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최악의 타락으로 들어가는 여정_사사기 19:1-15

1.이스라엘에 왕이 없을 그 때에 에브라임 산지 구석에 거류하는 어떤 레위 사람이 유다 베들레헴에서 첩을 맞이하였더니

2.그 첩이 행음하고 남편을 떠나 유다 베들레헴 그의 아버지의 집에 돌아가서 거기서 넉 달 동안을 지내매

3.그의 남편이 그 여자에게 다정하게 말하고 그를 데려오고자 하여 하인 한 사람과 나귀 두 마리를 데리고 그에게로 가매 여자가 그를 인도하여 아버지의 집에 들어가니 그 여자의 아버지가 그를 보고 기뻐하니라

4.그의 장인 곧 그 여자의 아버지가 그를 머물게 하매 그가 삼 일 동안 그와 함께 머물며 먹고 마시며 거기서 유숙하다가

5.넷째 날 아침에 일찍이 일어나 떠나고자 하매 그 여자의 아버지가 그의 사위에게 이르되 떡을 조금 먹고 그대의 기력을 돋운 후에 그대의 길을 가라 하니라

6.두 사람이 앉아서 함께 먹고 마시매 그 여자의 아버지가 그 사람에게 이르되 청하노니 이 밤을 여기서 유숙하여 그대의 마음을 즐겁게 하라 하니

7.그 사람이 일어나서 가고자 하되 그의 장인의 간청으로 거기서 다시 유숙하더니

8.다섯째 날 아침에 일찍이 일어나 떠나고자 하매 그 여자의 아버지가 이르되 청하노니 그대의 기력을 돋우고 해가 기울도록 머물라 하므로 두 사람이 함께 먹고

9.그 사람이 첩과 하인과 더불어 일어나 떠나고자 하매 그의 장인 곧 그 여자의 아버지가 그에게 이르되 보라 이제 날이 저물어 가니 청하건대 이 밤도 유숙하라 보라 해가 기울었느니라 그대는 여기서 유숙하여 그대의 마음을 즐겁게 하고 내일 일찍이 그대의 길을 가서 그대의 집으로 돌아가라 하니

10.그 사람이 다시 밤을 지내고자 하지 아니하여 일어나서 떠나 여부스 맞은편에 이르렀으니 여부스는 곧 예루살렘이라 안장 지운 나귀 두 마리와 첩이 그와 함께 하였더라

11.그들이 여부스에 가까이 갔을 때에 해가 지려 하는지라 종이 주인에게 이르되 청하건대 우리가 돌이켜 여부스 사람의 이 성읍에 들어가서 유숙하십시다 하니

12.주인이 그에게 이르되 우리가 돌이켜 이스라엘 자손에게 속하지 아니한 이방 사람의 성읍으로 들어갈 것이 아니니 기브아로 나아가리라 하고

13.또 그 종에게 이르되 우리가 기브아나 라마 중 한 곳에 가서 거기서 유숙하자 하고

14.모두 앞으로 나아가더니 베냐민에 속한 기브아에 가까이 이르러 해가 진지라

15.기브아에 가서 유숙하려고 그리로 돌아 들어가서 성읍 넓은 거리에 앉아 있으나 그를 집으로 영접하여 유숙하게 하는 자가 없었더라

사사 시대 이스라엘의 타락은 총체적이었습니다. 한 사람 미가의 우상숭배와 한 레위인 제사장의 부패 그리고 한 지파의 만행으로 그 범위가 확대되었습니다. 그런데 이야기는 여기서 끝나지 않았습니다. 하나님의 통치를 거부한 타락과 몰락은 이스라엘 공동체의 정체성까지 위협했습니다. 그 사건의 발단이 오늘 이야기입니다.

에브라임 산악 지방에 사는 어떤 레위 사람이 베들레헴으로 내려가 첩을 맞이했습니다(1절). 이 이야기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하나같이 이름이 없습니다. 어떤 레위 사람, 그의 첩, 그 여자의 아버지, 그리고 뒤에 나오는 에브라임 노인 등 모두 이름이 기록되지 않았습니다. 이것은‘이스라엘에 왕이 없을 그때에’ 각기 자기 소견에 옳은 대로 행한 모습을 설명합니다. 어떤 레위 사람은 모든 레위 사람을, 그 첩은 모든 여인을, 장인은 객을 대접하는 모든 사람을 상징합니다. 그 시대와 사회 모두가 타락하고 비인간적이었다는 것입니다. 이는 모두 죄를 범해 하나님의 영광에 이르지 못하는 인류의 모습을 보여 줍니다(롬 3:23).

