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여호와께서 욥에게 이 말씀을 하신 후에 여호와께서 데만 사람 엘리바스에게 이르시되 내가 너와 네 두 친구에게 노하나니 이는 너희가 나를 가리켜 말한 것이 내 종 욥의 말 같이 옳지 못함이니라
8 그런즉 너희는 수소 일곱과 숫양 일곱을 가지고 내 종 욥에게 가서 너희를 위하여 번제를 드리라 내 종 욥이 너희를 위하여 기도할 것인즉 내가 그를 기쁘게 받으리니 너희가 우매한 만큼 너희에게 갚지 아니하리라 이는 너희가 나를 가리켜 말한 것이 내 종 욥의 말 같이 옳지 못함이라
9 이에 데만 사람 엘리바스와 수아 사람 빌닷과 나아마 사람 소발이 가서 여호와께서 자기들에게 명령하신 대로 행하니라 여호와께서 욥을 기쁘게 받으셨더라
10 욥이 그의 친구들을 위하여 기도할 때 여호와께서 욥의 곤경을 돌이키시고 여호와께서 욥에게 이전 모든 소유보다 갑절이나 주신지라
11 이에 그의 모든 형제와 자매와 이전에 알던 이들이 다 와서 그의 집에서 그와 함께 음식을 먹고 여호와께서 그에게 내리신 모든 재앙에 관하여 그를 위하여 슬퍼하며 위로하고 각각 케쉬타 하나씩과 금 고리 하나씩을 주었더라
12 여호와께서 욥의 말년에 욥에게 처음보다 더 복을 주시니 그가 양 만 사천과 낙타 육천과 소 천 겨리와 암나귀 천을 두었고
13 또 아들 일곱과 딸 셋을 두었으며
14 그가 첫째 딸은 여미마라 이름하였고 둘째 딸은 긋시아라 이름하였고 셋째 딸은 게렌합북이라 이름하였으니
15 모든 땅에서 욥의 딸들처럼 아리따운 여자가 없었더라 그들의 아버지가 그들에게 그들의 오라비들처럼 기업을 주었더라
16 그 후에 욥이 백사십 년을 살며 아들과 손자 사 대를 보았고
17 욥이 늙어 나이가 차서 죽었더라
세상을 살아가면서 우리는 여러 가지 어려운 일을 경험하고, 왜 그런 일을 당하는지 알 수 없어 억울한 마음에 가슴을 치는 경우가 생깁니다. 그럴 때마다 우리는 욥이 마지막에 어떤 은혜를 입었는지를 보며 위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세 친구를 꾸짖으시다(7~9절)
하나님은 가장 연장자였을 엘리바스를 대표로 언급하시면서 욥의 세 친구를 꾸짖으십니다. 이 꾸짖음은 욥기의 결론으로, “사람이 재앙을 당하는 이유가 반드시 죄 때문인 것은 아니다”라는 사실을 확증해 줍니다(7절). 하나님은 그들을 벌하시지는 않고 제사를 통해 용서받을 수 있게 하시는데, 수소와 숫양을 7마리씩이나 바치는 제사를 드리게 하셨습니다(8a절). 이는 그들이 욥에게 한 행동이 상당히 큰 죄였다는 사실을 알게 합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욥과 친구들의 관계를 회복시키시기 원하셔서 욥이 세 친구를 위해 기도하게 하심으로 다시 친구가 되게 하셨습니다(8b〜9절). 욥기는 이를 통해 고통당하는 자와 함께 울어 주는 것이 참 지혜이며, 죄 때문에 고통을 당하는 것이라고 짐작해 상대방을 정죄하는 것은 어리석을 뿐 아니라 매우 큰 죄라는 사실을 다시 한번 확인해주고 있습니다.
공감과 용서를 통한 회복(10~12절)
하나님은 욥이 자기에게 상처를 주었던 세 친구를 용서하며 그들을 위해 기도하게 하셨습니다. 그리고 모든 것을 회복시켜 주셨습니다(10절). 또한 욥의 모든 친지가 함께 모여 욥을 위로하며 도움의 손길을 펼치게 하셨는데(11절) 이야말로 욥의 세 친구가 고통 중에 있던 욥에게 했어야 할 바른 행동입니다. 이처럼 고난 당하는 사람과 함께 울고 위로하고 필요를 채우는 모습을 보일 때, 하나님은 그 위에 은혜를 베푸시고 모든 것을 회복시키시고, 원래 가졌던 것보다 갑절의 재산을 얻게 하셨습니다(12절). 이처럼 재앙이 무엇 때문에 왔는가에 대한 판단이 아니라 함께 울고 위로하고 도움으로써, 또 자기를 괴롭힌 사람에 대한 복수가 아니라 용서를 통해, 뒤틀린 모든 것이 바로잡히고 참된 풍요가 회복될 수 있습니다. 판단보다는 공감을, 복수보다는 용서를 선택함으로 하나님이 베푸시는 참된 풍요의 복을 누리기를 바랍니다.
생명의 화복(13~17절)
욥의 가축은 재앙을 당하기 전보다 갑절로 늘었지만, 자녀들의 수는 재앙 이전과 동일합니다(13절). 이는 욥이 자녀들을 잃었지만, 실제로는 자녀들을 잃은 것이 아님을 암시합니다. 특히 주목할만한 것은 독특하게도 아들들이 아니라 세 딸에게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여미마’는 ‘비둘기’를, 긋시아는 ‘계수나무’를, 게렌합북은 화장품을 담는 ‘뿔’을 의미합니다(14절). 이 세 딸은 미모가 출중했을 뿐 아니라 고대 근동 사회에서는 드물게 아들들과 동일하게 아버지의 유산을 물려받았습니다(15절). 이는 욥이 아들들뿐 아니라 딸들에게까지 유산을 줄 정도로 부유하게 되었음을 알게 합니다. 욥은 또한 140년을 살며 아들과 손자 4대를 보는 장수의 복을 받았을 뿐 아니라 나이가 들어 평안히 생의 마지막을 맞는 복까지 누렸습니다(16〜17절). 이처럼 하나님은 의인이 고난을 경험하게 하실 수 있으나 결국은 모든 것을 회복시키시고 더 큰 복으로 갚아주시는 분입니다.
욥이 세 친구를 용서하고 그들을 위해 기도했을 때 놀라운 회복의 역사가 일어났습니다. 자신을 십자가에 못 박고 조롱하는 자들을 용서하시고 그들을 위해 기도하신 예수님은 구원의 역사를 이루셨습니다. 우리도 고난 가운데 인내하며, 복수보다는 용서를, 판단보다는 공감을 통해 모든 것을 회복시키시고 구원하시는 하나님의 역사를 맛보아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