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창조 질서에 근거한 평등_고린도전서 11:2-16

2 너희가 모든 일에 나를 기억하고 또 내가 너희에게 전하여 준 대로 그 전통을 너희가 지키므로 너희를 칭찬하노라

3 그러나 나는 너희가 알기를 원하노니 각 남자의 머리는 그리스도요 여자의 머리는 남자요 그리스도의 머리는 하나님이시라

4 무릇 남자로서 머리에 무엇을 쓰고 기도나 예언을 하는 자는 그 머리를 욕되게 하는 것이요

5 무릇 여자로서 머리에 쓴 것을 벗고 기도나 예언을 하는 자는 그 머리를 욕되게 하는 것이니 이는 머리를 민 것과 다름이 없음이라

6 만일 여자가 머리를 가리지 않거든 깎을 것이요 만일 깎거나 미는 것이 여자에게 부끄러움이 되거든 가릴지니라

7 남자는 하나님의 형상과 영광이니 그 머리를 마땅히 가리지 않거니와 여자는 남자의 영광이니라

8 남자가 여자에게서 난 것이 아니요 여자가 남자에게서 났으며

9 또 남자가 여자를 위하여 지음을 받지 아니하고 여자가 남자를 위하여 지음을 받은 것이니

10 그러므로 여자는 천사들로 말미암아 권세 아래에 있는 표를 그 머리 위에 둘지니라

11 그러나 주 안에는 남자 없이 여자만 있지 않고 여자 없이 남자만 있지 아니하니라

12 이는 여자가 남자에게서 난 것 같이 남자도 여자로 말미암아 났음이라 그리고 모든 것은 하나님에게서 났느니라

13 너희는 스스로 판단하라 여자가 머리를 가리지 않고 하나님께 기도하는 것이 마땅하냐

14 만일 남자에게 긴 머리가 있으면 자기에게 부끄러움이 되는 것을 본성이 너희에게 가르치지 아니하느냐

15 만일 여자가 긴 머리가 있으면 자기에게 영광이 되나니 긴 머리는 가리는 것을 대신하여 주셨기 때문이니라

16 논쟁하려는 생각을 가진 자가 있을지라도 우리에게나 하나님의 모든 교회에는 이런 관례가 없느니라

이제 바울은 예배의 문제를 다루기 시작합니다. 고린도 교회 성도들은 예배 시 여성도들의 복장 문제에 대해 질문했는데, 바울은 교회가 ‘세상 속에 있으나 세상에 속하지 않은 공동체’로서 어떤 모습을 가져야 하는가를 가르칩니다.

상식과 합리를 따라서(2~6절)

지금도 유대인 남자들은 회당 예배 때 창이 있는 모자나 ‘키파’라는 작은 모자를 씁니다. 하지만 바울은 고린도 교회에 그런 종교적 복장을 착용하지 않는 전통을 세웠습니다(2, 4절). 그런데 “복음 안에서 남녀가 평등하다고 배웠는데 왜 남자는 모자를 쓰지 말라면서 여자는 너울을 쓰라고 하느냐?”라는 질문이 있었던 모양입니다. 하지만 여자들의 너울은 종교적 상징이 아니라 그저 단정함을 위한 도구일 뿐이었습니다. 바울은 이것이 남녀 차별이 아님을 밝히기 위해 “너울 쓰는 것이 불평등이라면, 여자들도 남자들처럼 머리를 짧게 깎아야 평등한 것 아니겠습니까? 그러고 싶다면 그렇게 하십시오. 그러나 그렇지 않다면 너울을 쓰십시오”라고 말합니다(5〜6절). 이는 머리를 짧게 깎거나 너울을 쓰라는 말이 아닙니다. 당시에 여자가 남자처럼 머리를 짧게 깎는다는 것은 상상할 수 없이 수치스러운 모습이었기 때문입니다. 또한 여자가 공공장소에서 너울을 쓰지 않는 것 역시 수치스러운 모습이기는 마찬가지였습니다. 물론 교회는 세상과 달라야 하지만, 공동체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면 일반상식을 무시하지 말고 따라야 합니다.

