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하나님의 나라는 이렇게 임한다_누가복음 17:20-37

20 바리새인들이 하나님의 나라가 어느 때에 임하나이까 묻거늘 예수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하나님의 나라는 볼 수 있게 임하는 것이 아니요

21 또 여기 있다 저기 있다고도 못하리니 하나님의 나라는 너희 안에 있느니라

22 또 제자들에게 이르시되 때가 이르리니 너희가 인자의 날 하루를 보고자 하되 보지 못하리라

23 사람이 너희에게 말하되 보라 저기 있다 보라 여기 있다 하리라 그러나 너희는 가지도 말고 따르지도 말라

24 번개가 하늘 아래 이쪽에서 번쩍이어 하늘 아래 저쪽까지 비침같이 인자도 자기 날에 그러하리라

25 그러나 그가 먼저 많은 고난을 받으며 이 세대에게 버린 바 되어야 할지니라

26 노아의 때에 된 것과 같이 인자의 때에도 그러하리라

27 노아가 방주에 들어가던 날까지 사람들이 먹고 마시고 장가 들고 시집 가더니 홍수가 나서 그들을 다 멸망시켰으며

28 또 롯의 때와 같으리니 사람들이 먹고 마시고 사고 팔고 심고 집을 짓더니

29 롯이 소돔에서 나가던 날에 하늘로부터 불과 유황이 비오듯 하여 그들을 멸망시켰느니라

30 인자가 나타나는 날에도 이러하리라

31 그 날에 만일 사람이 지붕 위에 있고 그의 세간이 그 집 안에 있으면 그것을 가지러 내려가지 말 것이요 밭에 있는 자도 그와 같이 뒤로 돌이키지 말 것이니라

32 롯의 처를 기억하라

33 무릇 자기 목숨을 보전하고자 하는 자는 잃을 것이요 잃는 자는 살리리라

34 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그 밤에 둘이 한 자리에 누워 있으매 하나는 데려감을 얻고 하나는 버려둠을 당할 것이요

35 두 여자가 함께 맷돌을 갈고 있으매 하나는 데려감을 얻고 하나는 버려둠을 당할 것이니라

36 (없음)

37 그들이 대답하여 이르되 주여 어디오니이까 이르시되 주검 있는 곳에는 독수리가 모이느니라 하시니라

사람들은 종말에 대해 두려워하고, 말하기를 싫어합니다. 하지만 예수님의 제자들은 종말을 바라보고, 기대하며 살아가는 사람들입니다. 제자들이 어떻게 종말을 두려워하지 않을 수 있는지 본문에서 그 이유를 알 수 있습니다.

종말의 날이 언제인지 알 수 없다(20~30절)

예수님은 바리새인과 제자들에게 종말의 때도(20b, 22b절), 장소도(21a, 23절) 알 수 없다고 말씀하십니다. 종말은 번개가 번쩍임과 같아서 ‘하나님의 나라’가 임했다는 소문이 퍼질 새도 없이 임할 것입니다(24절). 예수님은 이를 강조하시기 위해 구약성경의 역사를 인용하십니다. 노아의 홍수 때(26〜27절)나 소돔이 멸망당할 때(25〜30절)에도 사람들은 그 일을 전혀 예상하지 못했습니다. 그 일들은 어떤 징조들 이후에 일어난 사건이 아니라 전혀 예상하지 못하게 갑자기 일어난 사건입니다. 이처럼 예수님의 재림도 그러할 것입니다. 예수님이 십자가를 지심으로 종말은 이미 시작되었기 때문에(25절) 교회는 주님이 다시 오실 날을 기다리며 살아가야 합니다. 그런데 그때를 예상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입니다. 아직도 그때를 알 수 있다고 주장하는 자들이 있는데, 우리는 결코 미혹되지 말아야 합니다.

