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엘리후가 말을 이어 이르되
2 그대는 이것을 합당하게 여기느냐 그대는 그대의 의가 하나님께로부터 왔다는 말이냐
3 그대는 그것이 내게 무슨 소용이 있으며 범죄하지 않는 것이 내게 무슨 유익이 있겠느냐고 묻지마는
4 내가 그대와 및 그대와 함께 있는 그대의 친구들에게 대답하리라
5 그대는 하늘을 우러러보라 그대보다 높이 뜬 구름을 바라보라
6 그대가 범죄한들 하나님께 무슨 영향이 있겠으며 그대의 악행이 가득한들 하나님께 무슨 상관이 있겠으며
7 그대가 의로운들 하나님께 무엇을 드리겠으며 그가 그대의 손에서 무엇을 받으시겠느냐
8 그대의 악은 그대와 같은 사람에게나 있는 것이요 그대의 공의는 어떤 인생에게도 있느니라
9 사람은 학대가 많으므로 부르짖으며 군주들의 힘에 눌려 소리치나
10 나를 지으신 하나님은 어디 계시냐고 하며 밤에 노래를 주시는 자가 어디 계시냐고 말하는 자가 없구나
11 땅의 짐승들보다도 우리를 더욱 가르치시고 하늘의 새들보다도 우리를 더욱 지혜롭게 하시는 이가 어디 계시냐고 말하는 이도 없구나
12 그들이 악인의 교만으로 말미암아 거기에서 부르짖으나 대답하는 자가 없음은
13 헛된 것은 하나님이 결코 듣지 아니하시며 전능자가 돌아보지 아니하심이라
14 하물며 말하기를 하나님은 뵈올 수 없고 일의 판단하심은 그 앞에 있으니 나는 그를 기다릴 뿐이라 말하는 그대일까보냐
15 그러나 지금은 그가 진노하심으로 벌을 주지 아니하셨고 악행을 끝까지 살피지 아니하셨으므로
16 욥이 헛되이 입을 열어 지식 없는 말을 많이 하는구나
엘리후는 총 네 번의 말을 이어 가는데, 오늘 본문은 그중 가장 짧은 세 번째 말입니다. 엘리후는 계속 정의(의로움)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면서 하나님의 의로우심을 변호하려는 의도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그런데 엘리후는 하나님과 욥 사이에서 하나님 편을 들기 위해 말을 시작했지만, 실제로는 오히려 하나님의 권능을 부인하는 말을 늘어놓고 있습니다.
인간의 행실은 무의미한가?(1~8절)
엘리후는 욥이 자신은 하나님 앞에서 의롭게 살았고 죄를 짓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에게 아무런 유익이 없다고 탄식한 내용을 인용하며(2~3절) 이에 대한 대답을 제시하겠다고 합니다(4절). 이는 ‘어찌하여 의인이 고난을 당하는가?’에 대한 답을 자기가 제시하겠다는 말입니다. 만약 엘리후가 여기에 제대로 답변했다면, 그는 욥기에 등장하는 모든 인물 중에서 가장 지혜로운 자가 되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엘리후가 제시하는 답변은 어처구니없게도 “사람이 죄를 범하든 의로운 삶을 살든 하나님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입니다(6~7절). 엘리후는 악과 의의 문제가 사람의 영역에 속해 있으므로, 인간의 의로움이나 악함은 인간들 사이에서만 의미가 있을 뿐이라고 주장했습니다(8절). 그러나 이는 성경에 기록된 하나님의 성품을 정면으로 반박하는 주장입니다. 하나님과 인간이 관계가 없다면 도대체 왜 하나님은 자기 백성을 택하시고 율법을 주시며, 죄인을 벌하시고 의로운 삶을 살도록 가르치셨냐는 질문이 제기될 수밖에 없습니다. 엘리후는 연장자들의 대화를 듣고 욥의 친구들이 욥의 입을 막지 못한 것에 흥분하여 하나님 편에 서서 욥을 비난하려 했지만, 결국 그의 주장은 ‘우리와 하나님은 상관이 없다’라는 결과에 이르고 맙니다. 이처럼 자기를 지혜롭게 여기는 자는 결국 그 어리석음을 드러내고 맙니다.
인간의 기도는 무의미한가?(9~16절)
이어서 엘리후는 사람이 고통 가운데 부르짖는 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으며, 하나님은 그 부르짖음을 듣지 않으신다고 주장합니다. 엘리후는 세상에서 왕과 같은 강한 자들에게 눌려 학대를 당하며 고통스러워하면서도 창조주 하나님이 어디 계시냐고 찾는 사람이 없으며(9〜10절), 사람을 지혜롭게 하고 존귀하게 만드신 하나님을 찾는 사람도 없다고 말합니다(11절). 이는 어쩌면 어려운 일을 당했을 때 하나님을 찾는 사람이 그리 많지 않은 현실을 반영한 말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고통 가운데 하나님을 찾는 의인들은 분명 있습니다. 따라서 악인의 교만이나 압제 때문에 고통스러워하는 사람들의 기도는 헛되며, 그런 헛된 기도는 하나님이 듣지 않으신다는 엘리후의 주장은 지나친 면이 있습니다(12〜13절). 하나님은 세상의 악으로 인해 신음하는 사람들의 기도를 들으시는 분입니다. 그럼에도 엘리후는 하나님을 바라고 은총을 기다리기로 결단한 욥의 기도와 말은 모두 헛된 것이라고 주장함으로써, 하나님은 의인의 기도를 듣지 않으시는 분이라고 결론 내리고 있습니다(14~16절). 그러나 이는 자기 백성의 부르짖음을 들으시는 하나님의 성품과는 완전히 상반되는 주장입니다. 연장자들을 꾸짖고 자기 지혜로 하나님을 변호하려 했던 엘리후는 오히려 완전히 하나님을 부인하는 결론에 이르고 있습니다.
현대에도 과거의 지혜자들이 답을 찾지 못한 문제에 대해 자기는 답을 가지고 있는 양 자신하며 교만한 태도로 일관하는 어리석은 자들이 있습니다. 안타깝게도 그런 사람들에 의해 교회에 혼란이 가중되고, 참된 지식이 흐려지는 경우도 많습니다. 우리는 어리석은 가르침을 잘 분별하는 능력을 갖추어야만 합니다. 우리의 짧은 생각으로는 하나님의 신비를 다 이해할 수 없음을 인정하고 겸손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