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하나님이 의도하신 패배_사사기 20:17-28

17 베냐민 자손 외에 이스라엘 사람으로서 칼을 빼는 자의 수는 사십만 명이니 다 전사라

18 이스라엘 자손이 일어나 벧엘에 올라가서 하나님께 여쭈어 이르되 우리 중에 누가 먼저 올라가서 베냐민 자손과 싸우리이까 하니 여호와께서 말씀하시되 유다가 먼저 갈지니라 하시니라

19 이스라엘 자손이 아침에 일어나 기브아를 대하여 진을 치니라

20 이스라엘 사람이 나가 베냐민과 싸우려고 전열을 갖추고 기브아에서 그들과 싸우고자 하매

21 베냐민 자손이 기브아에서 나와서 당일에 이스라엘 사람 이만 이천 명을 땅에 엎드러뜨렸으나

22 이스라엘 사람들이 스스로 용기를 내어 첫날 전열을 갖추었던 곳에서 다시 전열을 갖추니라

23 이스라엘 자손이 올라가 여호와 앞에서 저물도록 울며 여호와께 여쭈어 이르되 내가 다시 나아가서 내 형제 베냐민 자손과 싸우리이까 하니 여호와께서 말씀하시되 올라가서 치라 하시니라

24 그 이튿날에 이스라엘 자손이 베냐민 자손을 치러 나아가매

25 베냐민도 그 이튿날에 기브아에서 그들을 치러 나와서 다시 이스라엘 자손 만 팔천 명을 땅에 엎드러뜨렸으니 다 칼을 빼는 자였더라

26 이에 온 이스라엘 자손 모든 백성이 올라가 벧엘에 이르러 울며 거기서 여호와 앞에 앉아서 그 날이 저물도록 금식하고 번제와 화목제를 여호와 앞에 드리고

27 이스라엘 자손이 여호와께 물으니라 그 때에는 하나님의 언약궤가 거기 있고

28 아론의 손자인 엘르아살의 아들 비느하스가 그 앞에 모시고 섰더라 이스라엘 자손들이 여쭈기를 우리가 다시 나아가 내 형제 베냐민 자손과 싸우리이까 말리이까 하니 여호와께서 이르시되 올라가라 내일은 내가 그를 네 손에 넘겨 주리라 하시는지라

질 수 없는 싸움이었습니다. 전쟁의 정당성이나 군사력을 보아도 이스라엘 열한 지파가 유리했습니다. 하지만 그들은 전쟁에서 패퇴했습니다. 하나님이 그렇게 만드셨습니다. 그들에게는 승패가 중요했지만, 하나님의 관심은 다른 데 있었기 때문입니다.

40만 명의 대군이 운집합니다(17절). 기드온 때에 모였던 군사가 3만 명 정도였고, 바락과 드보라가 전쟁에 나갈 때 만 명의 군사가 모였음을 감안하면, 이스라엘은 이번 싸움에 모든 것을 걸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들은 이방의 압제자와 싸울 때보다 비장했고, 이 사안을 더 중대하게 인지했습니다. 어찌 보면 외부에서 오는 고난과 환난보다 더 위험한 것은 우리 안에 자리 잡고 있는 악입니다. 외부의 힘과 유혹은 우리를 평생 괴롭히지는 않지만, 한 번 우리 안에 똬리 틀고 있는 죄는 우리를 평생 괴롭히고, 많은 경우 실패로 인도하기 때문입니다.

누가 먼저 베냐민을 칠 것인지 이스라엘이 묻자, 하나님은 ‘유다’라고 응답하십니다(18절). 왜 하나님이 유다를 선봉에 세우셨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유다 지파가 베냐민 지파의 영토와 접해 있기 때문일 수도 있고(수 15장), 유다가 원래 형제들 사이에서 지도자 역할을 했기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다만 우리가 아는 것은 하나님이 유다 지파를 이스라엘의 가장 앞에 세우셨고, 그 지파를 통해 왕권과 구원의 역사를 성취하셨다는 것입니다. 유다가 앞장선 싸움이 비록 패배로 끝나긴 했지만, 패배를 포함한 이번 전투의 모든 과정이 실은 하나님이 이스라엘을 바로 세우시는 회복과 회개의 역사였습니다.

