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 예수를 잡아 끌고 대제사장의 집으로 들어갈새 베드로가 멀찍이 따라가니라
55 사람들이 뜰 가운데 불을 피우고 함께 앉았는지라 베드로도 그 가운데 앉았더니
56 한 여종이 베드로의 불빛을 향하여 앉은 것을 보고 주목하여 이르되 이 사람도 그와 함께 있었느니라 하니
57 베드로가 부인하여 이르되 이 여자여 내가 그를 알지 못하노라 하더라
58 조금 후에 다른 사람이 보고 이르되 너도 그 도당이라 하거늘 베드로가 이르되 이 사람아 나는 아니로라 하더라
59 한 시간쯤 있다가 또 한 사람이 장담하여 이르되 이는 갈릴리 사람이니 참으로 그와 함께 있었느니라
60 베드로가 이르되 이 사람아 나는 네가 하는 말을 알지 못하노라고 아직 말하고 있을 때에 닭이 곧 울더라
61 주께서 돌이켜 베드로를 보시니 베드로가 주의 말씀 곧 오늘 닭 울기 전에 네가 세 번 나를 부인하리라 하심이 생각나서
62 밖에 나가서 심히 통곡하니라
영화에서는 영웅이 나타나 전능한 신과 같이 모든 문제를 해결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현실에서 인간은 연약하여 실패할 수밖에 없는 존재입니다. 베드로의 실패를 통해, 넘어졌을 때 다시 일어나는 지혜를 얻기를 바랍니다.
두려움에 무너지는 의지
예수님이 대제사장의 집으로 끌려가자 베드로도 그 뒤를 따라갔습니다. 예수님의 수제자로서 책임과 의무감을 가지고 위험을 무릅쓴 채 따라갔던 것입니다. 그러나 베드로를 알아본 사람들이 세 번이나 그가 예수님의 제자라고 말하자, 베드로는 그 말에 반박했습니다. 자신도 예수님처럼 잡히면 죽을 수도 있다는 생각에 두려움과 공포에 사로잡혀 본능적으로 예수님을 부인했던 것입니다. 이는 베드로가 특별히 비겁해서라기보다는 죽음을 피하고 싶어 하는 인간의 보편적 본능 때문으로 보입니다. 그 상황에서 베드로는 자신이 무슨 말을 하고 있는지도 의식하지 못할 정도로 정신이 혼미했을 것입니다. 모두 주님을 버릴지라도 자신만은 결코 버리지 않을 것이며, 주님과 함께 옥에도, 죽는 데에도 함께할 것이라 했던 그의 각오와 장담은 죽음의 공포 앞에서 물거품이 되어 버렸습니다(32절; 마 26:33). 이와같이 인간의 각오와 의지는 순식간에 사라지는 물거품과 같습니다. 그러므로 성도는 인간적 의지와 각오가 아니라 오직 성령의 도우심을 의지함으로 시험과 환난을 극복해야 합니다.
말씀 앞에 돌아온 정신
예수님을 부인한 후 닭이 울자 베드로는 예수님의 말씀이 떠올랐습니다. 닭이 울기 전에 세 번 예수님을 부인할 것이라는 말씀입니다. 그제야 베드로는 자신이 무슨 짓을 했는지 깨닫고, 밖에 나가서 심히 통곡했습니다. 그는 앞서 다졌던 각오를 무색하게 만든 자신의 행위가 부끄러웠을 것입니다. 극심한 자괴감에 괴로웠을 것입니다. 나아가 그는 예수님을 부인한 죄에 대해 두려움을 느꼈을 것입니다. 예수님은 사람들 앞에서 자신을 부인하는 자를 하나님 아버지 앞에서 부인할 것이요, 사람들 앞에서 자신을 시인하는 자를 하나님 아버지 앞에서 시인하실 것이라고 말씀하신 적이 있습니다(마 10:32〜33). 베드로는 이 말씀을 떠올렸을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예수님이 이러한 일을 미리 알려 주신 이유는 베드로가 유다와 같이 멸망의 길이 아니라 회개의 길로 돌이키길 바라셨기 때문입니다. 성도는 자신의 연약함을 인식하고 회개하여 용서의 은총을 받아야 합니다.
회개함으로 사명을 감당하라
예수님은 베드로에게 당신을 부인하리라는 사실을 미리 알려 주시면서 “너는 돌이킨 후에 네 형제를 굳게 하라”(32절)는 말씀을 주셨습니다. 이는 베드로에게 회개함으로 죄 사함을 받아 복음 전파의 사명을 감당하라는 의미입니다. 예수님은 부활하신 후에 베드로에게 “네가 나를 사랑하느냐” 라고 세 번 물으시고 베드로가 주님을 사랑한다고 세 번 대답하자 “내 양을 먹이라”는 사명을 맡기십니다. 결국 베드로는 사도의 수장으로서 성령의 능력으로 복음을 전파하여 많은 사람을 구원하는 사명을 감당했습니다. 회개함으로 죄 사함을 받은 성도는 구원의 은혜에 감사하며 주님이 기뻐하시는 복음 사역을 충실히 감당하여 교회와 하나님 나라의 충성스러운 일꾼이 되어야 합니다.
베드로의 실패는 평생 동안 자신의 약함을 인식하고 주님만을 의지함으로 순교하기까지 복음 사역을 충실히 감당하는 원동력이 되었을 것입니다. 성도는 실패 속에서 교훈을 얻고 그 힘으로 주님이 맡기신 사명을 끝까지 감당하여 마침내 승리에 이르러야 합니다.