네가 가진 영광을 깨달으라(7~12절)

이런 논쟁이 생긴 이유는 세상에서 차별당하던 여인들이 교회에서 남녀의 평등함을 배우게 되자, 여자들도 남자들과 똑같이 행동해야 한다는 비상식적 적용을 했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래서 바울은 여자가 남자처럼 되지 않아도 이미 영광스러운 존재임을 강조합니다. 남자는 하나님의 형상이자 영광이지만 여자는 그 남자의 영광입니다(7절). “여자가 남자에게서 났다”는 말은 남자보다 못하다는 말이 아니라 오히려 ‘영광 중의 영광’으로서 더 귀하다는 뜻입니다(8절). 바울은 그렇다고 남자가 여자보다 열등하다는 반대편 극단을 경계한 후에(9, 11〜12절) 모세가 하나님을 뵙고 그 얼굴에서 나는 광채를 수건으로 가린 것에 빗대어 여자가 너울을 쓰는 것이 ‘천사들로 말미암아 권세 아래 있는 표’를 하는 것이라고 말합니다(10절; 참조, 출 34:29〜35). 이처럼 세상의 불평등에 맞서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하나님이 우리를 얼마나 영광스럽게 지으셨는지를 깨달아야 합니다.

하나님이 주신 본성을 따라(13~16절)

바울은 이 논의의 결론을 ‘본성’에 호소하면서 마감합니다(13〜15절). 즉 “본성적으로 남자가 머리를 기르면 부끄럽지만 여자가 머리를 길게 기르면 자랑스럽지 않느냐, 그것은 남자는(긴 머리나 모자 등으로) 가리면 부끄러워지지만 여자는(긴 머리나 너울 등으로) 가리면 자랑스러워지기 때문이다”라는 것입니다. 바울은 당시 문화에 맞는 복장을 갖춰야 한다는 사실을 다시금 강조하면서, “논쟁의 여지가 있기는 하지만 그런 관례는 없다”는 말로 가르침을 마칩니다(16절). 이런 문제로 논쟁을 일삼지 말라는 뜻입니다. 이런 작은 문제는 서로를 용납하는 자세로 상식선에서 정리하는 것이 가장 좋은 일입니다.

하나님의 법도는 남자와 여자가 서로의 다름을 인정하고 존중하는 데 있습니다. 내가 남자든 여자든, 하나님은 나의 나됨 자체를 기뻐하시며 세상의 관점으로 판단하지 않으십니다. 내가 어떤 모습으로 이 땅에 보냄 받았는지를 인식하고, 내게 주어진 영광이 얼마나 놀라운지를 깨닫기 바랍니다.

0 views

Recent Posts

See All

16 그가 다윗을 인도하여 내려가니 그들이 온 땅에 편만하여 블레셋 사람들의 땅과 유다 땅에서 크게 약탈하였음으로 말미암아 먹고 마시며 춤추는지라 17 다윗이 새벽부터 이튿날 저물 때까지 그들을 치매 낙타를 타고 도망한 소년 사백 명 외에는 피한 사람이 없었더라 18 다윗이 아말렉 사람들이 빼앗아 갔던 모든 것을 도로 찾고 그의 두 아내를 구원하였고 19

1 다윗과 그의 사람들이 사흘 만에 시글락에 이른 때에 아말렉 사람들이 이미 네겝과 시글락을 침노하였는데 그들이 시글락을 쳐서 불사르고 2 거기에 있는 젊거나 늙은 여인들은 한 사람도 죽이지 아니하고 다 사로잡아 끌고 자기 길을 갔더라 3 다윗과 그의 사람들이 성읍에 이르러 본즉 성읍이 불탔고 자기들의 아내와 자녀들이 사로잡혔는지라 4 다윗과 그와 함께 한

1 블레셋 사람들은 그들의 모든 군대를 아벡에 모았고 이스라엘 사람들은 이스르엘에 있는 샘 곁에 진 쳤더라 2 블레셋 사람들의 수령들은 수백 명씩 수천 명씩 인솔하여 나아가고 다윗과 그의 사람들은 아기스와 함께 그 뒤에서 나아가더니 3 블레셋 사람들의 방백들이 이르되 이 히브리 사람들이 무엇을 하려느냐 하니 아기스가 블레셋 사람들의 방백들에게 이르되 이는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