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하나님의 통치_예레미야 27:1-11

1.유다의 왕 요시야의 아들 여호야김이 다스리기 시작할 때에 여호와께서 말씀으로 예레미야에게 임하시니라

2.여호와께서 이와 같이 내게 말씀하시되 너는 줄과 멍에를 만들어 네 목에 걸고

3.유다의 왕 시드기야를 보러 예루살렘에 온 사신들의 손에도 그것을 주어 에돔의 왕과 모압의 왕과 암몬 자손의 왕과 두로의 왕과 시돈의 왕에게 보내며

4.그들에게 명령하여 그들의 주에게 말하게 하기를 만군의 여호와 이스라엘의 하나님께서 이와 같이 말씀하시되 너희는 너희의 주에게 이같이 전하라

5.나는 내 큰 능력과 나의 쳐든 팔로 땅과 지상에 있는 사람과 짐승들을 만들고 내가 보기에 옳은 사람에게 그것을 주었노라

6.이제 내가 이 모든 땅을 내 종 바벨론의 왕 느부갓네살의 손에 주고 또 들짐승들을 그에게 주어서 섬기게 하였나니

7.모든 나라가 그와 그의 아들과 손자를 그 땅의 기한이 이르기까지 섬기리라 또한 많은 나라들과 큰 왕들이 그 자신을 섬기리라

8.여호와의 말씀이니라 바벨론의 왕 느부갓네살을 섬기지 아니하며 그 목으로 바벨론의 왕의 멍에를 메지 아니하는 백성과 나라는 내가 그들이 멸망하기까지 칼과 기근과 전염병으로 그 민족을 벌하리라

9.너희는 너희 선지자나 복술가나 꿈꾸는 자나 술사나 요술자가 이르기를 너희가 바벨론의 왕을 섬기게 되지 아니하리라 하여도 너희는 듣지 말라

10.그들은 너희에게 거짓을 예언하여 너희가 너희 땅에서 멀리 떠나게 하며 또 내가 너희를 몰아내게 하며 너희를 멸망하게 하느니라

11.그러나 그 목으로 바벨론의 왕의 멍에를 메고 그를 섬기는 나라는 내가 그들을 그 땅에 머물러 밭을 갈며 거기서 살게 하리라 하셨다 하라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하시니라


예레미야는 여호와의 명령에 따라 멍에를 메야 했습니다. 멍에를 멘다는 것은 유다가 바벨론의 통치를 받게 될 것을 보여 주는 상징이었습니다. 예레미야가 예언한 유다의 운명은 세상의 주인이 하나님이심을 확실하게 보여 주고 있습니다. 예레미야의 예언에 나타난 하나님의 주권은 어떤 성격을 담고 있을까요?


1. 악한 나라를 향한 심판

하나님이 창조하신 모든 것은 하나님의 주권 아래에 있습니다. 하나님은 크신 능력과 높으신 권세로 땅과 그 위에 있는 모든 피조물을 통치하시며, 당신의 뜻대로 사람들에게 땅을 나눠 주십니다. 하나님은 이스라엘의 죄를 징계하시기 위해 바벨론이라는 나라에 강한 힘과 권능을 주시기로 작정하시고, 모든 나라가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에 의해 다스려질 것이라고 말씀하십니다. 이러한 하나님의 뜻에 대항하는 것은 더 큰 심판을 자초할 뿐입니다. 그렇다면 하나님은 바벨론의 죄악에 대해서는 어떻게 하셨을까요? 하나님은 유다를 징계하는 도구로 느부갓네살을 사용하셨지만, 그에게 영원히 권세를 주지는 않으셨습니다. 태양과 달을 섬기던 바벨론 역시 그들이 지은 죄에 따라 하나님의 심판을 받았습니다. 강력한 힘을 발휘하던 바벨론은 느부갓네살 이후로 왕권이 약화됩니다. 결국, 메대와 바사의 연합국에 의해 주전 539년에 멸망당하고 맙니다. 하나님은 이 세상을 두루 감찰하시며 공의로 다스리시는 분입니다. 하나님의 의로운 통치 아래 모든 나라의 흥망성쇠가 결정됩니다. 하나님은 당신의 뜻에 순종하는 나라에는 평화를 주시지만, 당신의 뜻을 저버리고 악을 행하는 나라에는 심판을 내리십니다. 이처럼 우리의

운명은 하나님의 손에 있습니다. 우리는 이 사실을 헤아려 이 나라가 하나님의 뜻을 실현하는 거룩한 공동체가 되도록 마음 모아 기도해야 합니다.


