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토기장이와 진흙의 비유_로마서 9:14-24

14.그런즉 우리가 무슨 말을 하리요 하나님께 불의가 있느냐 그럴 수 없느니라

15.모세에게 이르시되 내가 긍휼히 여길 자를 긍휼히 여기고 불쌍히 여길 자를 불쌍히 여기리라 하셨으니

16.그런즉 원하는 자로 말미암음도 아니요 달음박질하는 자로 말미암음도 아니요 오직 긍휼히 여기시는 하나님으로 말미암음이니라

17.성경이 바로에게 이르시되 내가 이 일을 위하여 너를 세웠으니 곧 너로 말미암아 내 능력을 보이고 내 이름이 온 땅에 전파되게 하려 함이라 하셨으니

18.그런즉 하나님께서 하고자 하시는 자를 긍휼히 여기시고 하고자 하시는 자를 완악하게 하시느니라

19.혹 네가 내게 말하기를 그러면 하나님이 어찌하여 허물하시느냐 누가 그 뜻을 대적하느냐 하리니

20.이 사람아 네가 누구이기에 감히 하나님께 반문하느냐 지음을 받은 물건이 지은 자에게 어찌 나를 이같이 만들었느냐 말하겠느냐

21.토기장이가 진흙 한 덩이로 하나는 귀히 쓸 그릇을, 하나는 천히 쓸 그릇을 만들 권한이 없느냐

22.만일 하나님이 그의 진노를 보이시고 그의 능력을 알게 하고자 하사 멸하기로 준비된 진노의 그릇을 오래 참으심으로 관용하시고

23.또한 영광 받기로 예비하신 바 긍휼의 그릇에 대하여 그 영광의 풍성함을 알게 하고자 하셨을지라도 무슨 말을 하리요

24.이 그릇은 우리니 곧 유대인 중에서뿐 아니라 이방인 중에서도 부르신 자니라


하나님이 구원받을 자를 주권적으로 선택하신다는 선택의 교리를 들으면 많은 사람이 하나님의 공평함에 의문을 제기합니다. 그런 사람들에게 사도 바울은 토기장이와 진흙의 비유를 들어 하나님의 공평하심을 변호합니다. 토기장이와 진흙의 비유에서 우리는 하나님의 주권에 대한 중요한 특징을 배울 수 있습니다.


1. 주권의 능동성

토기장이와 진흙은 당시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것들입니다. 사도 바울은 진흙이 토기장이의 뜻에 따라 아름다운 그릇이 되기도 하고 한순간에 깨어지기도 하는 것을 비유로 들어 하나님의 주권을 설명합니다. 토기장이가 진흙을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듯이, 하나님은 누구를 긍휼히 여기시고 누구를 완악하게 만들 것인지를 철저하게 당신의 뜻에 따라 결정하십니다. 진흙이 토기장이의 결정에 항의

하거나 관여할 수 없듯이 인간은 구원에 관한 하나님의 결정에 절대로 관여할 수 없습니다. 인간의 구원 사역을 능동적으로 이루신 하나님은 구원을 완성하시는 과정에서 누구를 택하실 것인지도 주권적으로 결정하십니다.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구원의 은혜가 하나님의 선하심과 그 사랑을 반영하고 있는 것처럼 구원받을 자를 선택하시는 하나님의 사역도 하나님의 긍휼과 자비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하나님은 구원받을 자격이 없는 우리를 택하시고 구원을 베풀어 주셨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선택의 교리가 하나님의 선하심을 드러내고 있음을 인정할 수밖에 없습니다. 하나님이 선택하셨으므로 그 누구도 바꿀 수 없습니다. 조건과 상황이 달라진다 해도 그 선택과 결정은 달라지지 않습니다. 우리의 구원이 확실하고 안전한 이유가 바로 이 선택의 교리에 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하나님이 우리에게 베푸신 이 놀라운 은총으로 인해 날마다 하나님께 감사해야 합니다.


