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형제들아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너희를 명하노니 게으르게 행하고 우리에게서 받은 전통대로 행하지 아니하는 모든 형제에게서 떠나라
7.어떻게 우리를 본받아야 할지를 너희가 스스로 아나니 우리가 너희 가운데서 무질서하게 행하지 아니하며
8.누구에게서든지 음식을 값없이 먹지 않고 오직 수고하고 애써 주야로 일함은 너희 아무에게도 폐를 끼치지 아니하려 함이니
9.우리에게 권리가 없는 것이 아니요 오직 스스로 너희에게 본을 보여 우리를 본받게 하려 함이니라
10.우리가 너희와 함께 있을 때에도 너희에게 명하기를 누구든지 일하기 싫어하거든 먹지도 말게 하라 하였더니
11.우리가 들은즉 너희 가운데 게으르게 행하여 도무지 일하지 아니하고 일을 만들기만 하는 자들이 있다 하니
12.이런 자들에게 우리가 명하고 주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권하기를 조용히 일하여 자기 양식을 먹으라 하노라
13.형제들아 너희는 선을 행하다가 낙심하지 말라
14.누가 이 편지에 한 우리 말을 순종하지 아니하거든 그 사람을 지목하여 사귀지 말고 그로 하여금 부끄럽게 하라
15.그러나 원수와 같이 생각하지 말고 형제 같이 권면하라
16.평강의 주께서 친히 때마다 일마다 너희에게 평강을 주시고 주께서 너희 모든 사람과 함께 하시기를 원하노라
17.나 바울은 친필로 문안하노니 이는 편지마다 표시로서 이렇게 쓰노라
18.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가 너희 무리에게 있을지어다
사도 바울은 성도들에게 하나님의 은혜에 합당한 삶에 대해 힘을 다해 가르쳤습니다. 그런데 데살로니가 교회 안에 바울의 가르침을 따르지 않는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그들은 거룩한 삶의 열매를 맺지 못하고 오히려 공동체에 피해를 주고 있었습니다. 바울은 그들의 잘못을 단호하게 말하면서 교회가 어떻게 그들에게 응대해야 할지 교훈합니다.
1. 게으르고 나태함
데살로니가 교회 안에는 아무런 노동도 하지 않고 게으르게 살면서 무위도식하는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그들은 주님이 곧 오신다는 잘못된 확신에 빠져 현실의 의무와 책임을 저버리며 살고 있었습니다. 사도 바울은 그런 게으른 사람들을 향해 “일하기 싫은 사람은 먹지도 말라”고 엄중히 책망합니다. 세상에서 구별된 삶을 산다는 것은 현실을 떠나거나 피하라는 것이 아닙니다. 성도는 오히려 수고하고 노력해 삶에서 선한 열매를 거두어 하나님께 영광을 돌려야 합니다. 그렇다면 선한 열매를 거두기 위해 세상의 일은 소홀히 해도 될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안타깝게도 교인들 중에는 교회 사역자들의 일, 즉 설교와 심방 등은 거룩한 일이고 교인들이 직장에서 하는 일은 세상에 속한 속된 일이라고 잘못 인식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이 맡기신 일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사역자의 일이나 교인들이 직장에서 하는 일에는 구분이 없습니다. 하나님이 맡기신 일이기 때문에 직장 일도 설교나 기도만큼이나 거룩한 사역입니다. 오히려 설교사역에 나태한 태도로 일관한다면 그 일은 주님이 인정해 주시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어떤 일을 하느냐보다 어떤 태도로 일하느냐가 더 중요합니다. 어떤 일이든지 게으름과 나태한 삶의 태도로 하는 것이 아니라 주께 하듯이 최선을 다해 열심히 전념하는 것이 세상에서 구별된 성도의 모습입니다.
2. 낙심하고 포기함
선행은 구원받은 성도들의 삶에 나타나는 중요한 특징 중 하나입니다. 예수님은 제자들이 선한 행실을 보일 때 하나님이 영광을 받으신다고 말씀하셨습니다(마 5:16). 그렇기 때문에 데살로니가 교회에도 선한 일에 힘쓰는 성도들이 많이 있었을 것입니다. 그들은 이웃에 대한 사랑의 수고를 아끼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그들 중에 선한 일을 하다가 낙심하고 포기하는 사람들이 생겨났습니다. 성도들이 봉사의 일을 하다가 낙심하게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가장 큰 이유는 수고로 인한 피로가 누적되기 때문일 것입니다. 누구든지 피로를 제대로 해결하지 못하면 수고의 현장은 부담이 됩니다. 부담이 쌓이면 낙심하고 포기하는 일이 벌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또한 영적 공급 없이 봉사에만 매달리면 낙심하기 쉽습니다. 성도는 하나님과 교제함으로써 힘을 얻는 존재입니다. 그런데 선한 일에 힘쓰느라 정작 하나님과 교제하는 데 소홀히 하면 힘을 소진하게 되고, 그러고 나면 힘을 쓸 수 없게 되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생각할 수 있는 이유는 사람들의 훼방입니다. 하나님이 맡기신 선한 일을 수행하는 현장에서 우리는 방해하는 자들로 인해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성도들은 선한 일을 행하다가 이와 같은 이유들로 낙심할 수 있다는 것을 미리 알고 경각심을 가져야 합니다. 아울러 우리의 선행에 하나님의 도움이 임하도록 기도해야 합니다.
성경은 성도에게 부지런히 살 것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게으름과 나태함은 죄입니다. 하나님이 맡기신 일상에서는 성스러운 일과 속된 일이 따로 있지 않습니다. 육체노동과 정신노동의 가치도 다르지 않습니다. 하나님께 부르심을 받고 세상을 향해 보내심을 받은 우리는 모든 일에 주를 섬기듯 최선을 다함으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려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