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하나님 안에서의 인간관계_창세기 31:43-55

43 라반이 야곱에게 대답하여 이르되 딸들은 내 딸이요 자식들은 내 자식이요 양 떼는 내 양 떼요 네가 보는 것은 다 내 것이라 내가 오늘 내 딸들과 그들이 낳은 자식들에게 무엇을 하겠느냐

44 이제 오라 나와 네가 언약을 맺고 그것으로 너와 나 사이에 증거를 삼을 것이니라

45 이에 야곱이 돌을 가져다가 기둥으로 세우고

46 또 그 형제들에게 돌을 모으라 하니 그들이 돌을 가져다가 무더기를 이루매 무리가 거기 무더기 곁에서 먹고

47 라반은 그것을 여갈사하두다라 불렀고 야곱은 그것을 갈르엣이라 불렀으니

48 라반의 말에 오늘 이 무더기가 너와 나 사이에 증거가 된다 하였으므로 그 이름을 갈르엣이라 불렀으며

49 또 미스바라 하였으니 이는 그의 말에 우리가 서로 떠나 있을 때에 여호와께서 나와 너 사이를 살피시옵소서 함이라

50 만일 네가 내 딸을 박대하거나 내 딸들 외에 다른 아내들을 맞이하면 우리와 함께 할 사람은 없어도 보라 하나님이 나와 너 사이에 증인이 되시느니라 함이었더라

51 라반이 또 야곱에게 이르되 내가 나와 너 사이에 둔 이 무더기를 보라 또 이 기둥을 보라

52 이 무더기가 증거가 되고 이 기둥이 증거가 되나니 내가 이 무더기를 넘어 네게로 가서 해하지 않을 것이요 네가 이 무더기, 이 기둥을 넘어 내게로 와서 해하지 아니할 것이라

53 아브라함의 하나님, 나홀의 하나님, 그들의 조상의 하나님은 우리 사이에 판단하옵소서 하매 야곱이 그의 아버지 이삭이 경외하는 이를 가리켜 맹세하고

54 야곱이 또 산에서 제사를 드리고 형제들을 불러 떡을 먹이니 그들이 떡을 먹고 산에서 밤을 지내고

55 라반이 아침에 일찍이 일어나 손자들과 딸들에게 입맞추며 그들에게 축복하고 떠나 고향으로 돌아갔더라

인간관계에서 갈등을 일으킬만한 요소를 그대로 두면 언제든지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과거를 깨끗하게 청산하고 화해하고서 발전적인 미래를 만들어 가야 합니다. 오늘 하나님은 야곱과 기반이 상호 평화조약을 맺게 하십니다.

야곱의 책망을 들은 라반은 한풀 기가 꺾이고 유순해진 어조로 합리적인 해결책을 제안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라반은 자기중심적입니다. 라반은 야곱의 모든 것이 다 자신의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야곱의 도주 사태를 참아 넘기겠다고 말합니다(43절). 이런 라반의 모습은 오늘날 사람들이 자신이 소유한 물질이나 건강, 지식, 명예 등 모든 것이 자기 것이라고 주장하는 모습과 같습니다. 그러나 사람이 세상에서 살아가는데 필요한 재물과 건강 등 모든 것은 하나님이 주신 선물입니다.

라반은 스스로 공치사를 한 후에 야곱에게 상호 우호조약을 맺자고 제안합니다. 두 사람은 돌기둥을 쌓아 조약의 증거로 삼고 그 형제들은 돌무더기를 만들어 그 곁에서 식사를 합니다(44〜46절). 라반은 그 증거의 돌무더기를‘여갈사하두다’(증거의 언덕)라 부르고, 야곱은 그것을 갈르엣(증거), 미스바(기둥)라고 부릅니다(47〜49절). 이는 하나님이 그들을 감찰하고 계시므로 언약을 잘 지켜야 한다는 경고의 의미입니다. 전지전능하신 하나님은 우리를 지켜보시고 마음의 생각까지도 아십니다. 우리는 하나님 앞에서 그분의 눈을 의식하고 진실하게 살아가야 합니다.