이스라엘이 묻고, 하나님이 응답하셨습니다.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했지만 이스라엘은 패배했습니다(19-21절). 이스라엘 역사에서 하나님의 응답과 명령, 그리고 순종은 언제나 승리로 연결되었습니다. 하지만 이 전쟁에서 하나님의 목적은 열한 지파의 승리가 아니었습니다. 이스라엘의 성결이었습니다. 이스라엘 안에 자리 잡은 악을 제거하는 일은 단순히 전쟁의 승리로는 달성할 수 없는 목표였습니다. 때로 하나님은 우리에게 쓰라린 패배를 주십니다. 그 이유는 우리에게 필요한 것이 승리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쓰라린 패배에도 하나님의 뜻은 담겨 있습니다.

40만 대군과 하나님의 응답에도 불구하고 이스라엘은 충격적 패배를 맛보았습니다. 그러자 그들은 기존과 사뭇 다른 모습을 보여 줍니다. 그들은 스스로 용기를 냈고, 전열로 복귀했으며, 울며 하나님께 올라갔습니다(22-23절). 패배는 이스라엘을 하나님 앞에 세웠습니다. 물론 이전에도 하나님께 나갔지만, 이제 하나님이 원하시는 겸비한 마음으로 하나님 앞에 서게 되었습니다. 아픔을 겪으면 낙담치 말고 성숙한 모습으로 하나님께 다시 나아가십시오.

그들은 최선을 다해 하나님께 나아갑니다. 울며 금식하고 제사를 드리며, 언약궤를 가져오고 제사장을 대동했습니다(26-28절). 여기서 우리는 한 가지 사실을 깨닫게 됩니다. 전심으로 하나님을 섬겨야 한다는 것입니다. 여러 번의 실패를 통해서라도 우리는 하나님을 바르게 섬긴다는 것이 무엇인지 반드시 깨달아야 합니다.

하나님은 때로 아픔과 패배를 경험하게 하십니다. 우리는 그 아픔을 통해 뒤로 물러날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 더욱 가까이 나아가야 합니다. 패배한 후에 스스로 용기를 낸 이스라엘처럼 다시 마음을 다잡고 하나님을 찾으십시오.

16 views

Recent Posts

See All

13 이에 다윗이 건너편으로 가서 멀리 산 꼭대기에 서니 거리가 멀더라 14 다윗이 백성과 넬의 아들 아브넬을 대하여 외쳐 이르되 아브넬아 너는 대답하지 아니하느냐 하니 아브넬이 대답하여 이르되 왕을 부르는 너는 누구냐 하더라 15 다윗이 아브넬에게 이르되 네가 용사가 아니냐 이스라엘 가운데에 너 같은 자가 누구냐 그러한데 네가 어찌하여 네 주 왕을 보호하

1 십 사람이 기브아에 와서 사울에게 말하여 이르되 다윗이 광야 앞 하길라 산에 숨지 아니하였나이까 하매 2 사울이 일어나 십 광야에서 다윗을 찾으려고 이스라엘에서 택한 사람 삼천 명과 함께 십 광야로 내려가서 3 사울이 광야 앞 하길라 산 길 가에 진 치니라 다윗이 광야에 있더니 사울이 자기를 따라 광야로 들어옴을 알고 4 이에 다윗이 정탐꾼을 보내어 사

36 아비가일이 나발에게로 돌아오니 그가 왕의 잔치와 같은 잔치를 그의 집에 배설하고 크게 취하여 마음에 기뻐하므로 아비가일이 밝는 아침까지는 아무 말도 하지 아니하다가 37 아침에 나발이 포도주에서 깬 후에 그의 아내가 그에게 이 일을 말하매 그가 낙담하여 몸이 돌과 같이 되었더니 38 한 열흘 후에 여호와께서 나발을 치시매 그가 죽으니라 39 나발이 죽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