레위인의 첩은 불륜을 저지르고 남편을 떠나 베들레헴의 아버지 집으로 갔습니다(2절). 4개월이 지난 후에 남편이 그녀를 잘 달래어 데려오려고 베들레헴으로 떠났습니다. 레위 지파는 성막 봉사를 위해 하나님께 구별된 자들이기에 특별히 성결을 지켜야 합니다. 그러나 본문의 레위인 가정에서 첩이 등장하고, 그 첩은 또 음행을 저지르는 등 성적으로 타락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성도가 거룩하게 살지 않으면 세상은 더 악한 길로 치닫게 됩니다.

레위 사람이 첩을 데리러 장인의 집을 찾아가자 장인은 기뻐하며 그를 극진히 대접했습니다. 이렇게 후한 대접은 이후에 등장하는 기브아 사람들의 행위와 극한 대조를 이룹니다. 레위 사람은 장인의 만류로 다섯째 날 오후에야 겨우 떠날 수 있었습니다(6-10절). 날이 저물 때쯤 종은 근처 여부스에서 유숙하자고 제안했지만(11절) 레위인은 이방 사람의 성읍인 여부스를 거부하고 약 8킬로미터 더 떨어진 기브아나 라마로 가기로 결정했습니다(12-13절). 이방인들과 별다를 것 없이 살아가면서 이방인의 성읍을 꺼리는 모습은 굉장한 아이러니입니다.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정체성을 잃어버렸음에도 불구하고 스스로 하나님의 백성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정말 심각한 모순입니다.

레위 사람 일행은 해가 질 무렵 기브아에 이르러 유숙할 곳을 찾았습니다(14-15절). 그는 베냐민 지파에 속한 기브아에서 관대한 대접을 기대했습니다. 그러나 그들을 영접하는 자는 아무도 없습니다(15절). 장인의 극진한 환대와 대조적으로 기브아 사람들은 그들을 집으로 영접하기는커녕 거들떠보지도 않았습니다. 이스라엘에서 나그네를 대접하는 것은 율법에 명시된 의무이자 중요한 미덕입니다(출 22:21). 이방인 마을에서도 있을 수 없는 일들이 이스라엘 땅에서 일어난 것입니다. 신앙이 타락했다는 당황스럽고 충격적인 증거입니다. 하나님께 대한 의무를 외면하는 삶이 곧 타락의 증거입니다.

스스로 크리스천이라고 자부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그러나 그들이 모두 하나님께 인정을 받는 성도는 아닙니다. 본문의 레위인과 같이 형식만 갖추고 하나님을 두려워함도, 때를 분별함도,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함도 없으면, 누구나 최악의 타락으로 떨어질 것입니다. 하나님을 나의 왕으로 삼고 그분의 말씀과 뜻을 내 삶의 기준으로 두고 따름으로 진정한 하나님 백성의 삶을 살아가십시오.

3 views

Recent Posts

See All

13 이에 다윗이 건너편으로 가서 멀리 산 꼭대기에 서니 거리가 멀더라 14 다윗이 백성과 넬의 아들 아브넬을 대하여 외쳐 이르되 아브넬아 너는 대답하지 아니하느냐 하니 아브넬이 대답하여 이르되 왕을 부르는 너는 누구냐 하더라 15 다윗이 아브넬에게 이르되 네가 용사가 아니냐 이스라엘 가운데에 너 같은 자가 누구냐 그러한데 네가 어찌하여 네 주 왕을 보호하

1 십 사람이 기브아에 와서 사울에게 말하여 이르되 다윗이 광야 앞 하길라 산에 숨지 아니하였나이까 하매 2 사울이 일어나 십 광야에서 다윗을 찾으려고 이스라엘에서 택한 사람 삼천 명과 함께 십 광야로 내려가서 3 사울이 광야 앞 하길라 산 길 가에 진 치니라 다윗이 광야에 있더니 사울이 자기를 따라 광야로 들어옴을 알고 4 이에 다윗이 정탐꾼을 보내어 사

36 아비가일이 나발에게로 돌아오니 그가 왕의 잔치와 같은 잔치를 그의 집에 배설하고 크게 취하여 마음에 기뻐하므로 아비가일이 밝는 아침까지는 아무 말도 하지 아니하다가 37 아침에 나발이 포도주에서 깬 후에 그의 아내가 그에게 이 일을 말하매 그가 낙담하여 몸이 돌과 같이 되었더니 38 한 열흘 후에 여호와께서 나발을 치시매 그가 죽으니라 39 나발이 죽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