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그러므로 나의 사랑하고 사모하는 형제들, 나의 기쁨이요 면류관인 사랑하는 자들아 이와 같이 주 안에 서라
2 내가 유오디아를 권하고 순두게를 권하노니 주 안에서 같은 마음을 품으라
3 또 참으로 나와 멍에를 같이한 네게 구하노니 복음에 나와 함께 힘쓰던 저 여인들을 돕고 또한 글레멘드와 그 외에 나의 동역자들을 도우라 그 이름들이 생명책에 있느니라
4 주 안에서 항상 기뻐하라 내가 다시 말하노니 기뻐하라
5 너희 관용을 모든 사람에게 알게 하라 주께서 가까우시니라
6 아무 것도 염려하지 말고 다만 모든 일에 기도와 간구로, 너희 구할 것을 감사함으로 하나님께 아뢰라
7 그리하면 모든 지각에 뛰어난 하나님의 평강이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너희 마음과 생각을 지키시리라
복음이 우리에게 가져온 놀라운 변화는 ‘화해와 일치’입니다. 자신만을 알고 주장하던 자기중심적인 사람들이 타인을 의식하고 배려하며 함께하는 존재로 변화되는 기적이 일어난 것입니다. 그래서 믿는 자의 무리인 교회의 표지는 바로 ‘하나 됨’입니다. 본문에서 바울은 빌립보 교회를 향하여 하나 됨을 위한 구체적 방법들을 제시합니다.
바울은 빌립보 교인들을 향해 ‘나의 사랑, 나의 기쁨, 나의 면류관’이라고 고백합니다(1절). 특별히 ‘면류관’은 당시 경주 경기에서 승리한 사람에게 씌워 주는 월계수 관을 말합니다. 곧 빌립보 교회를 영광스러운 자랑으로 여긴다는 말입니다. 성도는 서로를 사랑과 기쁨, 나아가 영광의 대상으로 여겨야 합니다.
바울은 빌립보 교회의 여성 지도자인 유오디아와 순두게에게 주 안에서 한마음을 품으라고 권합니다(2절). 교회의 유력한 사람들의 갈등은 개인의 문제가 아닌 교회 전체를 흔드는 문제가 됩니다. 교회 안에서 지도자의 역할은 부정적일 때 더 확연히 드러납니다. 진리가 훼손되는 문제가 아니라면 서로의 의견을 수용하고 자기주장을 내려놓는 것이 지혜입니다. 자기 의견을 피력하여 자존심을 내세우는 것보다 교회의 하나 됨이 훨씬 더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바울은 유오디아와 순두게를 도우라고 당부합니다(3절). 여기서 바울이 도움을 요청한 대상은 빌립보 교회 공동체 전체입니다. 아마도 빌립보 교회 안에는 유오디아와 순두게 각각의 입장을 지지하는 사람들이 나뉘어 있었을 것입니다. 그래서 바울은 두 지도자의 갈등을 교회 공동체의 문제로 여기며 함께 풀어 갈 숙제로 제시합니다. 이처럼 서로 마음이 나뉘는 일이 있다면 공동체 전체가 힘써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교회는 함께 멍에를 지는 자들이기에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면 앞으로 나아갈 수 없습니다.
바울은 교회의 하나 됨을 위해 ‘주 안에서 항상 기쁨을 누리라’고 말합니다(4절). 특별히 ‘주 안에서’라는 말을 통해 기쁨의 내용이 세상의 만족이 아닌 주님과 연합하는 구원을 의미함을 알게 합니다. 교회 공동체의 구성원은 세상 기쁨을 추구하는 사람들이 아닌, 죄와 사망에서 해방된 자유와 기쁨을 누리는 사람들입니다.
바울은 하나 됨을 위해 서로 관용을 베풀 것을 촉구합니다(5절). ‘관용’이란 자신의 권리를 포기하고 다른 사람을 너그럽게 대하는 태도를 말합니다. 이러한 태도는 하나님의 무조건적 은혜로 구원받았다는 철저한 인식과 다시 오실 그리스도에 대한 소망 때문에 가능합니다. 관용을 베풀어야 할 때 구원의 은혜와 다시 오실 주님을 바라보십시오.
바울은 외부의 공격과 시련에 염려하지 말고 감사함으로 하나님께 구하라고 당부합니다(6〜7절). ‘염려’라는 말은 원어상 ‘마음이 나뉘다’라는 의미입니다. 곧 외부의 공격과 시련에 염려하면 개인의 마음뿐 아니라 공동체도 나뉘게 됩니다. 그때 우리가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기도와 간구로 하나님께 아뢰는 것입니다. 그러면 하나님이 우리의 마음을 하나로 지키셔서 평강을 누리게 하실 것입니다.
‘하나 됨’이 복음에 합당한 삶의 모습입니다. 하나님 안에서 같은 사랑으로 마음과 뜻이 하나 되는 것입니다. 교회의 분열과 다툼 때문에 세상에서 복음이 후퇴하지 않도록, 무엇보다 먼저 공동체의 하나 됨을 위해 헌신과 수고를 다 하는 우리 모두가 되길 간절히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