라반은 야곱에게 자기 딸들을 결코 박대하지 말고 다른 아내들을 맞이하지도 말 것을 강조합니다(60절). 라반은 가정불화가 일어나지 않도록 명기함으로 다시 돌아오기 힘든 먼 길을 떠나는 두 딸에게 애정을 표현합니다. 그는 또 돌기둥과 돌무더기가 자신과 야곱의 땅 경계선이 될 것이라고 말합니다(51〜52절). 이는 훗날 야곱이 가나안 땅에서 더 부강해진 후에 자신을 치러 오지 말 것을 간곡하게 부탁한 것입니다. 이처럼 불의를 행하는 자들은 성도들과 함께하시는 하나님을 두려워합니다.

라반은 아브라함의 하나님, 나홀의 하나님, 그들의 조상의 하나님을 부르며 ‘우리 사이에 판단하옵소서’라고 기도합니다. 야곱은 아버지 이삭이 경외하는 여호와 하나님을 가리켜 맹세합니다(53절). 라반은 심판의 주체자로 여러 신을 구별 없이 언급했지만, 야곱은 여호와 하나님의 이름으로만 맹세했습니다. 하나님은 인간관계를 정의롭고 공평하게 심판하시는 분입니다. 그렇기에 우리는 인간관계의 문제를 정당하게 판결하시는 하나님께 맡겨야 합니다.

야곱과 라반 일행은 제의 이후에 함께 식사를 하며 화목을 도모합니다. 라반은 아침 일찍 일어나 손자와 딸들에게 입 맞추며 축복하고 고향으로 돌아갑니다(54〜55절). 야곱은 하나님의 은혜로 위험에서 벗어나자 가장 먼저 하나님께 감사하는 제사를 드렸습니다. 아울러 자신을 시기하여 추격하던 라반의 형제들에게도 떡을 먹였습니다. 이렇게 원수까지도 사랑하고 은혜를 베푸는 야곱의 아름다운 모습은 오늘 우리에게 삶의 귀감이 됩니다.

라반과 야곱의 불편한 관계는 화친조약을 맺음으로 모두 해소됩니다. 물론 이 언약 체결의 배후에는 하나님의 강력한 손길이 있었습니다. 결국 모든 화목한 인간관계의 열쇠는 하나님께 있습니다. 모든 문제를 은혜롭게 조율하시는 능력의 하나님을 온전히 신뢰하며 겸손하게 살아가십시오.

1 view

Recent Posts

See All

1 다윗이 그 마음에 생각하기를 내가 후일에는 사울의 손에 붙잡히리니 블레셋 사람들의 땅으로 피하여 들어가는 것이 좋으리로다 사울이 이스라엘 온 영토 내에서 다시 나를 찾다가 단념하리니 내가 그의 손에서 벗어나리라 하고 2 다윗이 일어나 함께 있는 사람 육백 명과 더불어 가드 왕 마옥의 아들 아기스에게로 건너가니라 3 다윗과 그의 사람들이 저마다 가족을 거

13 이에 다윗이 건너편으로 가서 멀리 산 꼭대기에 서니 거리가 멀더라 14 다윗이 백성과 넬의 아들 아브넬을 대하여 외쳐 이르되 아브넬아 너는 대답하지 아니하느냐 하니 아브넬이 대답하여 이르되 왕을 부르는 너는 누구냐 하더라 15 다윗이 아브넬에게 이르되 네가 용사가 아니냐 이스라엘 가운데에 너 같은 자가 누구냐 그러한데 네가 어찌하여 네 주 왕을 보호하

1 십 사람이 기브아에 와서 사울에게 말하여 이르되 다윗이 광야 앞 하길라 산에 숨지 아니하였나이까 하매 2 사울이 일어나 십 광야에서 다윗을 찾으려고 이스라엘에서 택한 사람 삼천 명과 함께 십 광야로 내려가서 3 사울이 광야 앞 하길라 산 길 가에 진 치니라 다윗이 광야에 있더니 사울이 자기를 따라 광야로 들어옴을 알고 4 이에 다윗이 정탐꾼을 보내어 사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