을 통해 죄를 멀리하고 성령의 열매를 풍성히 맺어 진정한 회개에 이르러야 합니다.
회개는 구원의 필수 조건입니다. 교회에 열심히 다니고 종교 생활을 하는 것이 회개의 일부일 수는 있어도 전부는 아닙니다. 죄를 자복할 뿐 아니라 모든 삶 가운데서 예수 그리스도를 자신의 삶에 주인으로 인정하여 풍성한 회개의 열매를 맺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