2. 주권의 공평성

토기장이는 자신이 사용하는 진흙에 대해 절대적 권한을 자유롭게 행사합니다. 토기장이는 보기 좋은 귀한 그릇을 만들 수도 있고, 예쁘지는 않아도 일상에서 자주 쓰는 그릇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 심지어는 마음에 들지 않는 그릇을 폐기할 수도 있습니다. 토기장이의 이 모든 행위는 정당합니다. 진흙은 전적으로 토기장이의 것이기 때문입니다. 만약 토기장이가 보기에 좋지 않은 그릇을 새로 빚어 다른 그릇을 만든다 해도 토기장이의 그런 선택을 누구도 비난하지 않습니다. 비난할 수 없습니다. 토기장이의 선택은 언제나 정당합니다. 사도 바울은 이 토기장이의 비유를 가지고 이방인들을 구원하시는 하나님의 공평하심을 이야기합니다. 유대인들이 볼 때 이방인은 멸망당해 마땅한 존재들이었습니다. 그런데 하나님이 이방인들을 구원의 그릇으로 선택하셨습니다. 이러한 하나님의 선택은 전적인 하나님의 주권이며, 모든 사람에게 베

푸시는 자비의 공평함을 드러내는 것이라고 사도 바울은 말합니다. 모든 믿는 사람에게 미치는 하나님의 의는 차별이 없으며, 하나님은 유대인의 하나님이실 뿐 아니라 이방인의 하나님도 되십니다. 이러한 하나님의 공평하심으로 우리가 구원받았을 뿐만 아니라 지금도 열방에 복음이 전파되고 있는 것입니다. 우리는 우리를 구원하신 하나님의 은혜에 깊이 감사해야 합니다. 아울러 지금도 불신자들을 부르시는 하나님의 구원 사역에 참여해야 합니다.


공평하신 하나님은 우리를 선택하시고 구원하셔서 당신의 자녀로 삼으셨습니다. 그 누구도 이러한 하나님의 주권 행사에 이의를 제기할 수 없습니다. 오히려 하나님이 죄인들에게 베풀어 주시는 긍휼과 자비를 찬양함이 마땅합니다. 그리고 하나님이 우리의 삶을 다스려 주시도록 우리 자신을 더욱 그분의 주권에 내어 맡기는 믿음의 삶을 살아야 합니다.

118 views

Recent Posts

See All

1 다윗이 그 마음에 생각하기를 내가 후일에는 사울의 손에 붙잡히리니 블레셋 사람들의 땅으로 피하여 들어가는 것이 좋으리로다 사울이 이스라엘 온 영토 내에서 다시 나를 찾다가 단념하리니 내가 그의 손에서 벗어나리라 하고 2 다윗이 일어나 함께 있는 사람 육백 명과 더불어 가드 왕 마옥의 아들 아기스에게로 건너가니라 3 다윗과 그의 사람들이 저마다 가족을 거

13 이에 다윗이 건너편으로 가서 멀리 산 꼭대기에 서니 거리가 멀더라 14 다윗이 백성과 넬의 아들 아브넬을 대하여 외쳐 이르되 아브넬아 너는 대답하지 아니하느냐 하니 아브넬이 대답하여 이르되 왕을 부르는 너는 누구냐 하더라 15 다윗이 아브넬에게 이르되 네가 용사가 아니냐 이스라엘 가운데에 너 같은 자가 누구냐 그러한데 네가 어찌하여 네 주 왕을 보호하

1 십 사람이 기브아에 와서 사울에게 말하여 이르되 다윗이 광야 앞 하길라 산에 숨지 아니하였나이까 하매 2 사울이 일어나 십 광야에서 다윗을 찾으려고 이스라엘에서 택한 사람 삼천 명과 함께 십 광야로 내려가서 3 사울이 광야 앞 하길라 산 길 가에 진 치니라 다윗이 광야에 있더니 사울이 자기를 따라 광야로 들어옴을 알고 4 이에 다윗이 정탐꾼을 보내어 사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