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바로가 모세와 아론을 불러 이르되 너희는 가서 이 땅에서 너희 하나님께 제사를 드리라
26.모세가 이르되 그리함은 부당하니이다 우리가 우리 하나님 여호와께 제사를 드리는 것은 애굽 사람이 싫어하는 바인즉 우리가 만일 애굽 사람의 목전에서 제사를 드리면 그들이 그것을 미워하여 우리를 돌로 치지 아니하리이까
27.우리가 사흘길쯤 광야로 들어가서 우리 하나님 여호와께 제사를 드리되 우리에게 명령하시는 대로 하려 하나이다
28.바로가 이르되 내가 너희를 보내리니 너희가 너희의 하나님 여호와께 광야에서 제사를 드릴 것이나 너무 멀리 가지는 말라 그런즉 너희는 나를 위하여 간구하라
29.모세가 이르되 내가 왕을 떠나가서 여호와께 간구하리니 내일이면 파리 떼가 바로와 바로의 신하와 바로의 백성을 떠나려니와 바로는 이 백성을 보내어 여호와께 제사를 드리는 일에 다시 거짓을 행하지 마소서 하고
30.모세가 바로를 떠나 나와서 여호와께 간구하니
31.여호와께서 모세의 말대로 하시니 그 파리 떼가 바로와 그의 신하와 그의 백성에게서 떠나니 하나도 남지 아니하였더라
32.그러나 바로가 이 때에도 그의 마음을 완강하게 하여 그 백성을 보내지 아니하였더라
하나님은 아브라함을 믿음의 조상으로 세우시기 위해 본토, 친척, 아비 집에서 떠나게 하십니다(창 12:1). 마찬가지로 하나님의 부르심을 입은 성도는 죄의 세상에서 떠나야 합니다. 우리가 하나님께 온전히 예배하는 삶을 위해 떠나야 할 세상은 어디입니까?
1. 우상 숭배자들을 떠나야 함
바로는 파리 재앙이 극에 달하자, 모세를 불러 애굽에서 나가지 말고 그 땅에서 여호와께 제사를 드리라고 제안합니다. 모세가 출애굽의 목적을 하나님께 제사를 드리기 위함이라고 말했기 때문입니다. 바로는 이스라엘 백성을 애굽에서 내보내지 않는 대신 종교의 자유를 허락하겠다고 제안한 것입니다. 그러나 모세는 단호하게 거절합니다. 우상숭배가 가득한 애굽 땅에서 여호와께 제사를 드리면 애굽 사람들이 돌로 칠 것이라는 이유입니다. 그러나 단순히 그들의 방해나 위협이 두렵다기보다는 여호와께 제사를 드리기에는 우상숭배로 가득한 애굽 땅이 합당치 않았기 때문입니다. 이스라엘 백성도 애굽땅에서 약 400년간 살아왔기에 애굽의 우상숭배 문화에 젖어 있었습니다. 그렇기에 그들이 하나님을 섬기는 백성이 되려면 그곳을 떠나 새로운 땅에서 새롭게 출발해야 했습니다(겔 14:6). 하나님은 이미 오래전부터 가나안 땅을 약속하셨습니다. 이스라엘은 애굽을 떠나 약속의 땅 가나안으로 가서 하나님을 온전히 섬기는 새로운 삶을 열어 가야 했던 것입니다. 이것이 하나님의 백성이 된다는 의미입니다. 성도는 하나님을 온전히 예배하기 위해 세속에 물들지 않도록 세상에서 구별된 삶을 살아야 합니다.
2. 순종의 삶으로 예배함
모세는 사흘 길쯤 광야로 들어가서 여호와께 제사를 드리는 것이 하나님의 뜻이며, 자신들은 오직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야 한다고 대답합니다. 여호와께 제사한다는 것은 단순히 제사만 드리면 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거룩한 법을 따라 사는 삶이 동반되어야 합니다. 하나님의 법을 따라 살지 않으면서 제사만 드린다면 그 제사는 가치도, 의미도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하나님은 후에 이스라엘 백성이 우상숭배와 불법을 행하면서 제사를 드리는 것에 진노하시며 차라리 제사를 드리지 말라고까지 말씀하셨습니다(사 1:13). 이는 성도가 하나님 앞에 드릴 영적 예배가 이방 사람들과 성별 되어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삶을 제물로 드리는 산 제사인 것과 같습니다(롬 12:1-2). 그러므로 성도는 일상에서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는 거룩한 삶을 살아야 합니다.
3. 왕이신 하나님 백성의 삶
이스라엘 백성이 애굽 땅을 떠나야만 했던 이유는 하나님이 그들에게 제사만 받으시는 분이 아니라 그들을 다스리시는 왕이기 때문입니다. 즉 이스라엘 백성은 바로의 노예가 아니라 하나님의 백성이 되어야 했습니다. 하나님이 다스리시는 이스라엘은, 오늘날 그리스도 안에 있는 성도에게 영원한 하나님 나라의 징표입니다. 그러므로 이스라엘은 사탄의 권세에서 벗어나 하나님이 다스리시는 약속의 땅으로 가야 했습니다. 성도는 그리스도 안에서 죄의 세력으로부터 해방되어 광야를 지나 영원한 하나님 나라를 향해 가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모든 죄의 요소를 떠나 오직 하나님의 거룩하신 법과 은혜 가운데 거룩한 나라 백성으로 살아가야 합니다.
이스라엘 백성은 애굽을 떠나서도 우상숭배의 습성을 버리지 못해 심판을 받았습니다(민 11:1). 성도는 아직도 자신 안에 버리지 못한 죄의 요소와 습성 들을 철저히 분별해 제거해야 합니다. 그리고 그 자리에 하나님의 말씀과 성령으로 채우심을 받아 온전한 예배자의 삶을 살아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