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데만 사람 엘리바스가 대답하여 이르되
2 사람이 어찌 하나님께 유익하게 하겠느냐 지혜로운 자도 자기에게 유익할 따름이니라
3 네가 의로운들 전능자에게 무슨 기쁨이 있겠으며 네 행위가 온전한들 그에게 무슨 이익이 되겠느냐
4 하나님이 너를 책망하시며 너를 심문하심이 너의 경건함 때문이냐
5 네 악이 크지 아니하냐 네 죄악이 끝이 없느니라
6 까닭 없이 형제를 볼모로 잡으며 헐벗은 자의 의복을 벗기며
7 목마른 자에게 물을 마시게 하지 아니하며 주린 자에게 음식을 주지 아니하였구나
8 권세 있는 자는 토지를 얻고 존귀한 자는 거기에서 사는구나
9 너는 과부를 빈손으로 돌려보내며 고아의 팔을 꺾는구나
10 그러므로 올무들이 너를 둘러 있고 두려움이 갑자기 너를 엄습하며
11 어둠이 너로 하여금 보지 못하게 하고 홍수가 너를 덮느니라
12 하나님은 높은 하늘에 계시지 아니하냐 보라 우두머리 별이 얼마나 높은가
13 그러나 네 말은 하나님이 무엇을 아시며 흑암 중에서 어찌 심판하실 수 있으랴
14 빽빽한 구름이 그를 가린즉 그가 보지 못하시고 둥근 하늘을 거니실 뿐이라 하는구나
15 네가 악인이 밟던 옛적 길을 지키려느냐
16 그들은 때가 이르기 전에 끊겨 버렸고 그들의 터는 강물로 말미암아 함몰되었느니라
17 그들이 하나님께 말하기를 우리를 떠나소서 하며 또 말하기를 전능자가 우리를 위하여 무엇을 하실 수 있으랴 하였으나
18 하나님이 좋은 것으로 그들의 집에 채우셨느니라 악인의 계획은 나에게서 머니라
19 의인은 보고 기뻐하고 죄 없는 자는 그들을 비웃기를
20 우리의 원수가 망하였고 그들의 남은 것을 불이 삼켰느니라 하리라
욥의 친구들 가운데 가장 먼저 욥에게 말을 건넸던 엘리바스가 이제 욥에게 자신의 마지막 발언을 시작합니다. 지금까지 욥의 말을 들었던 엘리바스는 이제 자신의 주장을 좀 더 견고하게 전하고 있습니다.
네 악이 크다(1~5절)
엘리바스는 첫 번째 발언에서 욥에게 점잖게 훈계하면서 회개를 권했습니다. 그러나 욥이 권면을 받아들이지 않자 두 번째 발언에서는 조금 격앙된 말투로 악인의 심판을 이야기하면서 욥을 염두에 두고 악인에 대한 저주를 선언했습니다. 이제 세 번째 발언에서는 자신의 생각을 거침없이 말합니다. 욥의 의로움이 하나님께 어떤 유익도 없다고 단언합니다. 하나님이 욥을 책망하고 심문하시고 고난을 주신 이유가 그의 죄악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엘리바스는 욥의 악이 크고 죄악이 끝이 없다고 질책합니다.
우리의 어떤 행위도 하나님께 유익을 끼칠 수 없다는 엘리바스의 주장은 논리적으로 틀리지 않습니다. 하지만 하나님은 우리를 사랑하시기에 우리의 작은 몸짓 하나에도 기뻐하시고 슬퍼하십니다. 그것이 하나님께 유익하거나 무익해서가 아닙니다. 그분이 우리를 사랑하시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이 죄인을 긍휼히 여기시고 우리를 사랑하신다는 사실을 간과하면 하나님을 왜곡된 시각으로 바라보게 됩니다.
욥의 악행에 대한 저주(6~11절)
엘리바스는 욥을 악인으로 사정없이 몰아붙이고 있습니다. 그는 욥의 악행을 구체적으로 나열하기 시작합니다. 그러나 이는 사실이 아닙니다. 욥이 당하는 고난을 근거로 그가 심각한 악행을 저질렀다고 추정했을 뿐입니다. 첫째, 욥이 가난하고 힘없는 사람을 괴롭혔다는 것입니다. 둘째,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매정하게 대했다는 것입니다. 셋째, 약자에게는 강하게, 강자들에게 비굴하게 행동했다는 것입니다. 넷째, 고아와 과부에게 매정하게 굴었다는 것입니다. 그 러므로 욥의 인생은 재난과 두려움과 염려가 가득해졌다고 저주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거짓 이야기가 거짓 소문으로 퍼져 욥을 악한 자로 만들어 버렸을 것입니다. 거짓 소문으로 다른 사람을 판단하는 일은 그를 죽이는 일입니다. 시편 저자는 주의 장막에 거할 자의 특징을 “그의 혀로 남을 허물하지 아니하고 그의 이웃에게 악을 행하지 아니하며 그의 이웃을 비방하지 아니하며”(시 15:3)라고 했습니다. 입술로 이웃을 죽이는 것이 아니라 살리는 것이 우리의 사명입니다.
욥에 대한 무지(12~20절〉
엘리바스는 하나님이 이 모든 일을 모르신다고 말하는 욥의 태도를 지적합니다. 하나님과 상관없이 살아가면서 하나님이 자신들에게 무능하다고 하는 태도야말로 악인들의 특징이라고 주장합니다. 21장에서 욥은 엘리바스의 주장과 비슷한 말을 했습니다. 하지만 욥은 하나님의 무능함이나 무지함을 말하지 않았습니다. 하나님이 악인의 성공을 용납하시고, 선한 사람에게 고난을 허락하시는 이유에 의문을 제기했을 뿐입니다. 오히려 욥은 자신에게 일어난 일들을 하나님이 정확히 알고 계신다고 확신했습니다(7:19; 10:6, 14; 14:3, 6). 그 사실 때문에 고통스러웠던 것입니다. 욥을 잘 알지도 못하면서 그를 가르치고 훈계하려 했던 엘리바스야 말로 거짓으로 남을 비난하는 악인입니다.
엘리바스는 하나님에 대한 바른 지식을 가진 것 같지만 욥에 대한 바른 태도를 가지지 못했기에 하나님을 바르게 안다고 할 수 없었습니다. 하나님을 아는 지식과 이웃을 이해하는 지식이 함께 있어야 합니다. 하나님을 사랑하는 사람은 이웃을 사랑하는 것이 당연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