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이스라엘 자손의 온 회중이 여호와의 명령대로 신 광야에서 떠나 그 노정대로 행하여 르비딤에 장막을 쳤으나 백성이 마실 물이 없는지라
2.백성이 모세와 다투어 이르되 우리에게 물을 주어 마시게 하라 모세가 그들에게 이르되 너희가 어찌하여 나와 다투느냐 너희가 어찌하여 여호와를 시험하느냐
3.거기서 백성이 목이 말라 물을 찾으매 그들이 모세에게 대하여 원망하여 이르되 당신이 어찌하여 우리를 애굽에서 인도해 내어서 우리와 우리 자녀와 우리 가축이 목말라 죽게 하느냐
4.모세가 여호와께 부르짖어 이르되 내가 이 백성에게 어떻게 하리이까 그들이 조금 있으면 내게 돌을 던지겠나이다
5.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백성 앞을 지나서 이스라엘 장로들을 데리고 나일 강을 치던 네 지팡이를 손에 잡고 가라
6.내가 호렙 산에 있는 그 반석 위 거기서 네 앞에 서리니 너는 그 반석을 치라 그것에서 물이 나오리니 백성이 마시리라 모세가 이스라엘 장로들의 목전에서 그대로 행하니라
7.그가 그 곳 이름을 맛사 또는 므리바라 불렀으니 이는 이스라엘 자손이 다투었음이요 또는 그들이 여호와를 시험하여 이르기를 여호와께서 우리 중에 계신가 안 계신가 하였음이더라
하나님의 인도하심으로 이스라엘 백성은 르비딤에 도착했습니다. 그런데 마실 물이 없었습니다. 곤경에 직면하자 그들은 엘림에서 물을 예비하신 하나님을 잊어버리고 또다시 모세를 향해 분노하며 하나님을 시험하기까지 합니다. 그러나 모세는 자기를 향해 분노를 쏟아 내는 이스라엘 백성에게 하나님의 사람으로서 신실한 모습을 보여 줍니다.
1. 그들을 위해 기도했습니다.
이스라엘 백성은 하나님의 인도하심으로 르비딤에 도착하지만 먹을 물이 없었습니다. 그러자 그들은 모세를 원망하는 것을 넘어 이제 그와 다투기까지 했습니다. 물을 어떻게든 마련해서 해결해 내라고 항의했습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이스라엘 백성의 분노는 점점 커져, 모세가 생명의 위협을 느낄 정도였습니다. 그들이 모세에게 돌을 던질 수도 있는 살벌한 상황이었던 것입니다. 이스라엘 백성의 원망과 분노는 타당하지 않은 것입니다. 그러나 모세는 분노하며 돌을 던지려는 사람들에게 똑같이 대항하며 분노를 표출하지 않았습니다. 하나님께 나아가 부르짖어 기도했습니다. 절박한 심정을 그대로 아뢰었습니다. 우리가 인생을 살아가다 보면 우리를 분노하게 하는 억울한 일들이나 우리를 위협하는 일들을 만날 때가 있습니다. 억울함을 호소하기 위해 사람들에게 하소연하기도 하고, 위협적인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해 인간의 방법을 동원해 보기도 합니다. 그러나 십자가에 달리신 예수님은 당신을 십자가에 못 박은 사람들을 위해 기도하셨습니다. 그들의 죄를 용서해 달라고 간구하셨습니다. 억울하게 고난을 당하더라도 예수님이 십자가에서 죄인들을 위해 기도하신 것을 생각하며 괴로움을 참고 견디는 것이 하나님이 당신의 자녀들에게 기대하시는 모습입니다. 억울한 일을 당하면 먼저 무릎을 꿇고 하나님께 마음을 토하며 구하십시오. 주께서 들으시고 해결해 주실 것입니다.
2. 그들을 유익하게 했습니다.
모세의 기도를 들으신 하나님은 호렙산으로 가서 당신께서 서 계신 바위를 지팡이로 치라고 말씀하십니다. 바위에서 백성이 마실 물이 터져 나오는 기적을 보여 주겠다고 약속하십니다.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이 항의하고 도전하며 하나님을 시험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참으시고 그들의 필요를 채워 주셨습니다. 모세는 하나님의 말씀대로 순종함으로 문제를 해결해 주었습니다. 모세는 하나님의 명령이 떨어지자 지체하지 않았습니다. 그가 지체 없이 움직인 것은 단지 위급한 상황을 모면하기 위한 것이 아니었습니다. 그는 이스라엘 백성을 여전히 사랑하시는 하나님의 마음을 알았던 것입니다. 그들을 위해 기적을 베푸시는 하나님의 마음을 헤아려 신속히 이스라엘 백성을 위한 섬김의 자리에 서고자 했습니다. 하나님은 끊임없이 당신을 대적하고 반역하는 죄인들을 위해 독생자 예수님을 보내주셨습니다. 그 사랑을 경험한 사람은 억울하고 분한 상황에서도 하나님의 사랑을 기억합니다. 그리고 원수같이 여겨지는 사람을 위해서도 기도와 섬김을 마다하지 않게 됩니다. 한국 교회에서 크게 존경받는 손양원 목사님은 아들을 죽인 원수를 오히려 양자로 삼는 큰 사랑을 보여 주었습니다. 억울한 일을 당해 사람들이 원수같이 느껴진다면 분노를 억누르고 먼저 그 사람을 섬겨 보시기 바랍니다. 그러면 하나님이 넘치는 사랑을 채워 주실 것입니다.
하나님은 원수가 주리거든 먹이고 목마르거든 마시게 하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바로 이러한 가르침을 실천한 사람이 바로 모세입니다. 그는 억울하고 위협적인 상황에도 백성을 위해 기도하며 섬기기를 주저하지 않았습니다. 만약 우리가 모세와 같은 태도를 보일 수만 있다면 온유하고 자비로우신 하나님을 이웃에게 분명하게 드러낼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