2. 주의 시간에 이루어질 화복

바벨론에 항복하고 그 권세에 복종하라는 하나님의 명령은 유다 백성이 받아들이기에 참으로 고통스러운 명령이었습니다. 그러나 바벨론의 통치에 굴복하여 멍에를 메고 그 나라를 섬기라는 말씀에는 한 가지 소망이 담겨 있습니다. 바로 하나님이 계획하신 기한이 이르면 고통은 끝날 것이라는 약속이었습니다. 하나님이 계획하신 시간에 이스라엘 백성은 바벨론의 멸망을 보게 될 것이고, 그들의 나라가 다시 회복되고 치유되는 것을 목도하게 될 것입니다. 하나님은 이처럼 당신의 뜻에 따라 때를 정하시고, 당신의 백성이 그 시기를 인내로 기다리기를 기대하십니다. 하나님이 정하신 때가 이르기까지 그 기한이 지나치게 긴 것처럼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이 기한을 정하신 것은 특별한 목적을 이루시기 위함임을 알아야 합니다. 유다의 역사를 돌이켜 보면, 유다 백성은 포로 시기를 통해 하나님을 향한 정결한 믿음을 회복했습니다. 그들의 땅은 그동안 누리지 못했던 안식을 누렸습니다. 이와같이 하나님은 언제나 당신의 백성의 치유와 화복을 위해 일하십니다. 그러므로 우리도 하나님의 다스리심이 온전히 성취되어 진정한 공의와 정의가 흐를 때까지 인내해야 합니다. 그 시기를 굳센 믿음으로 통과해야 합니다. 우리의 인내와 믿음에 대해 하나님은 당신의 때에 반드시 최선으로 보상해 주실 것입니다.


역사의 주관자요 통치자는 오직 하나님이십니다. 하나님은 당신이 정하신 때에 거룩한 뜻을 모든 나라에 펼치십니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통치가 우리 개인과 우리가 속한 나라와 공동체에 온전히 펼쳐지도록 인내로 기다릴 필요가 있습니다. 우리가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여 인내를 이루면 우리가 속한 공동체에 마침내 하나님의 공의와 정의가 흐르게 될 것입니다.

4 views

Recent Posts

See All

1 다윗이 그 마음에 생각하기를 내가 후일에는 사울의 손에 붙잡히리니 블레셋 사람들의 땅으로 피하여 들어가는 것이 좋으리로다 사울이 이스라엘 온 영토 내에서 다시 나를 찾다가 단념하리니 내가 그의 손에서 벗어나리라 하고 2 다윗이 일어나 함께 있는 사람 육백 명과 더불어 가드 왕 마옥의 아들 아기스에게로 건너가니라 3 다윗과 그의 사람들이 저마다 가족을 거

13 이에 다윗이 건너편으로 가서 멀리 산 꼭대기에 서니 거리가 멀더라 14 다윗이 백성과 넬의 아들 아브넬을 대하여 외쳐 이르되 아브넬아 너는 대답하지 아니하느냐 하니 아브넬이 대답하여 이르되 왕을 부르는 너는 누구냐 하더라 15 다윗이 아브넬에게 이르되 네가 용사가 아니냐 이스라엘 가운데에 너 같은 자가 누구냐 그러한데 네가 어찌하여 네 주 왕을 보호하

1 십 사람이 기브아에 와서 사울에게 말하여 이르되 다윗이 광야 앞 하길라 산에 숨지 아니하였나이까 하매 2 사울이 일어나 십 광야에서 다윗을 찾으려고 이스라엘에서 택한 사람 삼천 명과 함께 십 광야로 내려가서 3 사울이 광야 앞 하길라 산 길 가에 진 치니라 다윗이 광야에 있더니 사울이 자기를 따라 광야로 들어옴을 알고 4 이에 다윗이 정탐꾼을 보내어 사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