종말을 준비하라(31~33절)

예수님은 종말의 날이 언제인지 알 수 없다는 가르침(20~30절)과 종말이 어떤 모습으로 임할지 알 수 없다는 가르침(34〜37절) 사이에 제자들이 종말의 때에 어떤 태도를 가져야 하는가를 가르쳐 주십니다. 사실 이것이 제자들을 향한 가르침의 핵심이라 할 수 있습니다. 만약 종말의 때를 맞이하게 된다면 절대 주저해서는 안 됩니다. 무엇보다 세상의 것들에 미련을 가져서는 안 됩니다. 롯의 처가 뒤를 돌아보았다가 소금 기둥이 된 것처럼, 하나님의 나라를 선택하지 않고 세상 것을 챙기려 하다가는 버림받을 것입니다(31〜32절). 그런데 종말의 날이 언제인지 알 수 없으니, 이 세상을 살아가는 동안 언제라도 내 재산, 또는 내 생명까지도 포기할 준비가 되어있어야 합니다(33절). 세상 것에 집착하지 말고 하나님 나라를 얻기 위해 다른 것은 포기할 수 있어야 합니다.

종말의 형태도 알 수 없다(34~37절)

예수님에 의해 새롭게 임할 하나님의 나라는 과거 이스라엘이 경험했던 종말과는 다르게 임할 것입니다(34〜35절). 노아의 홍수나 소돔의 멸망, 예루살렘 패망 등은 전 인류 또는 성안 백성 모두에게 임했습니다. 그러나 그날의 종말은 각 사람에게 개별적으로 적용되어 같은 공간에 있는 두 사람 중 한 사람에게만 임할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종말이 어떻게 임할지 더욱 예측할 수가 없습니다. 이처럼 종말의 시간과 형태를 예상할 수 없다는 예수님의 말씀에 제자들은 “주여, 어디오니이까?”라고 묻습니다(37a절). 이는 시간과 형태를 알 수 없다면 재림의 장소라도 알려 달라는 질문입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주검 있는 곳에는 독수리가 모이느니라”고 말씀하십니다(37b절). 이것은 이스라엘의 속담입니다. 독수리가 모이는 장소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시체가 있는 곳에 모이듯이, 종말의 장소 역시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그리스도인들은 이처럼 전혀 예상할 수 없는 종말을 바라보며 살아갑니다. 언제, 어디서, 어떤 형태로 종말이 임할지 예상할 수 없다면, 가장 지혜로운 방법은 항상 준비된 상태로 깨어 있는 것입니다. 언제일지 알 수 없기에 오늘 일을 내일로 미루지 말고, 오늘에 충실하고, 현재 상황에 자족하며, 우리 안에 있는 하나님의 권능으로 우리가 살아가는 곳을 하나님의 나라로 바꿔 나가며 살아가는 것입니다.

0 views

Recent Posts

See All

1 다윗과 그의 사람들이 사흘 만에 시글락에 이른 때에 아말렉 사람들이 이미 네겝과 시글락을 침노하였는데 그들이 시글락을 쳐서 불사르고 2 거기에 있는 젊거나 늙은 여인들은 한 사람도 죽이지 아니하고 다 사로잡아 끌고 자기 길을 갔더라 3 다윗과 그의 사람들이 성읍에 이르러 본즉 성읍이 불탔고 자기들의 아내와 자녀들이 사로잡혔는지라 4 다윗과 그와 함께 한

1 블레셋 사람들은 그들의 모든 군대를 아벡에 모았고 이스라엘 사람들은 이스르엘에 있는 샘 곁에 진 쳤더라 2 블레셋 사람들의 수령들은 수백 명씩 수천 명씩 인솔하여 나아가고 다윗과 그의 사람들은 아기스와 함께 그 뒤에서 나아가더니 3 블레셋 사람들의 방백들이 이르되 이 히브리 사람들이 무엇을 하려느냐 하니 아기스가 블레셋 사람들의 방백들에게 이르되 이는

15 사무엘이 사울에게 이르되 네가 어찌하여 나를 불러 올려서 나를 성가시게 하느냐 하니 사울이 대답하되 나는 심히 다급하니이다 블레셋 사람들은 나를 향하여 군대를 일으켰고 하나님은 나를 떠나서 다시는 선지자로도, 꿈으로도 내게 대답하지 아니하시기로 내가 행할 일을 알아보려고 당신을 불러 올렸나이다 하더라 16 사무엘이 이르되 여호와께서 너를 떠나 네 대적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