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예수께서 성전에 들어가 가르치실새 대제사장들과 백성의 장로들이 나아와 이르되 네가 무슨 권위로 이런 일을 하느냐 또 누가 이 권위를 주었느냐
24.예수께서 대답하시되 나도 한 말을 너희에게 물으리니 너희가 대답하면 나도 무슨 권위로 이런 일을 하는지 이르리라
25.요한의 세례가 어디로부터 왔느냐 하늘로부터냐 사람으로부터냐 그들이 서로 의논하여 이르되 만일 하늘로부터라 하면 어찌하여 그를 믿지 아니하였느냐 할 것이요
26.만일 사람으로부터라 하면 모든 사람이 요한을 선지자로 여기니 백성이 무섭다 하여
27.예수께 대답하여 이르되 우리가 알지 못하노라 하니 예수께서 이르시되 나도 무슨 권위로 이런 일을 하는지 너희에게 이르지 아니하리라
28.그러나 너희 생각에는 어떠하냐 어떤 사람에게 두 아들이 있는데 맏아들에게 가서 이르되 얘 오늘 포도원에 가서 일하라 하니
29.대답하여 이르되 아버지 가겠나이다 하더니 가지 아니하고
30.둘째 아들에게 가서 또 그와 같이 말하니 대답하여 이르되 싫소이다 하였다가 그 후에 뉘우치고 갔으니
31.그 둘 중의 누가 아버지의 뜻대로 하였느냐 이르되 둘째 아들이니이다 예수께서 그들에게 이르시되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세리들과 창녀들이 너희보다 먼저 하나님의 나라에 들어가리라
32.요한이 의의 도로 너희에게 왔거늘 너희는 그를 믿지 아니하였으되 세리와 창녀는 믿었으며 너희는 이것을 보고도 끝내 뉘우쳐 믿지 아니하였도다
종교 지도자들은 계속 예수님께 도전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그분의 권위를 떨어뜨리려는 의도를 가지고 예수님께 접근했습니다. 예수님은 이러한 태도를 신랄하게 비판하시고 과연 누가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는 자인지를 설명해 주십니다. 예수님이 말씀하신 두 아들의 비유를 통해 순종하는 자와 순종하지 않는 자의 운명을 살펴보겠습니다.
1. 첫째 아들의 불순종
프도원을 가진 주인에게는 두 아들이 있었습니다. 그중 맏아들은 포도원에 가서 일하라는 아버지의 말에 가겠다고 말했지만 결국은 가지 않았습니다. 그는 약속을 어기고 불순종한 것입니다. 예수님은 이 행동이 종교 지도자들의 행위와 같다고 말씀하십니다. 그들은 하나님의 율법을 가르치며 자신들이 율법에 순종하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실제로 그들은 전혀 다른 삶을 살고 있었습니다. 그들은 하나님이 보내신 예수님을 배척하고 반대했으며 마지막까지 자신들의 행위를 돌이키지 않았습니다. 그 결과 그들은 하나님 나라에 들어갈 수 없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우리에게도 예수님이 지적하신 맏아들과 같은 모습이 많이 있습니다. 우리는 하나님의 말씀이 옳다고 생각하고 입으로는 순종을 약속하지만 정작 실제 삶에서는 생각대로 살지 못합니다. 말씀에 순종하기 위해 깨어 있어야 하는 삶을 부담스러워하거나 불편해하며 불순종하는 자신을 합리화하며 살아갑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우리 입술의 고백만을 원하시는 분이 아니란 점을 알아야 합니다. 예수님은 입으로만 주님을 부르는 자가 하나님 나라에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오직 하나님의 뜻대로 행하는 사람이 들어가는 것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좀 더 치열하게 하나님의 말씀을 적용하며 실천해야 합니다. 우리가 말씀대로 실천하는 정도가 하나님을 향한 사랑의 정도입니다.
2. 둘째 아들의 순종
포도원 주인의 둘째 아들은 포도원에 가서 일하라는 아버지의 명령을 거부했습니다. 그러나 그 후에 마음을 바꾸어 순종을 선택했습니다. 예수님은 둘째 아들과 같이 순종을 선택한 자들에게 하나님 나라가 있다고 말씀하십니다. 그렇다면 둘째 아들 같은 이들은 과연 누구일까요? 그것은 바로 세리와 창녀와 같은 죄인들입니다. 그들은 둘째 아들이 아버지의 명령에 불순종한 것처럼 하나님의 율법과 배치되는 악한 삶을 살아가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그들에게 찾아오신 예수님의 말씀을 듣고 마음을 바꾸었습니다. 회개한 것입니다. 회개의 결과로 그들에게 하나님 나리가 주어졌습니다. 그들은 종교 지도자들이 가장 경멸한 사람들이었습니다. 그러나 자기를 의롭다고 여기는 자들이 아닌, 스스로 죄인이라고 인식하고 겸손히 예수님께 나아오는 사람이 결국 의인으로 받아들여집니다. 하나님이 보시기에 우리 모두 죄인이며, 하나님의 명령을 철저히 거절하고 살아가는 반역자들입니다. 그러므로 우리 역시 둘째 아들이 자신의 불순종을 돌이킨 것처럼 하나님과 상관없이 교만하게 살았던 죄악을 회개해야 합니다. 그렇게 회개하는 자에게는 하나님이 약속하신 구원이 주어질 것입니다. 예수님은 세리와 창녀와 같은 죄인들의
친구가 되어 주신 것처럼 우리가 회개하면 우리의 친구가 되어 주실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를 죄에서 깨끗하게 하시며 의로운 삶으로 인도해 주실 것입니다.
예수님은 죄인을 불러 회개시키기 위해 오셨습니다. 예수님은 스스로 의롭게 여기는 사람이 아니라 자기가 죄인임을 인정하고 돌이키는 자에게 구원의 은혜를 약속하셨습니다. 그리고 회개가 말로만 고백 되는 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삶의 영역에 적용될 수 있도록, 우리를 각성시켜 주시고 우리에게 힘을 공급해 주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