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그는 비록 악을 달게 여겨 혀 밑에 감추며
13 아껴서 버리지 아니하고 입천장에 물고 있을지라도
14 그의 음식이 창자 속에서 변하며 뱃속에서 독사의 쓸개가 되느니라
15 그가 재물을 삼켰을지라도 토할 것은 하나님이 그의 배에서 도로 나오게 하심이니
16 그는 독사의 독을 빨며 뱀의 혀에 죽을 것이라
17 그는 강 곧 꿀과 엉긴 젖이 흐르는 강을 보지 못할 것이요
18 수고하여 얻은 것을 삼키지 못하고 돌려 주며 매매하여 얻은 재물로 즐거움을 삼지 못하리니
19 이는 그가 가난한 자를 학대하고 버렸음이요 자기가 세우지 않은 집을 빼앗음이니라
20 그는 마음에 평안을 알지 못하니 그가 기뻐하는 것을 하나도 보존하지 못하겠고
21 남기는 것이 없이 모두 먹으니 그런즉 그 행복이 오래 가지 못할 것이라
22 풍족할 때에도 괴로움이 이르리니 모든 재난을 주는 자의 손이 그에게 임하리라
23 그가 배를 불리려 할 때에 하나님이 맹렬한 진노를 내리시리니 음식을 먹을 때에 그의 위에 비 같이 쏟으시리라
24 그가 철 병기를 피할 때에는 놋화살을 쏘아 꿰뚫을 것이요
25 몸에서 그의 화살을 빼낸즉 번쩍번쩍하는 촉이 그의 쓸개에서 나오고 큰 두려움이 그에게 닥치느니라
26 큰 어둠이 그를 위하여 예비되어 있고 사람이 피우지 않은 불이 그를 멸하며 그 장막에 남은 것을 해치리라
27 하늘이 그의 죄악을 드러낼 것이요 땅이 그를 대항하여 일어날 것인즉
28 그의 가산이 떠나가며 하나님의 진노의 날에 끌려가리라
29 이는 악인이 하나님께 받을 분깃이요 하나님이 그에게 정하신 기업이니라
소발은 욥의 반론을 무력화하고 자신의 주장을 지지하기 위해 두 가지 주장을 끌어냅니다. 첫째, 악인의 형통함이 일시적이라는 것입니다. 둘째, 악인이 많은 것을 누리는 것 같지만 참된 즐거움을 누리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오늘은 그의 주장이 지닌 맹점은 무엇이고. 성도는 하나님이 주관하시는 이 세상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지 살펴보고자 합니다.
악인이 누리는 평안은 없다(12~22절)
소발은 악인의 형통함이 일시적이며, 악인은 기쁨과 즐거움을 영원히 누리지 못한다고 주장합니다. 악인이 악행의 결과를 달콤하게 여길지 모르지만, 악의 결과는 악인을 죽이는 독이 되고 말 것이라고 합니다. 또한, 악인이 비윤리적인 방법으로 재물을 얻으면, 하나님이 그것을 빼앗아 버리실 것이라고 말합니다. 악인이 얻은 모든 것은 그의 몸에 독처럼 작용하여 그를 죽이는 원인이 될 것입니다. 따라서 그는 삶에서 풍요로움을 누리지 못할 것입니다. 소발은 이러한 결과가 가난한 자를 학대하고 다른 사람의 것을 빼앗은 결과라고 보고 있습니다. 악인은 반드시 심판을 받고 그 대가를 지불하는데, 그가 잠시 누리는 재물과 풍요로움은 그를 죽이는 원인이 될 것이며, 혹 그러한 것들을 오래 누린다고 할지라도 악인의 마음에는 평안함이 없어 참된 만족을 누리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특별히 소발은 악인이 누리는 재산과 소유물이 가난한 자들로부터 빼앗은 것이라고 말합니다. 이러한 권선징악의 결말은 모든 사람이 듣고 싶어 하는 내용입니다. 이러한 세계관이 많은 이에게 위로를 준다는 사실은, 그만큼 현실에 부당한 일이 많다는 방증입니다. 많은 사람이 인과응보의 법칙을 진리라고 믿고 싶어 하지만 현실은 다르다는 것을 우리는 잘 알고 있습니다. 본문의 경우, 아무런 잘못 없이 고통의 한가운데 있던 욥에게는 소발의 주장이 특히나 전혀 설득력 없었습니다.
심판의 하나님(23~29절)
소발은 악인이 평안함을 누리지 못하고 결국에는 심판을 받을 것이라는 주장에 보다 힘을 싣기 위해 심판을 내리는 주체가 하나님이라고 말합니다. 악인이 배불리려 할 때 하나님이 그러지 못하도록 하실 것입니다. 그가 재난을 피하고자 할 때 하나님은 그에게 더 큰 재난을 주실 것입니다. 그의 숨겨진 죄악이 드러나고, 그는 모든 재산을 잃어버릴 것입니다. 이 모든 일을 하나님이 행하신다는 것입니다. 사실 소발이 지금 구체적으로 언급한 일들은 욥이 당한 고난과 매우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하나님이 진노를 내리셨다거나 불을 내리셨다는 것은 실제로 욥이 당한 고난 가운데 하나였습니다. 즉 소발이 묘사한 악인의 운명이 욥의 상황과 일치 합니다. 소발은 욥을 악인 취급하고 끊임없이 정죄한 것입니다. 그는 욥의 고난을 하나님이 악인에게 행하신 심판으로 규정합니다. 소발의 주장에 따르면, 욥에게는 소망이 전혀 없습니다. 또 하나님은 악을 심판하시는 분이므로 욥이 구하는 중재자는 있을 수 없습니다. 여기서 우리는 소발이 죄인을 불쌍히 여기시는 하나님에 대해서는 전혀 몰랐음을 엿볼 수 있습니다. 소발은 하나님이 죄인을 불쌍히 여기신다는 사실을 몰랐기에 죄에 대한 심판만을 강조하여 고난 가운데 있는 친구에게 큰 상처를 주었습니다. 이처럼 하나님을 잘 알지 못하면서 개인의 견해에 권위를 부여하기 위해 하나님의 이름을 빙자하는 행동은 필연적으로 하나님과 사람 앞에서 죄를 짓는 결과를 불러옵니다.
많은 성도가 소발과 같은 잘못을 범합니다. 자기주장을 인정받으려고 하나님의 권위에 기대는 것입니다. 이는 하나님을 잘 모를 때 나타나는 교만과 어리석음입니다. 진정으로 하나님과 깊이 교제하여 남에게 쉽게 충고하기를 주의하고, 조용히 혼자 기도하는 성숙한 성도가 되시길 축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