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무엘의 말이 온 이스라엘에 전파되니라 이스라엘은 나가서 블레셋 사람들과 싸우려고 에벤에셀 곁에 진 치고 블레셋 사람들은 아벡에 진 쳤더니
2 블레셋 사람들이 이스라엘에 대하여 전열을 벌이니라 그 둘이 싸우다가 이스라엘이 블레셋 사람들 앞에서 패하여 그들에게 전쟁에서 죽임을 당한 군사가 사천 명 가량이라
3 백성이 진영으로 돌아오매 이스라엘 장로들이 이르되 여호와께서 어찌하여 우리에게 오늘 블레셋 사람들 앞에 패하게 하셨는고 여호와의 언약궤를 실로에서 우리에게로 가져다가 우리 중에 있게 하여 그것으로 우리를 우리 원수들의 손에서 구원하게 하자 하니
4 이에 백성이 실로에 사람을 보내어 그룹 사이에 계신 만군의 여호와의 언약궤를 거기서 가져왔고 엘리의 두 아들 홉니와 비느하스는 하나님의 언약궤와 함께 거기에 있었더라
5 여호와의 언약궤가 진영에 들어올 때에 온 이스라엘이 큰 소리로 외치매 땅이 울린지라
6 블레셋 사람이 그 외치는 소리를 듣고 이르되 히브리 진영에서 큰 소리로 외침은 어찌 됨이냐 하다가 여호와의 궤가 진영에 들어온 줄을 깨달은지라
7 블레셋 사람이 두려워하여 이르되 신이 진영에 이르렀도다 하고 또 이르되 우리에게 화로다 전날에는 이런 일이 없었도다
8 우리에게 화로다 누가 우리를 이 능한 신들의 손에서 건지리요 그들은 광야에서 여러 가지 재앙으로 애굽인을 친 신들이니라
9 너희 블레셋 사람들아 강하게 되며 대장부가 되라 너희가 히브리 사람의 종이 되기를 그들이 너희의 종이 되었던 것 같이 되지 말고 대장부 같이 되어 싸우라 하고
10 블레셋 사람들이 쳤더니 이스라엘이 패하여 각기 장막으로 도망하였고 살륙이 심히 커서 이스라엘 보병의 엎드러진 자가 삼만 명이었으며
11 하나님의 궤는 빼앗겼고 엘리의 두 아들 홉니와 비느하스는 죽임을 당하였더라
우상을 간단히 정의하면 ‘하나님의 대체재’입니다. 그래서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에게 “우상을 만들지 말라”(출 20:4〜6)는 계명을 돌판에 새겨 주셨고, ‘하나님의 언약궤’에 넣어 하나님의 임재를 상징하도록 하셨습니다. 그런데 본문에서 이스라엘 백성은 하나님의 임재의 상징인 언약궤를 우상의 도구로 전락시켜 버립니다. 이 사건을 통해 하나님의 하나님 되심을 생각해 보기를 원합니다.
사무엘이 선지자로 사역을 시작했을 때 이스라엘과 블레셋 사이에 전쟁이 벌어졌습니다. 그런데 이스라엘이 패하고 사천여 명이 죽임을 당했습니다(1〜2절). 본문은 블레셋에 ‘의해서’가 아니라 블레셋 ‘앞에서’ 크게 패했다고 말합니다. 곧 이 전쟁은 블레셋에 의한 것이 아닌 하나님이 자기 소견에 옳은 대로 행하던 이스라엘을 심판하신 전쟁이라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우리를 바로 잡으시기 위해 우리를 책망하시고, 때로 환난, 실패도 허락하십니다. 그때 하나님의 뜻을 구하며 하나님 앞에 바로 서야 합니다.
이스라엘은 ‘여호와의 언약궤’가 없었기 때문에 전쟁에서 패했다고 결론을 내립니다(3〜4절). 언약궤는 하나님의 임재의 상징일뿐 하나님이 아닙니다. 하나님은 언약궤에 묶여 계시는 분이 아닙니다. 하지만 이스라엘 백성은 언약궤 자체를 하나님으로 여겼고, 언약궤만 있으면 자동적으로 하나님이 승리를 주실 것이라고 생각한 것입니다. 그리스도의 희생과 사랑은 간과하고 외형이나 형식을 중요하게 여기는 것은 참신앙이 아니라 우상숭배입니다.
이스라엘은 언약궤가 진영에 들어오자 땅이 울릴 정도로 크게 환호합니다. 그 소리를 들은 블레셋은 출애굽의 역사를 기억하고 두려움에 떨었습니다(5〜8절). 이스라엘은 하나님이 어떤 분인지 기억하지 않았는데, 역설적이게도 블레셋은 하나님이 어떤 분인지 기억했습니다. 우리는 하나님이 어떤 분이고 어떤 일을 행하시는지를 날마다 기억해야 합니다. 우리가 하나님을 기억하면 하나님도 우리를 기억하시고, 위기의 때에 반드시 건져 주실 것입니다.
블레셋은 하나님을 기억하고 잠시 두려움에 빠졌지만, 강한 대장부가 되어 모든 것을 걸고 싸우자고 외칩니다(9절). 언약궤로 인한 두려움이 생명을 건 용기로 변한 것입니다. 언약궤를 통한 두려움은 오히려 이스라엘이 품었어야 할 마음이었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하나님을 경외하지 않고 오로지 자신들의 유익을 위해 하나님을 이용하려 했습니다. 여호와를 경외하는 것이 하나님 백성이 품어야 할 지혜의 기초입니다.
하나님이 아닌 언약궤를 의지한 이스라엘은 전쟁에서 패했고, 삼만 명의 군사가 전사했습니다. 게다가 언약궤까지 블레셋에게 빼앗겼고, 홉니와 비느하스는 죽임을 당했습니다(10〜11절). 하나님은 이스라엘을 철저히 심판하셨습니다. 이길 것으로 확신한 전쟁에 완전히 패하게 하셨고, 그들이 의지했던 언약궤를 빼앗기게 하셨고, 부패한 제사장들을 한 날에 죽이셨습니다. 우리가 하나님 외에 의지하는 것들이 있다면 차라리 완전히 없어지는 것이 낫습니다.
본문은 우리가 하나님을 어떻게 인식하고 대해야 하는지를 생각하게 합니다. 우리는 하나님을 가장 우선순위를 두고 살아야 합니다. 만약 나의 욕심과 성공을 위해 그저 하나님을 이용하려 한다면, 하나님은 우리가 의지하는 우상들을 무너뜨리실 것입니다. 진정 우리의 평생에 하나님이 우리의 참 하나님이 되길 간절히 소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