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 나의 날이 경주자보다 빨리 사라져 버리니 복을 볼 수 없구나
26 그 지나가는 것이 빠른 배 같고 먹이에 날아 내리는 독수리와도 같구나
27 가령 내가 말하기를 내 불평을 잊고 얼굴 빛을 고쳐 즐거운 모양을 하자 할지라도
28 내 모든 고통을 두려워하오니 주께서 나를 죄 없다고 여기지 않으실 줄을 아나이다
29 내가 정죄하심을 당할진대 어찌 헛되이 수고하리이까
30 내가 눈 녹은 물로 몸을 씻고 잿물로 손을 깨끗하게 할지라도
31 주께서 나를 개천에 빠지게 하시리니 내 옷이라도 나를 싫어하리이다
32 하나님은 나처럼 사람이 아니신즉 내가 그에게 대답할 수 없으며 함께 들어가 재판을 할 수도 없고
33 우리 사이에 손을 얹을 판결자도 없구나
34 주께서 그의 막대기를 내게서 떠나게 하시고 그의 위엄이 나를 두렵게 하지 아니하시기를 원하노라
35 그리하시면 내가 두려움 없이 말하리라 나는 본래 그렇게 할 수 있는 자가 아니니라
욥이 느낀 가장 큰 고통은 하나님이 자기에게 아무 관심도 없는 것 같다는 데 있었습니다. 물론 이는 욥의 착각이었습니다. 그런데 욥의 탄식을 들어 보면 인간이 하나님의 관심 밖에 있다는 것이 얼마나 큰 절망인지를 깨닫게 됩니다.
짧고 헛된 인생(25-29절)
욥은 하나님이 인간에게 관심을 갖지 않으신다면 경주자, 빠른 배, 독수리처럼 빨리 지나가 버리는 인생의 시간 가운데 아무런 복을 누릴 수가 없다고 탄식합니다(25-26절). 인간이 인생 가운데 잠시라도 행복을 찾아보려고 해도 고통을 피할 수가 없는데, 이는 하나님이 인간의 죄를 사해 주시지 않을 것이기 때문입니다(27-28절). 아무리 화려하고 멋지게 꾸민 쾌속 유람선을 타고 있다고 해도, 그 배가 목적지에 도달하면 비참한 죽음을 맞게 된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면, 아무 생각 없이 유람선에서의 시간을 즐길 수는 없을 것입니다. 또 아무리 열심히 인생을 산다고 해도, 결국 정죄당하고 영원한 죽음과 고통 가운데 떨어질 수밖에 없다면 열심히 산다는 것 자체가 큰 의미를 갖지 못합니다. 물론 이는 욥이 고통 가운데 하나님이 멀리 계시다고 착각해 내뱉는 탄식이지만, 이를 통해 우리가 하나님을 잃어버리면 인생에서 어떠한 의미도 찾을 수 없음을 배울 수 있습니다.
깨끗할 수 없는 인생(30-31절)
사람은 인생 가운데 여러 종류의 고통을 경험합니다. 성경은 인간의 모든 문제의 근원이 무엇인지를 정확히 짚어냅니다. 바로 ‘죄’입니다. 하나님의 법도를 벗어나 자기가 하나님처럼 선악의 기준이 되기를 꾀한 인간은 죄로부터 벗어날 수 없습니다. 욥은 인간이 하나님을 잃어버리면 결코 죄로부터 깨끗해질 수 없음을 탄식하고 있습니다. 30절의 ‘눈 녹은 물’은 당시 사람들이 가장 깨끗한 물이라고 여겼던 물이고, ‘잿물은 비누와 같은 용도로 쓰였던 물입니다. 이것들로 깨끗이 씻어도 결국 인간은 더러운 죄의 개천에 빠지게 마련이라며 욥은 탄식합니다(31절). 이처럼 사람이 하나님과 멀어지면 더러운 죄에서 벗어날 수 없기에 무가치한 존재가 될 수밖에 없습니다.
심판 앞에 있는 인생(32-35절)
하나님을 떠난 인간은 하나님과 원수가 됩니다. 현실 세계에서는 약한 사람이 강한 사람과 싸워야 할 경우 국가, 법원 등의 힘을 빌려 재판이라는 방식으로 옳고 그름을 따지는 싸움을 하게 마련입니다. 하지만 온 우주에 하나님보다 더 강한 존재는 없으니 하나님과 재판을 해서 이길 수는 없습니다(32-33절). 욥의 유일한 소망은 자기가 지금 경험하고 있는 하나님의 진노의 막대기가 빨리 자신을 떠나고, 하나님의 두려우신 위엄을 조금이라도 피하는 것뿐입니다(34절). 이 고통에서 벗어날 수만 있다면 차분하게 이야기를 진행해갈 수 있겠지만(35절), 그러지 않고서는 절망에서 벗어날 수 없다고 말합니다. 사실 욥은 하나님으로부터 그저 일방적으로 얻어맞고 있다고 느끼며 이런 탄식을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는 곧 죄를 범한 인간이 하나님을 떠났을 때 경험하는 보편적 경험입니다. 하나님이 우리를 돌보시지 않는다면, 그저 고통과 절망밖에 남는 것이 없습니다.
우리는 하나님이 욥을 여전히 돌보고 계셨음을 알고 있지만, 욥은 이를 몰랐기에 사람이 하나님을 떠나면 어떤 상황까지 이르는지를 너무나 잘 말해 주고 있습니다. 우리의 유일한 피난처는 하나님이십니다. 사람은 죽음을 향해 빠르게 달려가는 짧고 헛된 인생이라는 항해를 하고 있습니다. 그 항해가 의미 있고 행복하기 위해서는 그 목적지가 하나님과 함께하는 영원한 복락이어야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